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84 추천 수 0 댓글 0

인스타그램도 생체정보 무단수집 혐의로 6850만 달러 배상 합의

일리노이 생체정보보호법 위반 혐의
페이스북·틱톡 등에 이은 집단소송

Photo Credit: Instagram

일리노이주의 초강력 생체정보보호법(BIPA)이 또 한 번 위력을 발휘했다.

오늘(19일) 시카고 언론들과 경제전문매체 '포브스' 등에 따르면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가 운영하는 사진·동영상 중심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인스타그램'이 일리노이주 생체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로 집단소송을 당해 거액의 합의금을 물게 됐다.
 

인스타그램은 일리노이 사용자들에게 합의금 6천850만 달러(약 870억 원)를 지급하기로 하고 최근 법원에서 예비승인을 받았다. 앞서 페이스북·틱톡·스냅챗·구글포토 사용자들이 같은 내용의 집단소송을 제기, 거액의 합의금을 받아낸 데 이은 것이다.

앞서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일리노이 주민 헤더 패리스와 캐런 조이스는 "2021년 11월까지 인스타그램 앱에서 사용된 '안면인식 기능'이 일리노이주 개인 생체정보보호법을 위반하고 사용자 생체정보를 수집·저장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인스타그램 측은 법을 어기고 사용자 개인정보를 무단 수집·저장한 혐의는 부인했으나 소송을 매듭짓는 조건으로 합의금 지급에 동의했다.

2015년 8월 10일부터 2023년 8월 16일 사이 일리노이주에 거주하면서 인스타그램 계정을 만들어 사용한 개인은 성년·미성년 누구나 웹사이트를 통해 합의금을 청구할 수 있다.

원고 측은 일리노이 주민 가운데 약 400만 명이 합의금 청구 자격을 갖는 것으로 추산했다.

합의금 청구서 제출 기한은 오는 9월 27일이다.

합의 조건에 동의하지 않거나 이번 집단소송에서 제외되길 원할 경우 다음달 16일 전에 서면으로 의사를 밝혀야 한다.

이번 합의에 대한 법원의 최종 승인 공판은 오는 10월 11일 열릴 예정이다.

시카고 트리뷴은 합의금의 35%가 소송 비용으로 나가고 처음 소송을 제기한 원고 2명 패리스와 조이스는 각각 2천500달러(약 315만 원)씩을 받게 될 것이라며 "이를 제외한 금액이 청구인들에게 균등히 배분된다"고 전했다.
 

1인당 수령액은 합의금 청구인 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아직 알 수 없다.

일리노이주는 2008년 발효된 초강력 생체보호법에 따라 기업이 안면 지도·지문·홍채 등 개인 생체정보를 수집할 경우 당사자에게 사용 목적과 보관 기간 등을 상세히 설명하고 사전 동의를 구하도록 하고 있다.

이 법은 미국에서 가장 강력한 것으로 간주된다.

현재 전국에서 개인 생체정보 이용을 법으로 규제하고 있는 주는 3곳이다.

그러나 일리노이를 제외한 텍사스와 워싱턴 주는 개인이 소송을 제기할 수 없고 주 검찰총장이 기소권을 갖는다.

페이스북은 2015년 일리노이 사용자들에게 같은 혐의로 집단소송을 당해 6년간 법정공방을 벌인 끝에 2021년 6억5천만달러(약 8천억 원) 배상에 합의했고 지난해 사용자 1인당 430달러(약 55만 원)씩 배분됐다.

틱톡·스냅챗·구글 등도 같은 혐의로 피소돼 틱톡은 9천200만 달러(약 1천200억 원), 스냅챗은 3천500만 달러(약 440억 원), 구글은 1억 달러(약 1천300억 원) 씩 합의금을 물었다. 

 

 

출처: 인스타그램도 생체정보 무단수집 혐의로 6850만 달러 배상 합의


  1. 인스타그램도 생체정보 무단수집 혐의로 6850만 달러 배상 합의

  2. LG전자 미국법인 잇단 집단소송 피소

  3. 폭염으로 기온이 오르면서 주식 승자와 패자는?

  4. 북한, 미 연락에 무응답…바이든, 월북군인 질문에 '묵묵부답'

  5. 교육 수준 가장 낮은 10위 도시 중 CA주 5개 도시 속해

  6. 미국 영주권 기각사유 ‘자격미달, 허위서류, 불체기록’

  7. 111도 기내 갇힌 승객들…에어컨 미작동에 병원행 속출

  8. 산모, 헐리웃서 신생아 아무에게나 주고 떠나.. “돌볼 수 없어”

  9. “너희 나라로 꺼져”…여행 온 아시안 가족에 수차례 인종차별 발언한 남성 논란

  10. 넷플릭스, 광고 없는 최저 요금제 없애

  11. '북한판 패리스 힐튼' 박연미, 거짓 발언 의심

  12. 이소룡은 왜 죽었나.. "대마초·수분과다·열사병 등 추측"

  13. 신규주택 시장 '주춤'.. 6월 착공 8%↓·허가 4%↓

  14. "미군 1982년 이후 첫 MDL 넘어 도주.. 군사정보 제공 우려"

  15. 美, 은행 규제 강화/대형은행들, 20% 이상 자본 확충해야/유럽, 갈수록 가난해지고 있다

  16. 산타모니카 시의원 3가 프라머네이드 거리서 노숙자에게 공격당해

  17. 배우∙작가 시위 벌이자 나무 베어 그늘 없앴나..LA시 조사 착수

  18. LA 카운티 소도시 Bell에서 어제 2차례 지진 발생

  19. NWS(국립기상청), 남가주 Valley 지역에 폭염 경보 발령

  20. '인기절정' 테일러 스위프트, 미국 지역경제 바꿀정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47 Next
/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