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233 추천 수 0 댓글 0

"저 강만 넘으면".. 미 국경 앞 텐트촌에 아른대는 희망과 긴장

미 '즉각추방정책' 폐지 첫날 텍사스 접경 멕시코 이민자 거주지 취재
미국 입국 희망 중남미 출신 속속 도착.. "미국 가면 뭔 일이든 할 것"
입국 신청부터 '바늘구멍'.. 신청해도 심사까지는 기약없는 '희망고문'
'좁은문' 합법적 미국 입국 더 어려워지면 불법월경 가능성 농후해 보여

Photo Credit: 미국행에 부풀어 있는 이민자 텐트촌의 아이, 연합뉴스

아이티 출신 일네트(43)는 수백개의 텐트 사이 자신의 보금자리 앞에 우두커니 앉은 채 옅은 미소를 보냈다.

'프랑스어식 발음이 어렵다'며 직접 수첩에 자신의 이름을 적어주던 그의 눈은 충혈돼 있었다.
 

 

"간밤에 잠을 잘 자지 못했다"는 일네트는 거의 매일 기나긴 난민 신청자 대기 줄에서 '한 점'이 되는 남편을 기다리는 게 중요한 일상이라고 했다.

미국 정부의 서류 미비(불법) 입국 망명 신청자 즉각 추방정책(42호 정책) 종료 첫날인 오늘(12일) 텍사스 접경 멕시코 타마울리파스주 레이노사의 이민자 집단 거주 지역.

'센다 데 비다'(삶의 좁은 길이라는 뜻의 스페인어)라는 이름을 가진 이곳에는 '좁은 길' 미국행을 희망하는 중남미 출신 주민들이 거대한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레이노사는 마타모로스, 시우다드후아레스, 티후아나 등 미국에 망명 또는 인도주의적 입국을 신청할 수 있다는 희망을 품은 중남미 이주자들이 대거 몰리는 곳 중 하나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리오브라보(미국명 리오그란데) 강만 건너면 곧바로 텍사스 땅(이달고)이기 때문이다.

국경 검문소와 이민자 센터도 있다. 

언제부터인가 강둑을 따라서 하나둘씩 생겨나기 시작한 텐트들이 지금은 거대한 텐트촌을 이루고 있다.

이곳에 도착한 사람들은 매일 강 건너 미국 땅을 바라보며 미국 입국의 실낱같은 희망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한밤 추위를 피하기 위해 검은색 비닐로 지붕 부분을 감싸놓은 수백개의 텐트들은 다닥다닥 붙어 있었다.

"이래야 그나마 덜 춥다"고 베네수엘라 출신 20대 청년은 말했다.
 

 

땅바닥에서 곳곳에 분뇨가 널려 있을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도 중간중간 자연스럽게 '골목' 같은 공간이 생겨났다.

이곳에서는 아이들이 모여 노래를 부르거나, 나무 기둥을 뛰어넘는 놀이를 하면서 미국이 자신들을 맞이해줄 것이라는 희망을 잃지 않고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텐트촌 넘어 몇 군데에서는 물통을 든 사람들의 행렬이 보였다.

장 아르센(42)은 "이곳에서 일주일에 딱 3차례, 무료로 물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이곳 생활이 어떤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말이었다. 

장 아르센은 일네트와 마찬가지로 아이티에서 넘어왔다. 레이노사엔 다른 중남미 국가 주민과는 인종적·언어적·문화적으로 다른, 카리브해 최빈국 아이티 출신이 대거 몰려 있다.

그는 대지진과 극심한 정치·경제 위기로 신음하는 자신의 조국에서 "최근 급격하게 더 많은 이들이 미국으로 몰리고 있다"고 전했다.

"정책 변경에 따른 기대감"이 그 배경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미국 정부는 불법입국자 즉각 추방 정책 폐지를 밝히면서 중남미에서 극도로 혼란스러운 정치·경제적 상황에 놓인 아이티를 비롯해 쿠바,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국민에 대해선 문호를 넓혀 한 달에 최대 3만명의 인도주의적 입국 요청을 받겠다고 공개적으로 약속했던 것이다.

멕시코 정부는 남부에서 출발해 북부를 향해 오는 '카라반'(캐러밴) 이민자 행렬을 고려하면 미-멕시코 국경 지역으로 몰려드는 미국 입국 희망 이민자의 숫자가 더 늘 것으로 보고 있다.
 

 

장 아르센은 공식적인 망명 신청 접수를 위해 접경지대를 찾은 이들 중에선 운이 좋은 편이다.

그가 보여주는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입국 심사 인터뷰를 위한 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적혀 있었다. 

미국 정부는 '42호 정책'을 종료하고 기존에 실시했던 이른바 '8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미국에 망명하려는 사람들은 온라인을 통해 사전에 입국 신청을 해야 하고 미국내 후원자도 확보해 제시해야 한다.

하지만 이 온라인 앱을 통해 망명 신청을 하는 첫 단계부터 '하늘의 별 따기'라고 한다.

신청자가 너무 많아 접속 자체가 쉽지 않아서다.

장 아르센은 신청 성공 비결을 "먼저 플로리다에 넘어간 아내 덕분"이라고 했다.

장 아르센은 먼저 미국에 도착해 자리 잡은 아내가 후원자로 나서면서 운 좋게 미국 정부의 기준을 통과한 사람 중 한 명이 될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곳 텐트촌에는 장 아르센과 같은 행운을 얻지 못한 사람들이 더 허다하다.

레이노사에서 수년간 봉사 활동을 하는 유영주 선교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싼값에 국경을 넘게 해주겠다는 브로커 말에 속아 돈만 날리는 사람도 있다"며 "피해를 호소하지도 못한 채 전전긍긍하다 아무도 몰래 어딘가로 떠나는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콜롬비아에서 온 후니오(22)는 "(미국) 대통령이 바뀐 이후 (미국이) 우리에 대해 호의적으로 대해줄 것이라는 게 이곳에서 만난 어르신들의 말"이라며 "조만간 미국에 가게 되면 나는 무슨 일이든 할 것"이라고 막연한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미국과 멕시코 정부는 후니오처럼 희망을 품고 국경으로 모이는 이들이 앞으로 더 늘면서 혼란이 가중될까 긴장하고 있다.

당장 첫날부터 불법 입국자가 폭증하진 않았다는 게 미국 정부 집계지만, 멕시코 북부에 이주민이 몰리는 현상은 뚜렷하게 감지되고 있다.

많은 사람이 몰려들어 망명이나 난민 신청 등 '적법한' 절차를 밟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거나 설령 망명이나 난민 신청까지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심사 등 처리시간이 기약 없이 길어지면 불법 월경을 택하는 이들이 늘어날 가능성도 농후하다.

실제 42호 정책 종료 직전 미국 남부 국경에서는 불법 입국자가 많이 증가하면서, 당국은 최대 1만8천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에 2만8천명을 모아 놓기도 했다.

미국 당국은 남부에 국경 관리 인력을 대거 늘려 감시 태세를 강화한 상태다.

기자가 센다 데 비다에 머무는 동안에도 텍사스 쪽 하늘에서는 잊을만하면 헬기가 돌아다니며 굉음을 뿜어냈다.

불법입국이라는 '엉뚱한 생각은 꿈도 꾸지 말라'고 경고하는 듯했다. 

 

 

 

출처: "저 강만 넘으면".. 미 국경 앞 텐트촌에 아른대는 희망과 긴장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6 한인 뉴스 LAPD, 대중교통 순찰 경찰관들에 '비살상 무기' 확대 제안 report33 2023.09.04 240
605 한인 뉴스 모바일 운전면허 파일럿 프로그램, CA 주민들도 참여 가능 report33 2023.09.04 187
604 한인 뉴스 14살 소년, 어제 롱비치에서 버스 타고가다 총격당해 report33 2023.09.04 229
603 한인 뉴스 끊임없는 LA 소매절도 .. 하이랜드 팍 담배 판매점 4인 절도 report33 2023.09.04 211
602 한인 뉴스 노동절 연휴 남가주 곳곳서 DUI 단속 .. 무관용! report33 2023.09.04 234
601 한인 뉴스 UCLA 주변 쓰레기로 몸살…새학기 이사로 도로변 투기 report33 2023.09.04 210
600 한인 뉴스 히죽대며 비아냥…타운 유튜버 주의…히스패닉계 남성, 무단 촬영 report33 2023.09.04 266
599 한인 뉴스 "중국 경제 둔화, 한국·일본 등 아시아 전역에 파장" report33 2023.09.04 179
598 한인 뉴스 김하성, 한국인 빅리거 최초 30도루 돌파 .. 샌디에고 3연승 report33 2023.09.04 190
597 한인 뉴스 "미 재정적자 1년만에 2배로 늘 전망…부채이자 및 세입 영향" report33 2023.09.04 216
596 한인 뉴스 멕시코 통해 미국 가던 '중국산 좀비마약', 이젠 중남미로 확산? report33 2023.09.05 224
595 한인 뉴스 프레드 정 풀러튼 시장, 태미 김 어바인 부시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report33 2023.09.05 136
594 한인 뉴스 충격젹인 규모로 불어난 '사슴'.. 동부서 숲파괴 위기 처해 report33 2023.09.05 178
593 한인 뉴스 미군기지에 관광객 위장 중국인들 무단침입.. "잠재적 스파이 위협" report33 2023.09.05 180
592 한인 뉴스 고금리에도 끄떡없다.. 미국이 경제침체에 빠지지 않는 이유는? report33 2023.09.05 207
591 한인 뉴스 자동차노조 파업 전운 고조.. "참가인원 2018년 이후 최다" report33 2023.09.05 232
590 한인 뉴스 기업 세계1위 스마트폰·조선등 6개.. 일본과 공동 3위 report33 2023.09.05 163
589 한인 뉴스 [리포트] 네바다 사막서 축제 즐기던 7만명 고립.. "느닷없는 폭우 쏟아져" report33 2023.09.05 203
588 한인 뉴스 미국 노동절 연휴에 기록적인 인파 해외여행 나섰다 report33 2023.09.05 245
587 한인 뉴스 미국 9월부터 대다수 출근 시작, ‘주 5일, 9시에서 5시는 끝났다’ report33 2023.09.05 174
586 한인 뉴스 교사들 대규모 추모집회...'징계' 경고에도 수만 집결 "교권 회복" 외침 report33 2023.09.05 246
585 한인 뉴스 노동절 맞아 의료 노동자들 로스펠리스서 시위 행진 report33 2023.09.05 144
584 한인 뉴스 노동절 LA∙OC 개솔린 최고가 기록..3년째 경신 report33 2023.09.05 140
583 한인 뉴스 LA 신발가게서 5천불 어치 강탈한 4인조 강도단 체포 report33 2023.09.05 152
582 한인 뉴스 바이든 재선의 최대 걸림돌은 나이…미국인 73% "너무 늙었다" report33 2023.09.05 143
581 한인 뉴스 바이든 "난 미국 역사상 최다 일자리 창출 .. 트럼프는 일자리 순감" report33 2023.09.05 234
580 한인 뉴스 타운 등에 446유닛 저소득층 주택…주정부, 1억5690만불 지원 report33 2023.09.05 238
579 한인 뉴스 러 국방장관 "북한과 연합훈련 개최 가능성 논의" report33 2023.09.05 125
578 한인 뉴스 LA 근로자 교통비 연 7000불 report33 2023.09.05 119
577 한인 뉴스 영화 '오펜하이머', 전 세계 흥행 수입 8억 달러 넘어서 report33 2023.09.05 188
576 한인 뉴스 미국 학자융자금 9월부터 이자 적용 시작, 10월 상환재개 report33 2023.09.05 227
575 한인 뉴스 미국 이민노동자 약이냐 독이냐 ‘논쟁에 종지부-미국 지탱에 필수’ report33 2023.09.05 153
574 한인 뉴스 미국의 대북 소통 창구 리처드슨 전 유엔대사 별세 report33 2023.09.05 140
573 한인 뉴스 [리포트]기후 변화로 CA주 산불 발생 위험 25%높아져! report33 2023.09.05 176
572 한인 뉴스 "눈 떠보니 나체 노숙자가 내 옆에" report33 2023.09.05 196
571 한인 뉴스 다저스 좌완 유리아스 ‘가정 폭력’ 혐의로 체포! report33 2023.09.05 149
570 한인 뉴스 “한국으로 MLB 개막전 보러 가요” report33 2023.09.05 189
569 한인 뉴스 불법 이민자 태운 텍사스발 12번째 버스 LA유니온 스테이션 역 도착 report33 2023.09.05 213
568 한인 뉴스 김정은, 이르면 내주 러시아 방문.. 푸틴과 무기 거래 논의 report33 2023.09.05 193
567 한인 뉴스 [펌] 최근 발표한 대학 및 고등학교 순위 지니오니 2023.09.06 228
566 한인 뉴스 머스크 "미국서 엑스 매출 60% 감소 .. 비영리단체 ADL 압력 탓" report33 2023.09.06 206
565 한인 뉴스 바이든 아시아 방문 앞두고 부인 질 여사 코로나 확진 report33 2023.09.06 223
564 한인 뉴스 대탈출로 끝난 네바다서 열린 버닝맨축제.. '특권층 놀이터'란 지적도 report33 2023.09.06 192
563 한인 뉴스 죄수들 '입실 거부' 단체 행동.. "폭염에 감방 못돌아가" report33 2023.09.06 213
562 한인 뉴스 오클랜드 동물원 호랑이, 새끼 낳은 뒤 죽여.. "본능적 행동" report33 2023.09.06 1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