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222 추천 수 0 댓글 0

[속보] 누리호 3차 발사…첫 손님 싣고 우주로 솟구쳤다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발사 준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발사 준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3, 2, 1 발사-.’

25일 오후 6시24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하늘로 솟았다. 18분58초의 짧지만 긴 여정이다. 이번 3차 발사에선 지난 1·2차와 달리 ‘손님’인 실용급 위성 8기(주탑재위성 1기, 큐브위성 7기)를 ‘정확한 우주 궤도에 올려야 하는’ 특급 미션을 갖고 있다. 성공적으로 위성 궤도 투입을 마무리하면 ‘실용급 위성 발사체’로 우주경제 시대를 여는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당초 누리호 3차 발사는 전날인 24일 오후로 예정돼 있었지만, 발사 2시간여를 앞두고 발사 제어컴퓨터와 설비 제어컴퓨터 간 밸브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SW)에 문제가 발생해 한 차례 연기됐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날 오전 11시50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상 헬륨 공급 시스템 이상으로 헬륨의 압력을 낮춰주는 해압밸브가 구동되지 않았다”며 “발사대의 헬륨 저장탱크와 지상장비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PLC)에서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제어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작업을 했다. 오전 5시까지 여섯 번의 반복 시험을 수행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최종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누리호 3차 발사 재시도를 발표한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 기립된 누리호가 발사대에 고정돼 있다.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누리호 3차 발사 재시도를 발표한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 기립된 누리호가 발사대에 고정돼 있다.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 누리호 3차 발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 누리호 3차 발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 밤샘 작업…‘빨리 발사’ 의견 모아”

전날 순조롭게 진행되던 누리호에 이상 신호가 감지된 건 오후 3시쯤이다. 점검 과정 중 1·2차 발사 때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던 해압밸브가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은 것이었다. 누리호 안에는 산화제를 냉각하기 위해 영하 180도의 헬륨을 충전하는 탱크가 있는데, 해압밸브는 외부에서 발사체로 헬륨을 공급한 뒤 공급 장치를 분리하도록 압력을 빼주는 역할을 한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 간 시간차 문제로 충돌 현상이 생겼다”며 “명령 간 간격을 넓히는 방식으로 로직을 변경했다”고 말했다. 항우연 연구진들은 전날 이상을 감지한 뒤 이날 오전 5시까지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했다고 한다. 고 본부장은 “(밤샘 작업으로) 연구진들의 피로도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문제를 해결하고 가능하다면 빨리 발사에 도전하자’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다행히 날씨도 도와줬다. 나로우주센터의 하늘은 맑았고, 지상풍이나 고층풍도 비교적 잠잠했다. 발사 시간 기준 우주물체 충돌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당국은 이날 오전 11시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누리호를 발사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이날 발사 준비는 순조롭게 진행됐다. 발사 6시간 전인 오후 12시24분 발사 운용 절차가 시작됐다. 오후 3시40분부터 연료와 연료에 불이 붙게 하는 산화제 충전을 시작했고, 오후 5시16분 절차가 마무리됐다. 오후 5시14분 발사대 기립장치 철수를 시작해 오후 5시38분엔 누리호를 붙잡고 있던 발사체 기립 장치 연결을 모두 풀었다. 준비 과정은 예정시간보다 15분 가량 빠르게 진행됐다. 오후 6시11분 누리호 발사전 준비점검이 완료되며 우주로 솟을 모든 준비가 끝났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10분 전 ‘자동운용’ 본격 카운트 다운

발사 10분 전 ‘발사 자동 운용’(PLO) 명령이 하달되자, 본격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 PLO가 가동되면 수동으로 멈출 수 없다. 발사체가 정상 상태임이 확인되면 1단 엔진이 자동 점화되고, 시스템 문제가 발견되면 자동으로 발사 절차가 중단된다. ‘10년 같은’ 10분이 흘러간 뒤 누리호는 시뻘건 불길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아올랐다. 연구진도 국민도 손에 땀을 쥐는 순간이었다.

길이 47.2m, 최대지름 3.5m인 누리호는 로켓 3개가 하나로 조립된 3단형 로켓이다. 발사체 자체의 무게는 17.5t이지만 연료·산화제를 모두 채우면 200.4t이 된다. 1·2단은 누리호가 더 멀고 높이 오를 수 있도록 도움닫기 역할을 한다. 3단은 목표 궤도까지 날아가 위성을 토해내는 역할을 한다. 엔진 점화 후 1단이 300t 추력에 도달하면 지상고정장치(VHD)가 풀리면서 비행이 시작된다. 이륙 125초(2분5초) 뒤 고도 64.5㎞에 올랐을 때 1단이 분리되고, 234초(3분54초) 뒤 고도 204㎞에 올랐을 때 페어링(위성 보호 덮개)이 분리된다.

272초(4분32초) 뒤 고도 258㎞에 오르면 2단이 분리되며 783초(13분3초)가 지나면 최종 목표 고도인 550㎞에 도달한다. 이때 소형위성과 큐브위성을 사출하는 임무가 시작된다. 먼저 주탑재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NEXTSAT-2)를 사출한다. 고도 550㎞에서 최대 5% 오차 내 궤도에 안착시키는 게 관건이다.

이후 20초 간격으로 국내 민간기업과 한국천문연구원이 제작한 큐브위성을 우주 공간에 뱉어낸다. 져스택의 ‘JAC’→루미르의 ‘LUMIR-T1’→카이로스페이스의 ‘KSAT3U’→천문연구원의 ‘도요샛(4기)’ 순이다. 위성 사출이 끝나는 시간은 발사 뒤 923초(15분23초)가 지난 시점이다. 위성을 우주 공간에 쏟아낸 나로호 3단은 이후에도 215초(3분35초)간 더 날아간 뒤 우주여행을 마무리한다.

누리호를 타고 우주에 간 위성은 이날 오후 7시40분쯤 NEXTSAT-2의 사출 여부를, 오후 8시40분쯤 나머지 위성의 사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위성의 실제 작동 및 교신 여부는 다음날 오전쯤에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한국판 스페이스X’ 텃밭…우주경제 시대 본격화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은 우주경제 시대를 본격화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국산 민간위성 중 우주로 가려는 ‘손님’이 더 늘어나고, 국내 발사체 산업 생태계가 커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이번 발사엔 1·2차와 달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이 체계 기업으로 참여했다. 정부는 6차까지 예정된 누리호 후속 발사를 체계 기업들이 주도할 수 있도록 4차 발사부터 점차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한국판 스페이스X’가 클수 있는 텃밭이 만들어졌다는 의미다.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한국이 우주 기술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신뢰성과 경제성을 갖추는 게 중요한데, 이번 발사 성공으로 신뢰성을 갖추게 됐다”며 “향후 경제성까지 갖춰 독자적인 우주 개발능력을 보유하게 된다면 세계사의 주역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간 지구에 한정돼 있던 과학·기술 적용 영역을, 달·화성 등 미지의 우주 영역까지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선진국은 우주를 국가의 경영 수단으로 삼고 있는데, 한국도 외교·정치·국방 등에 어떻게 이용할지 염두에 두고 국가 경영 전략을 짜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속보] 누리호 3차 발사…첫 손님 싣고 우주로 솟구쳤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2 한인 뉴스 바이든 "이란 억류 인질 석방, 도와준 한국정부에 감사" report33 2023.09.19 183
2001 한인 뉴스 상원, 의원 복장 규정 완화.. 후디도 허용 report33 2023.09.19 183
2000 한인 뉴스 국립보건원, 독감백신 임상시험 report33 2023.09.21 183
1999 한인 뉴스 골드만삭스 "헤지펀드들, 미 증시 약세에 베팅 확대" report33 2023.09.26 183
1998 한인 뉴스 美 "러 전투기, 시리아서 美전투기 초근접 비행…도발 목적인듯" report33 2023.04.29 184
1997 한인 뉴스 [펌] 11학년... 대입 준비 킥오프 지니오니 2023.05.10 184
1996 한인 뉴스 전 구글 CEO "AI, 머잖아 수많은 인간 죽일 수도" report33 2023.05.25 184
1995 한인 뉴스 미국 가계부채 17조달러 넘었다 ‘자동차 할부 늘고 신용카드 1조달러 육박’ report33 2023.05.17 184
1994 한인 뉴스 남가주, 노숙자 문제 관련한 지역 이기주의(님비현상) 심화 report33 2023.05.17 184
1993 한인 뉴스 1kg당 얼마? 승객 무거우면 기름 더 든다…몸무게 재는 항공사 report33 2023.05.30 184
1992 한인 뉴스 뉴욕,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 의무화.. "기후변화 대책" report33 2023.06.09 184
1991 한인 뉴스 미국 6월 기준금리 동결 대신 ‘올해안 0.25포인트씩 두번 인상 예고’ report33 2023.06.15 184
1990 한인 뉴스 오늘(6월27일) LA 시 6지구 시의원 특별선거, 2명 결선투표 report33 2023.06.28 184
1989 한인 뉴스 부메랑 된 트럼프 옛 발언.. "기소 대통령, 전례없는 헌법 위기" report33 2023.07.04 184
1988 한인 뉴스 IRS 가짜 우편물로 새로운 택스 리펀드 사기 기승 report33 2023.07.07 184
1987 한인 뉴스 '챗GPT 창시자' 샘 올트먼이 개발한 월드코인 정식 출시 report33 2023.07.24 184
1986 한인 뉴스 렌트비 8.8% 넘게 올리면 불법…가주세입자보호 AB 1482 시행 report33 2023.07.27 184
1985 한인 뉴스 미국 수중 로봇으로 해저 광물 채굴 ‘테크업종의 미래되나’ report33 2023.08.01 184
1984 한인 뉴스 "지구촌 직장인 하루 평균 10시간 노동.. 37분 줄어" report33 2023.08.03 184
1983 한인 뉴스 [리포트]LA시, 연체 렌트비 상환 불가 주민 지원 대규모 예산 편성 report33 2023.08.04 184
1982 한인 뉴스 밤사이 산타 클라리타 사업장 최소 8곳 강도 피해 report33 2023.08.11 184
1981 한인 뉴스 폭염에 에어컨·냉장고 수리 급증…한인업체 매출 6~10배 증가 report33 2023.08.15 184
1980 한인 뉴스 [리포트]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눈 피로감 개선 효과 미미해” report33 2023.08.21 184
1979 한인 뉴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개시 report33 2023.08.25 184
1978 한인 뉴스 OC 트라부코 캐년 술집서 총격.. 최소 4명 사망·6명 부상 report33 2023.08.25 184
1977 한인 뉴스 미 교통부, '몇시간씩 활주로 대기' 아메리칸 항공사에 410만불 과징금 report33 2023.08.30 184
1976 한인 뉴스 뉴욕 타임스 스퀘어 수도관 파열 물난리..지하철 운행 중단 report33 2023.08.30 184
1975 한인 뉴스 열심히 일하면 잘살까?.. 한국인, 16%만 '그렇다' 세계 꼴찌 report33 2023.09.08 184
1974 한인 뉴스 3주 뒤 추석, 한인 고국선물 품목·혜택 풍성 report33 2023.09.08 184
1973 한인 뉴스 중국 "우리가 마약 장사꾼? 누가 누굴 때리나" 미국 맹비난 report33 2023.09.21 184
1972 한인 뉴스 (2022 베이징 올림픽) 빙상대표팀,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까지 검토...심리치료 진행 예정 file report33 2022.02.08 185
1971 한인 뉴스 <속보>연방 대법원, 7대2로 낙태약 판매 허용 report33 2023.04.22 185
1970 한인 뉴스 20대 남성 1명, 도로 분노 총격 사건으로 마리나 델 레이서 숨진 채 발견 report33 2023.05.09 185
1969 한인 뉴스 배스 LA시장, 노숙자 문제 해결 위해 메이페어 호텔 매입 추진 report33 2023.05.31 185
1968 한인 뉴스 캐나다 산불 '이례적' 확산…주말 새 413곳 화재 진행중 report33 2023.06.07 185
1967 한인 뉴스 주택 '매입'이 '임대' 보다 더 싼 대도시 4곳 report33 2023.06.08 185
1966 한인 뉴스 여행객 늘면서 TSA프리체크·GE 인기 report33 2023.06.12 185
1965 한인 뉴스 미 입양한인, 현 시장직 내려놓고 40년만에 모국으로 report33 2023.06.13 185
1964 한인 뉴스 국내 최대 음악축제 '코첼라' 날짜 공개됐다 report33 2023.06.14 185
1963 한인 뉴스 "생성형 AI 세계 경제에 연간 4조4천억 달러 가치 창출할 것" report33 2023.06.15 185
1962 한인 뉴스 코스트코, 월마트 등서 판매된 냉동 딸기, A형 간염 일으킬 수 있어 리콜 report33 2023.06.15 185
1961 한인 뉴스 푸틴측 프리고진 반란계획 사전 누설돼 포착했다 ‘미국 정보당국’ report33 2023.06.29 185
1960 한인 뉴스 지구 평균 기온, 인류 기상 관측 아래 최고치 기록 report33 2023.07.05 185
1959 한인 뉴스 바이든 "내가 프리고진이면 음식 조심할 것".. 독살 가능성 경고 report33 2023.07.14 185
1958 한인 뉴스 CA주서 10억 8천만 달러 파워볼 당첨자 나왔다.. '역대 3번째' report33 2023.07.20 1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