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2 추천 수 0 댓글 0

[속보] 누리호 3차 발사…첫 손님 싣고 우주로 솟구쳤다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발사 준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발사 준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3, 2, 1 발사-.’

25일 오후 6시24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하늘로 솟았다. 18분58초의 짧지만 긴 여정이다. 이번 3차 발사에선 지난 1·2차와 달리 ‘손님’인 실용급 위성 8기(주탑재위성 1기, 큐브위성 7기)를 ‘정확한 우주 궤도에 올려야 하는’ 특급 미션을 갖고 있다. 성공적으로 위성 궤도 투입을 마무리하면 ‘실용급 위성 발사체’로 우주경제 시대를 여는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당초 누리호 3차 발사는 전날인 24일 오후로 예정돼 있었지만, 발사 2시간여를 앞두고 발사 제어컴퓨터와 설비 제어컴퓨터 간 밸브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SW)에 문제가 발생해 한 차례 연기됐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날 오전 11시50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상 헬륨 공급 시스템 이상으로 헬륨의 압력을 낮춰주는 해압밸브가 구동되지 않았다”며 “발사대의 헬륨 저장탱크와 지상장비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PLC)에서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제어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작업을 했다. 오전 5시까지 여섯 번의 반복 시험을 수행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최종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누리호 3차 발사 재시도를 발표한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 기립된 누리호가 발사대에 고정돼 있다.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누리호 3차 발사 재시도를 발표한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 기립된 누리호가 발사대에 고정돼 있다.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 누리호 3차 발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 누리호 3차 발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 밤샘 작업…‘빨리 발사’ 의견 모아”

전날 순조롭게 진행되던 누리호에 이상 신호가 감지된 건 오후 3시쯤이다. 점검 과정 중 1·2차 발사 때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던 해압밸브가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은 것이었다. 누리호 안에는 산화제를 냉각하기 위해 영하 180도의 헬륨을 충전하는 탱크가 있는데, 해압밸브는 외부에서 발사체로 헬륨을 공급한 뒤 공급 장치를 분리하도록 압력을 빼주는 역할을 한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 간 시간차 문제로 충돌 현상이 생겼다”며 “명령 간 간격을 넓히는 방식으로 로직을 변경했다”고 말했다. 항우연 연구진들은 전날 이상을 감지한 뒤 이날 오전 5시까지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했다고 한다. 고 본부장은 “(밤샘 작업으로) 연구진들의 피로도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문제를 해결하고 가능하다면 빨리 발사에 도전하자’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다행히 날씨도 도와줬다. 나로우주센터의 하늘은 맑았고, 지상풍이나 고층풍도 비교적 잠잠했다. 발사 시간 기준 우주물체 충돌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당국은 이날 오전 11시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누리호를 발사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이날 발사 준비는 순조롭게 진행됐다. 발사 6시간 전인 오후 12시24분 발사 운용 절차가 시작됐다. 오후 3시40분부터 연료와 연료에 불이 붙게 하는 산화제 충전을 시작했고, 오후 5시16분 절차가 마무리됐다. 오후 5시14분 발사대 기립장치 철수를 시작해 오후 5시38분엔 누리호를 붙잡고 있던 발사체 기립 장치 연결을 모두 풀었다. 준비 과정은 예정시간보다 15분 가량 빠르게 진행됐다. 오후 6시11분 누리호 발사전 준비점검이 완료되며 우주로 솟을 모든 준비가 끝났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10분 전 ‘자동운용’ 본격 카운트 다운

발사 10분 전 ‘발사 자동 운용’(PLO) 명령이 하달되자, 본격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 PLO가 가동되면 수동으로 멈출 수 없다. 발사체가 정상 상태임이 확인되면 1단 엔진이 자동 점화되고, 시스템 문제가 발견되면 자동으로 발사 절차가 중단된다. ‘10년 같은’ 10분이 흘러간 뒤 누리호는 시뻘건 불길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아올랐다. 연구진도 국민도 손에 땀을 쥐는 순간이었다.

길이 47.2m, 최대지름 3.5m인 누리호는 로켓 3개가 하나로 조립된 3단형 로켓이다. 발사체 자체의 무게는 17.5t이지만 연료·산화제를 모두 채우면 200.4t이 된다. 1·2단은 누리호가 더 멀고 높이 오를 수 있도록 도움닫기 역할을 한다. 3단은 목표 궤도까지 날아가 위성을 토해내는 역할을 한다. 엔진 점화 후 1단이 300t 추력에 도달하면 지상고정장치(VHD)가 풀리면서 비행이 시작된다. 이륙 125초(2분5초) 뒤 고도 64.5㎞에 올랐을 때 1단이 분리되고, 234초(3분54초) 뒤 고도 204㎞에 올랐을 때 페어링(위성 보호 덮개)이 분리된다.

272초(4분32초) 뒤 고도 258㎞에 오르면 2단이 분리되며 783초(13분3초)가 지나면 최종 목표 고도인 550㎞에 도달한다. 이때 소형위성과 큐브위성을 사출하는 임무가 시작된다. 먼저 주탑재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NEXTSAT-2)를 사출한다. 고도 550㎞에서 최대 5% 오차 내 궤도에 안착시키는 게 관건이다.

이후 20초 간격으로 국내 민간기업과 한국천문연구원이 제작한 큐브위성을 우주 공간에 뱉어낸다. 져스택의 ‘JAC’→루미르의 ‘LUMIR-T1’→카이로스페이스의 ‘KSAT3U’→천문연구원의 ‘도요샛(4기)’ 순이다. 위성 사출이 끝나는 시간은 발사 뒤 923초(15분23초)가 지난 시점이다. 위성을 우주 공간에 쏟아낸 나로호 3단은 이후에도 215초(3분35초)간 더 날아간 뒤 우주여행을 마무리한다.

누리호를 타고 우주에 간 위성은 이날 오후 7시40분쯤 NEXTSAT-2의 사출 여부를, 오후 8시40분쯤 나머지 위성의 사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위성의 실제 작동 및 교신 여부는 다음날 오전쯤에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한국판 스페이스X’ 텃밭…우주경제 시대 본격화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은 우주경제 시대를 본격화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국산 민간위성 중 우주로 가려는 ‘손님’이 더 늘어나고, 국내 발사체 산업 생태계가 커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이번 발사엔 1·2차와 달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이 체계 기업으로 참여했다. 정부는 6차까지 예정된 누리호 후속 발사를 체계 기업들이 주도할 수 있도록 4차 발사부터 점차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한국판 스페이스X’가 클수 있는 텃밭이 만들어졌다는 의미다.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한국이 우주 기술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신뢰성과 경제성을 갖추는 게 중요한데, 이번 발사 성공으로 신뢰성을 갖추게 됐다”며 “향후 경제성까지 갖춰 독자적인 우주 개발능력을 보유하게 된다면 세계사의 주역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간 지구에 한정돼 있던 과학·기술 적용 영역을, 달·화성 등 미지의 우주 영역까지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선진국은 우주를 국가의 경영 수단으로 삼고 있는데, 한국도 외교·정치·국방 등에 어떻게 이용할지 염두에 두고 국가 경영 전략을 짜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속보] 누리호 3차 발사…첫 손님 싣고 우주로 솟구쳤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3 한인 뉴스 CSU 학비 연간 6% 인상에 무게..평이사회 오늘 논의 report33 2023.07.12 11
712 한인 뉴스 "노숙자 문제 해결에 총력"..LA시장, 비상사태 선언 업데이트에 서명 report33 2023.07.12 11
711 한인 뉴스 디즈니월드 인파 줄어 한산.. "요금 인상·폭염 등 영향" report33 2023.07.11 11
710 한인 뉴스 결혼식에 맥도날드?…인니 등장 '1인 2달러' 가성비팩 report33 2023.07.11 11
709 한인 뉴스 '창문 깨고 불씨 투척' LA시청 방화범 체포 report33 2023.07.11 11
708 한인 뉴스 가주 변호사 시험 비싸진다 report33 2023.07.10 11
707 한인 뉴스 LA Metro, 오늘 전력 공급 문제로 운행 중단된 상태 report33 2023.07.10 11
706 한인 뉴스 본격적 여름 맞아 열사병 우려, 커피와 음료수 그리고 알코올 최악 report33 2023.07.10 11
705 한인 뉴스 반란 2주 지났는데.. 푸틴이 프리고진 그냥 두는 이유 report33 2023.07.10 11
704 한인 뉴스 FDA,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승인.. 보험 적용길 열린다 report33 2023.07.07 11
703 한인 뉴스 스레드, 16시간만에 3천만명 가입…게이츠·윈프리도 계정 오픈 report33 2023.07.07 11
702 한인 뉴스 교통국, 테슬라 오토파일럿 정밀 조사한다 report33 2023.07.07 11
701 한인 뉴스 노동시장 과열 '여전'…6월 민간고용, 전망치 2배 이상↑ report33 2023.07.07 11
700 한인 뉴스 "굿바이 어린이집"…CNN도 놀란 한국 고령화 속도 report33 2023.07.06 11
699 한인 뉴스 美 경제, 낙관론↑/경기침체 가능성 낮아져/하버드대 백인 특혜 Legacy-기부금 입학 비판 report33 2023.07.06 11
698 한인 뉴스 UPS 임금협상 결렬로 파업 가능성 커져 report33 2023.07.06 11
697 한인 뉴스 LA 한인타운 어제밤 말다툼 끝에 총격, 한명 위독한 상태 report33 2023.07.06 11
696 한인 뉴스 지구 평균 기온, 인류 기상 관측 아래 최고치 기록 report33 2023.07.05 11
695 한인 뉴스 WSJ 기자 석방 협상 속도 붙나..러시아 "죄수교환 접촉 중" report33 2023.07.05 11
694 한인 뉴스 남가주 개솔린 가격 다시 오름세로 돌아서 report33 2023.07.05 11
693 한인 뉴스 백악관서 정체불명 백색가루 발견.. 코카인으로 밝혀져 report33 2023.07.05 11
692 한인 뉴스 텍사스서 총격 3명 사망, 8명 부상..독립기념일 연휴 총기난사 잇따라 report33 2023.07.05 11
691 한인 뉴스 오늘밤 '수퍼문'도 독립기념일 밤하늘 밝힌다 report33 2023.07.05 11
690 한인 뉴스 암호화폐 채굴자들, 비트코인 '연고점'에 팔아치운다 report33 2023.07.05 11
689 한인 뉴스 "폐경 호르몬 대체요법, 치매 위험↑" report33 2023.07.04 11
688 한인 뉴스 불볕더위 아래 국경 넘다 상반기 103명 사망.. "목숨걸지 말길" report33 2023.07.04 11
687 한인 뉴스 부메랑 된 트럼프 옛 발언.. "기소 대통령, 전례없는 헌법 위기" report33 2023.07.04 11
686 한인 뉴스 하루 1만명까지 폭증 전망했는데.. 불법입국 3천명대로 급감 report33 2023.07.04 11
685 한인 뉴스 CIA 국장 "우크라전, 러 스파이 모집 절호의 기회" report33 2023.07.02 11
684 한인 뉴스 [영상] NC 샬럿 테마파크 롤러코스터 지지대 균열로 '휘청'.. 가동 중단 report33 2023.07.02 11
683 한인 뉴스 캐런 배스 LA 시장, “지금은 노숙자 문제 관련해 비상상황이다” report33 2023.07.02 11
682 한인 뉴스 “불법이민 권장 발언은 언론의 자유 아니다” 연방대법원 판결 report33 2023.07.02 11
681 한인 뉴스 CDC “60살 이상 시니어 RSV 백신 접종해야” report33 2023.06.30 11
680 한인 뉴스 "소분뇨로 친환경에너지 생산" 875만달러 사기행각 report33 2023.06.29 11
679 한인 뉴스 LA 6지구 시의원 특별선거, 이멜다 파디야 후보 승리 report33 2023.06.29 11
678 한인 뉴스 한국, 세계 3대 친미국…"국민 79% 호감 갖지만 바이든엔 글쎄" report33 2023.06.29 11
677 한인 뉴스 캐시앱, 일부 유저서 '중복결제' 발생 report33 2023.06.28 11
676 한인 뉴스 대한민국이 젊어진다…오늘부터 ‘만 나이’ 통일 report33 2023.06.28 11
675 한인 뉴스 미국 IRS 세무감사 착수 ‘백만장자와 저소득층 주 타켓’ report33 2023.06.28 11
674 한인 뉴스 메타, 자녀 SNS 사용 모니터링 강화 report33 2023.06.28 11
673 한인 뉴스 바이든 공약 '학자금대출 탕감' 대법원 판결 임박…폐기 가능성 report33 2023.06.28 11
672 한인 뉴스 LA 카운티, LGBTQ+ 관련 등 금지 서적들 eBook으로 공급 report33 2023.06.28 11
671 한인 뉴스 CA, 코로나 유급병가 제공한 스몰 비즈니스에 최대 5만달러 지원! report33 2023.06.27 11
670 한인 뉴스 올 독립기념일 연휴 여행길에 오르는 주민 역대 최다 report33 2023.06.27 11
669 한인 뉴스 축구 국가대표 황의조 측 사생활 폭로글에 "사실 무근" 해명했지만...SNS에는 "영상 팝니다" 성행 report33 2023.06.27 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