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24 추천 수 0 댓글 0

반란사태로 균열 시작된 푸틴 철옹성.. '시계제로' 접어든 러시아

Photo Credit: unsplash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용병기업 바그너 그룹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의 반란 사태를 가까스로 해결했으나, 러시아의 진짜 위기는 이제 시작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푸틴의 철옹성에 균열이 시작되면서 러시아가 추가 반란이나 또 다른 급변 사태 등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시계 제로'의 상황에 빠져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러시아 내 파벌들이 자체적으로 무장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반면, 푸틴 대통령의 기반이 약화한 상황 역시 이런 흐름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추가 음모 가능성 커져.. 파벌 간 갈등 폭발할 수도"

현지시간 25일 외신에서는 이번 사태를 지켜본 러시아 내부 권력자들이 서서히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워싱턴포스트는 약해진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 엘리트들이나 러시아 내 체첸공화국, 타타르공화국 등의 지도자들로부터 도전에 직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 역시 이번 사태가 푸틴 대통령을 상대로 한 추가적인 음모의 가능성을 높였다고 지적했다.

러시아 반체제 인사 미하일 호도르코프스키는 WP에 "현재의 위기가 어떻게 끝나든 궁극적으로 푸틴 정권을 더욱 약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반란을 주도한 세력이 용병 기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내전 가능성이 더욱 크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선임 연구원 안드레이 콜레스니코프는 "국가가 자체 기능을 통제할 수 없었다. 국가가 무력 사용을 아웃소싱했고, 법을 어기도록 허용했다"며 "이는 무력 사용에 대한 국가의 독점권을 놓아버린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그는 이번 사태가 "국가 제도의 붕괴"를 뜻한다고 덧붙였다.

러시아 독립신문 네자비시마야 가제타의 편집자 콘스탄틴 렘추코프는 역시 BBC에 민간 군대의 출현이 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정부 내 여러 파벌이 권력 투쟁에 나설 것"이라며 "그들은 지금 많은 무기를 갖고 있다. 심지어 범죄자들도 무기가 많다. 모두가 무기를 갖고 있다"고 우려했다.


라이벌 간의 투쟁을 조장한 뒤 자신이 중재하는 식의 분할통치를 통해 권력을 유지해온 푸틴 대통령의 통치술이 더는 유효하지 않고 오히려 이번 반란으로 이어졌다는 점 역시 지금까지 잠재된 갈등의 연쇄 폭발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 위기 다가오는데.. 땅에 떨어진 푸틴 권위

내부 갈등의 폭발 가능성은 어느 때보다 커진 반면 푸틴 대통령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이번 사태로 푸틴 대통령이 전례 없는 굴욕을 겪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반란의 전개와 마무리까지 모든 과정은 푸틴 대통령으로선 받아들이기 힘든 치욕적인 장면이자, 자신의 취약성을 고스란히 드러낸 꼴이었다.

푸틴 대통령은 반란 직후 대국민 연설에 나서 사태를 반란으로 규정하고 "가혹한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1917년 혁명과 뒤이은 내전까지 소환하며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는 비장한 다짐도 했다. 

그러나 직후 바그너 그룹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은 "대통령이 크게 착각하고 있다"며 투항 요구를 일축했고, 푸틴 대통령은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힌 뒤 불과 12시간도 되지 않아 프리고진과 협상으로 사태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협상 시점 역시 바그너 그룹이 자신의 턱밑인 모스크바 남쪽 200㎞ 내로 진격해온 때로, 프리고진의 위협에 굴복한 것으로 보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게다가 협상에 나선 것도 자신이 후원하는 동맹국 벨라루스의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으로, 국내 문제를 외국 정상이 나서서 해결해준 모양새가 됐다.
 

또한 러시아 정규군은 반란군에 맞설 뚜렷한 의지를 보이지 않았고, 진압에 나선 병력은 바그너 그룹의 반격에 손실만 입고 말았다.

이런 상황에서 온라인상에서는 푸틴 대통령의 피신설까지 나돌았고,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크렘린궁 내에서 집무 중이라고 해명해야 했다.

시민들이 벨라루스로 떠나는 프리고진에 환호한 모습은 이번 사태가 반란이라는 푸틴 대통령의 발언을 무색하게 했다.

영국의 러시아 안보문제 전문가 마크 갈레오티 교수는 더타임스에 "푸틴 정권의 3가지 기반은 개인적 정당성, 보안기구에 대한 통제력, 돈으로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이라며 현재 이들 3가지 모두 흔들리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 보스 간 갈등은 내전과 달라.. 러 정권도 내부단속 강화

다만 내부 갈등이 내전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익명의 소식통은 WP에 "내전은 항상 사회 내 다른 부문 간 갈등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하지만 이번 사태는 보스 대 보스의 싸움일 뿐이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을 정점으로 일사불란하게 통합된 러시아의 집권 체제 하에서 라이벌 간의 견제와 투쟁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이 같은 갈등이 실질적으로 여론의 지지나 정치적 지원을 받기는 힘들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번 반란 과정에서 일부 병사들이 바그너 그룹을 막지 않고 방관한 것을 두고도 프리고진이나 반란에 대한 지지로 보기 어렵다는 해석도 나온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선임 연구원 안드레이 콜레스니코프는 "바그너 그룹이 체포령에도 자유롭게 러시아에서 이동한 것은 적극적인 지원을 받았다는 게 아니라 현지 관리들의 두려움과 무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봐야 한다"며 "그들은 무엇을 위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은 것을 위해 죽고 싶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들은 자동적이고 기계적이긴 하지만, 푸틴에 대한 지지가 남아있다"고 말했다.


푸틴 정권 역시 반란의 의미를 축소하는 한편 서방의 이용 시도를 경계하며 내부 단속에 나서는 모습이다.

전날 외무부는 성명에서 반란이 내부에서 대부분 거부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반란은 해외에 있는 러시아 적들의 손에 놀아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서방에 대해 이번 사태를 이용하려는 시도를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이처럼 단기적 전망은 엇갈리지만 장기적으로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의 위기는 확실하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마크 갈레오티 교수는 "푸틴은 당면한 도전을 완화하거나 제압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치명상을 입었음이 입증될 것"이라며 "역사가 그의 몰락을 기록할 때 여기서 최후의 게임이 시작됐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반란사태로 균열 시작된 푸틴 철옹성.. '시계제로' 접어든 러시아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01 한인 뉴스 김기현 "전임 정권, 한미동맹 많이 훼손…균열 다 메꿔야" report33 2023.07.11 119
2900 한인 뉴스 캘스테이트 10년 만에 학비 인상 추진 report33 2023.07.11 119
2899 한인 뉴스 NWS(국립기상청), 남가주 Valley 지역에 폭염 경보 발령 report33 2023.07.20 119
2898 한인 뉴스 실업수당 청구건수 23만건…2주 연속 예상 밖 감소 report33 2023.07.21 119
2897 한인 뉴스 “한국 오길 잘했다”… 日 아기엄마가 한국에 감동 받은 사연 report33 2023.07.21 119
2896 한인 뉴스 샌프란시스코 다리서 나체 여성, 지나는 차량들 향해 총격 report33 2023.07.28 119
2895 한인 뉴스 [리포트] "일 보다 삶".. 미국인들, 코로나19 이후 일 적게한다 report33 2023.08.07 119
2894 한인 뉴스 월북 미군 '전쟁포로'로 분류 안 해 report33 2023.08.07 119
2893 한인 뉴스 Zelle 송금 사기 "은행 경고 무시해라"/미국인 45% 'AI 일자리 빼앗을까 걱정'/여성 엔터테인먼트 경제 report33 2023.08.08 119
2892 한인 뉴스 열대성 폭풍 힐러리 지나간 LA해변 수질오염 “들어가지 말아야” report33 2023.08.23 119
2891 한인 뉴스 바그너 용병그룹 수장 프리고진, 푸틴복수로 암살됐나 ‘미 CIA 지난달 복수경고’ report33 2023.08.24 119
2890 한인 뉴스 [리포트] 어퍼머티브 액션 없어도 아시안 학생 불이익 지속 report33 2023.08.25 119
2889 한인 뉴스 성취향까지 알아낸다.. 자동차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막대해 report33 2023.09.08 119
2888 한인 뉴스 운전자 허리 휜다! .. LA, OC 개솔린 가격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 report33 2023.09.08 119
2887 한인 뉴스 美실업률 54년만 최저…'금리 인하' 시점은 여전히 안갯속 report33 2023.05.07 120
2886 한인 뉴스 [속보] PGA투어, LIV 골프 합병 합의 report33 2023.06.07 120
2885 한인 뉴스 미·영 대서양 선언…英, IRA 얻었지만 FTA 공약은 불발 report33 2023.06.09 120
2884 한인 뉴스 미국과 중국 5년만의 해빙 돌입 ‘북핵, 한중관계도 돌파구 찾나’ report33 2023.06.20 120
2883 한인 뉴스 미국 대도시 물가진정 도시별 격차 크다 ‘디씨, 뉴욕, LA 등 3%대로 많이 둔화’ report33 2023.06.21 120
2882 한인 뉴스 LA 한인타운 한약국 반려묘 무사히 돌아와.. 용의자는 아직 report33 2023.06.27 120
2881 한인 뉴스 LA시의회, 2030 부산세계박람회 개최 지지 결의안 채택 report33 2023.06.28 120
2880 한인 뉴스 독립기념일 연휴 불꽃놀이 사고로 2명 사망, 수십명 부상 report33 2023.07.05 120
2879 한인 뉴스 파워볼 잭팟 34회 연속 불발.. 당첨금 6억 5천만 달러로 올라 report33 2023.07.10 120
2878 한인 뉴스 머스크, 테슬라 자금으로 '특수유리구조' 자택 건설 계획 report33 2023.07.12 120
2877 한인 뉴스 LA, OC 25 – 34살 10명 중 2명 주택 소유 전국 최저 수준! report33 2023.07.15 120
2876 한인 뉴스 그라나다힐스 118 Fwy 도로 주변 수풀에 화재 report33 2023.07.28 120
2875 한인 뉴스 여름되면서 LA 지역 코로나 19 확산세, 입원율 10% 증가 report33 2023.08.02 120
2874 한인 뉴스 "적절히 대응" 호언장담에도 잼버리 온열 환자 속출...이탈자까지 report33 2023.08.04 120
2873 한인 뉴스 미 "김정은,푸틴 서한 교환 .. 북,러 무기거래 협상 활발 진전" report33 2023.08.31 120
2872 한인 뉴스 LA한인타운 차량 내 물품절도 사건 매일 2.25건 꼴로 발생 report33 2023.04.27 121
2871 한인 뉴스 미국 가계부채, 2경원대로 사상 최대.. 17조달러 첫 돌파 report33 2023.05.16 121
2870 한인 뉴스 미국 중산층 소득으로 살수 있는 주택매물 23%에 불과 report33 2023.06.20 121
2869 한인 뉴스 야생 지구 조례안, LA 시의회 소위원회 통과.. 자연과 조화 report33 2023.06.22 121
2868 한인 뉴스 바이든, 시진핑에 '독재자' 지칭.. 과거 사례도 관심 report33 2023.06.23 121
2867 한인 뉴스 암호화폐 채굴자들, 비트코인 '연고점'에 팔아치운다 report33 2023.07.05 121
2866 한인 뉴스 LAPD 경찰관, 상습적 갱단 Data 위조 혐의로 재판 report33 2023.07.10 121
2865 한인 뉴스 디즈니월드 인파 줄어 한산.. "요금 인상·폭염 등 영향" report33 2023.07.11 121
2864 한인 뉴스 Ventura County에서 LA County까지 추격전, 경찰 2명 부상 report33 2023.07.21 121
2863 한인 뉴스 미국 재즈계 전설 토니 베넷, 노환으로 별세.. 향년 96세 report33 2023.07.22 121
2862 한인 뉴스 LA 카운티, 최근 코로나 19 감염 사례 상당한 증가 report33 2023.07.24 121
2861 한인 뉴스 LA다운타운서 대규모 마리화나 재배 창고 적발 report33 2023.07.27 121
2860 한인 뉴스 서부 한인은행 예금 290억불 넘어…4.9% 성장 report33 2023.07.31 121
2859 한인 뉴스 LA 레즈비언, Spirit Airlines 상대로 성소수자 차별 소송 제기 report33 2023.08.19 121
2858 한인 뉴스 [리포트] 모기지 금리 23년 만에 최고치 경신.. "주택공급 얼어붙어" report33 2023.08.23 121
2857 한인 뉴스 LA 근로자 교통비 연 7000불 report33 2023.09.05 1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