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6월 CPI 3.0% 전망치 하회/근원 CPI도 4%대로 뚜렷한 하락세/Fed 7월 금리인상 유력

Photo Credit: MacroMicro

오늘(7월12일) 발표된 6월 CPI, 소비자물가지수가 3.0%로 나타나 시장 전망치를 하회하면서 물가상승폭 둔화가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CPI도 4.8% 상승해 5월의 5.3%에 비해 0.5%p 떨어지면서 2년여만에 최소폭으로 오른데 그쳤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Fed)가 이 달(7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마지막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긴축 정책을 종료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1.오늘 발표된 6월 CPI가 상당히 낮게 나왔네요?

*연방노동부, 오늘(7월12일) LA 시간 새벽 5시30분, 6월 CPI 발표  6월 CPI 3.0%, 시장 전망치 3.1%를 0.1%p 하회  5월 CPI 4.0%에 비해 한 달 사이에 1.0%p 내려간 수치 

2.역시 함께 발표된 6월 근원 CPI도 예상치를 밑돌았죠?

*6월 근원 CPI, 4.8%로 발표.. 5월 근원 CPI 5.3%  5월 근원 CPI 수치에 비해서 상승폭 0.5%p 둔화  2021년 8월 이후 2년여 만에 최소폭 상승    3.전체 CPI와 근원 CPI가 모두 예상치보다 낮게 나온 것은 의미가 크죠?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1년째 이어지고 있다는 것 확인된 셈  특히 그동안 전체 CPI에 비해 근원 CPI 감소폭 상대적으로 미미  그런데 이번에 근원 CPI도 큰 폭으로 상승세 둔화  매우 의미가 높은 결과라는 분석이 시장에서 나오고 있어  

4.그래도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죠?

*Fed, 이상적 물가 2%로 잡고 있어.. 전체 CPI는 3.0%까지 내려간 상태   다만 근원 CPI는 4.8%로 상승폭 많이 둔화됐지만 2%에 비하면 거의 2.5배 높아  전체 CPI 보다 변동폭 높은 에너지와 식품 제외하는 근원 CPI 더 중시  따라서 근원 CPI 4.8%는 여전히 높다고 보고 0.25%p 인상할 가능성 높아   5.그런데 연방준비제도가 올 하반기에 최소한 2차례 인상할 수있다는 강경한 발언을 최근까지 계속해왔는데 그 부분은 어떻습니까?

*Fed, 점도표에서 올 연말 기준금리 전망치를 5.6%로 내놔  현재 기준금리 5.00~5.25%라는 점 감안하면 앞으로 0.25%p 이상 두번해야 가능  그래서 점도표를 중심으로 2번 더 올릴 수있다는 예측 나온 것   *6월 CPI, 예상치 하회했고 근원 CPI도 예상치 크게 하회  절대적인 수치상으로는 아직도 이상적 물가 목표치 2%에 부족  하지만 추세상 인플레이션 상승폭이 완전히 꺾인 모습   *FOMC, 7월 25일~26일 다음에 9월 19일~20일에 열려  거의 두 달 후에 열리기 때문에 2번 CPI 발표될 예정  변수가 많다는 점에서 2번 금리인상 가능성 높지 않아

6.그러면 이번 6월 CPI 발표로 금리동결 가능성은 없는 겁니까?


*Fed, 근원 CPI가 4.8%로 나왔는데 주거비 상승폭 매우 높아  주거비, 전월 대비 0.4%, 전년 대비 7.8% 각각 올라  그래서 이번 7월 FOMC에서 0.25%p 인상해야할 필요성 느낄 것으로 보여  아직 동결하기에는 근원 CPI가 조금 높다고 여길 가능성 높아  이번에는 0.25%p 인상하는 것으로 거의 굳어진 분위기     7.이번에는 금리인상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인데 올 하반기에 한번 더 인상하는 것은 앞에서도 언급해드렸지만 확실치 않다고 봐야겠죠?

*전문가들, 오늘 6월 CPI 발표 이후 하반기 한차례 인상으로 전망 기울어  즉 Fed가 7월 FOMC에서 0.25%p 인상 후 계속 금리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  이번 6월 CPI 3.0%를 긴축이 확실한 효과를 내고 있다는 확인으로 여길 것으로 보여  따라서 하반기에 금리인상 2차례 할 가능성 매우 낮아진 것으로 판단

8.이렇게되면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정책에도 변화가 생기는 겁니까?

*Fed, 지난해(2022년) 3월 0.25%p 금리인상 시작으로 긴축에 들어가  4연속 자이언트 스텝(0.75%P 인상)을 밟으며 강력한 긴축 정책 펼쳐  이제 1년 4개월여만에 한 때 9%를 넘어섰던 물가가 3.0%까지 내려온 상태  대부분 전문가들, 6월 CPI 발표 후 “이제 기나긴 긴축 정책의 끝이 보인다” 평가   6월 고용지표에서 신규 일자리도 209,000개로 월가 전망치 225,000개 하회  고용시장이 냉각되면서 인플레이션이 2%대 진입을 앞두고 있다는 점  긴축을 멈출 때가 됐다는 인식할 가능성 매우 높은 것으로 보여     9.미국 경제가 침체로 가기전에 인플레이션을 잡고 긴축을 멈출 수있는 그런 가능성이 높아진 거네요?

*미국, 기축통화국으로서 저력을 보여주고 있는 모습  국내 경제가 호조를 보이면서 지난 1년 4개월간 계속된 긴축 이겨내  경기침체 가능성 여러차례 경고됐지만 결국 침체가 아닌 연착륙하는 것으로 보여 

*Fed, 현재 나타나고 있는 흐름상 이번이 마지막 금리인상 타이밍으로 보여  그래서 이번에 한번 더 금리인상으로 하락세 인플레이션을 확실히 눌러 놓을듯  이번 7월 FOMC 이후 두 달 정도 있다가 9월 FOMC 열리는 타이밍 절묘  지금 추세라면 9월 FOMC 열릴 때쯤 인플레이션 상승폭 거의 2.0%까지 떨어질듯  이번에 0.25%p 인상해서 이같은 흐름에 완전히 쐐기를 박을 것으로 예상돼 

 

 

 

출처: 6월 CPI 3.0% 전망치 하회/근원 CPI도 4%대로 뚜렷한 하락세/Fed 7월 금리인상 유력


  1. 1년 넘게 결핵치료 안 받고 돌아다닌 여성 체포돼

  2. 1분기 성장률 2%로 확정…종전 발표보다 0.7%P↑

  3. 1살 동생에 총 쏜 5살 코카인 양성.. 동생은 마리화나

  4. 2.5㎏ 조산아, 90세 몸짱 됐다...'최고령 보디빌더' 건강 비결

  5. 200개 신문사, 구글 상대로 소송.. "디지털 광고시장 독점"

  6. 2020년 대선 때 바이든 많이 찍었던 주, "전기차도 많이 샀다"

  7. 2023 미국 독립기념일 한인 현주소 ‘영주권,시민권 회복세, 탄력부족’

  8. 2024 공화당 대선 경선 오늘 첫 토론, 남가주 Watch Party

  9. 2024선거 출마, 재선 한인 역대 최다 .. 한인 정치력 신장 교두보

  10. 20대 남성 1명, 도로 분노 총격 사건으로 마리나 델 레이서 숨진 채 발견

  11. 24시간 운행 무인택시, '움직이는 러브호텔' 우려

  12. 25세는 돼야 우버 운전…보험 상승에 연령 올려

  13. 27일 '전국 극장의 날' 맞아 영화 티켓 4달러

  14. 2개국어 사용, 치매 발병 확률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나와

  15. 2분기 성장률 2.4%→2.1%로 하향…2%대 유지

  16. 2분기 실적발표 앞둔 애플 주가 종가기준 역대 최고

  17. 2천만 달러 상금 내걸린 'AI활용 소프트웨어 취약점 찾기' 대회

  18.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 7.23% 돌파.. 2001년 이후 최고

  19. 3살 아들 등원 가방에 총 넣은 TX 남성 체포

  20. 3살 아들 없애려 청부 살인업체 고용한 여성 체포

  21. 3주 뒤 추석, 한인 고국선물 품목·혜택 풍성

  22. 405번 프리웨이서 걷던 1명 차에 치여 사망

  23. 40년 이어온 한인 가게 문 닫자…브로드웨이 배우들 깜짝 송별회

  24. 40대 한인 남성 LA 프리웨이서 투신 사망

  25. 4년간 학부모 민원 시달리다 초등교사 또 숨져‥"아무도 도와주지 않았다"

  26. 4번 체포됐다 풀려나..결국 살인사건 발생/CA '최고의 주' 순위 하락

  27. 4월 구인건수, 다시 1천만건 돌파…식지 않는 노동시장

  28. 4월 무역적자, 23% 급증해 6개월만에 최대.. 대중무역 비중↓

  29. 4일 국립공원 입장 무료

  30. 5% 넘는 금리에.. 미 단기국채 인기 "3개월간 1조달러 넘어서"

  31. 50살 남성, 그리피스 팍 등산로에서 쓰러져 숨져

  32. 540만 달러 당첨금 파워볼 티켓 버뱅크서 판매

  33. 5년 전 “BTS 주목” 외친 美 교수 “한국 기업이 세상 바꿀 수 있어"

  34. 5월 무역적자 7.3% 감소…수입, 1년7개월 만에 최저치

  35. 5월 소비자물가 CPI 4%↑…인플레이션 둔화세 지속

  36. 5월 주택착공, 22% '깜짝 급증'…1년여만에 최다

  37. 5월 집값, 11년 반만에 최대폭 하락

  38. 60살 전에 당뇨 앓으면 치매 위험 3배 높아진다

  39. 65세 이상 16만 명 치매•인지장애

  40. 6개 OC 학교, 美 연방교육부 선정 모범학교에 포함

  41. 6월 '월렛허브 경제 지수' 소비자 재정 전망 밝아져/미 자동차 시장 상승 중

  42. 6월 CPI 3.0% 전망치 하회/근원 CPI도 4%대로 뚜렷한 하락세/Fed 7월 금리인상 유력

  43. 6월 무역적자 655억달러.. 전월대비 4.1%↓

  44. 6월 부터 '만 나이', 한 살씩 어려진다…국민 80% 우려한 일

  45. 6월 성소수자의 달 기념 깃발, 사상 최초로 LA 카운티 청사 게양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