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0 추천 수 0 댓글 0

CA 주 예산 적자 315억달러, 흑인 노예 후손 금전적 배상 논란

흑인 노예 후손들에게 최대 120만달러까지 지원할 것으로 알려져
보건 격차 해소에 13,619달러, 주택 차별 배상금으로3,378달러
6월초 여론조사에서 CA 주민들 50%가 금전적 배상에 반대해
개빈 뉴섬, “흑인 노예 후손에 대한 지급은 다양한 여러가지 형태

Photo Credit: Glenn Grush

최근 CA 주가 배상 태스크 포스를 구성해서 흑인 노예 후손들에게 금전적 배상을 하는 방안을 연구해 구체적으로 얼마를 지급할지에 대해서 초안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노예 후손 1인당 최대 120만달러까지 배상하는 것으로 드러나자 예산 적자 315억달러 CA 주가 지나치게 무리하는 것이라는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빈 뉴섬 CA 주지사는 흑인 노예 후손 배상이 다양한 여러가지 형태로 지급될 것이라면서 강행의 뜻을 굽히지 않고 있고 CA 주가 성공해야 미국에서 흑인 노예 후손에 배상하는 움직임이 강해질 것이라며 선도자적인 입장이라는 것까지 강조해 논란이 일고 있는 모습이다.

주형석 기자입니다.  

전국에서 CA 주가 과거 흑인 노예 제도 잘못을 인정하고 흑인 노예 후손들에 대한 배상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는 모습인데 이에 대해서 반발도 커지고 있어 어떤 결론이 내려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특히 금전적 배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매우 높은 것이 변수로 꼽힌다.

LA Times는 CA 주 예산 적자가 315억달러에 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흑인 노예 후손들을 대상으로 거액의 배상을 해주는 안에 대해 CA 주민들의 상당수가 반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주도하고 있는 민주당에 부담이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달(6월) 초에 실시된 한 여론조사에서는 CA 주민들 50%가 흑인 노예 후손들에 대해서 금전적 배상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응답했다.

며칠전에 실시된 다른 여론조사에서는 반대 비율이 65%에 달했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CA 주가 흑인 노예 후손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배상하는 방안을 태스크 포스를 구성해 마련함에 따라 앞으로 반발하는 여론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CA 배상 태스크포스가 마련한 안의 내용을 살펴보면 백인, 아시안, 라티노 등 다른 주민들과의 보건 격차 해소를 위해 흑인 노예 후손들에게 1인당 13,619달러를 지급해야한다는 권고가 들어있다.

또 주택 차별이 이뤄진 것에 대해 3,378달러씩 지불하는 것도 포함됐다.

CA 배상 태스크포스 안에 따르면 흑인 노예 후손 1인당 최대 120만달러까지 현금을 지급받을 수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CA 주의 흑인 노예 후손들에 대한 지급 방안이 알려지면서 예산 적자가 315억달러에 달하는 상황에서 지나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개빈 뉴섬 CA 주지사도 이같은 여론을 의식한 듯 얼마전 FOX News에 출연해 배상금이라는 것이 단순한 현금 지급 이상이라고 언급했다.

FOX News 진행자 숀 해니티가 좀 더 디테일한 대답을 하라고 압박하자 개빈 뉴섬 주지사는 아직 태스크포스 Final Report를 읽지 않았다고 말하면서 단순한 현금 지급만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인 배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개빈 뉴섬 주지사는 무엇이 달성 가능하고, 무엇이 합리적인지, 무엇이 올바른 것인지 등에 대한 균형을 찾는 작업을 하게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처럼 흑인 노예 후손들에 대한 지원을 놓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흑인 커뮤니티는 Sacramento에서 열린 마지막 태스크포스 회의에서 선거에서 흑인 유권자들 파워를 강조하며 조속한 통과를 촉구하기도 했다.

특히 개빈 뉴섬 주지사에게 흑인 유권자들이 지켜보고 있다는 표현까지해 이 배상안이 현실화되지 않는다면 흑인들 지지를 상실할 수도 있음을 경고했다.

흑인 커뮤니티는 개빈 뉴섬 주지사가 동성결혼, 총기규제 등에서 강력하게 CA 주 정책을 밀어붙였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흑인 노예 배상도 다를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출처: CA 주 예산 적자 315억달러, 흑인 노예 후손 금전적 배상 논란


  1. 6월부터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 - 사실상 엔데믹, 완전한 일상회복 선언

  2. 70대 남성, 벤추라서 이틀간 조난 후 구조돼

  3. 730 피트 다리에 매달린 19살 소년, 1시간 이상 버틴 끝에 구조돼

  4. 7년 전 자바시장 돈세탁, 탈세혐의 기소 한인업주 1억달러 추징, 1년 징역형 선고받아

  5. 7월 PCE가격지수 전년대비 3.3%↑…6월대비 소폭 상승

  6. 7월 무역적자 650억달러, 전월대비 2%↑..3개월 만에 확대

  7. 7월 민간고용 32만4천개 '깜짝' 증가.. 전망치 2배 육박

  8. 7월 소매 판매 0.7% 증가…경제 연착륙 기대 강화

  9. 7월 소비자물가 3.2%↑…전월대비 소폭 상승

  10. 7월 전국 주택거래 줄고 집값 상승세 지속

  11. 7월부터 '간병인 서비스' 전자방문확인서 제출해야..LA한인회 세미나 연다

  12. 7월부터 웨스트 헐리웃 최저임금 19.08달러

  13. 80대 바이든 백전노장 정치 9단이냐, 불안한 노약자냐

  14. 80세 파킨슨병 노인 등 태운 버진갤럭틱 첫 우주관광비행 성공

  15. 83살 펠로시 내년 총선 나서.. 고령정치인 바라보는 따가운 시선들

  16. 8월 소매판매 전월대비 0.6%↑…기름값 상승 여파

  17. 8월 소비자물가 CPI 3.7%↑…고유가에 전월대비 상승

  18. 8천 에이커 전소시킨 ‘래빗 산불’ 진화율 45%

  19. 9·11테러 후유증 사망 소방관, 당일 현장서 숨진 대원과 맞먹어

  20. 9번째 불법이민자 버스 LA 도착..캐런 배스 “폭풍 속 보내다니..사악”

  21. 9살에 美대학 입학한 소년, 3년만에 5개 학위로 졸업…학점 3.92

  22. 9월말까지 예산안 처리 못하면 셧다운..연방 공무원 수십만명 급여중단 위기

  23. AAA, 주유비 절약하는 '꿀팁' 공개

  24. Acton Fire, 어제(7월3일) 오후 발생.. 14 에이커 전소

  25. AI 발달에 '부적절 내용' 걸러내는 업무↑.. "직원들 트라우마"

  26. AI로 폭발한 GPU 수요 "美 코로나 때 화장지만큼 구하기 힘들어"

  27. Amazon, 예상치 넘어선 실적발표 호조에 주가 급등

  28. Apple, 주가 5% 가까이 폭락.. 2분기 실적 부진 영향

  29. Baldwin Hills에서 ‘노숙자 이동’ Inside Safe 작전 실시

  30. BTS 슈가 입대 "방탄 노년단 될때까지 만나요"

  31. BTS 키운 방시혁 의장, 2640만불 LA저택 매입

  32. CA 랜드연구소 "심해지는 기후위기에 미군 작전능력까지 타격"

  33. CA 마리화나 TF, 사상 최대 단속 작전 통해 대규모 적발

  34. CA 변호사협회, 변호사 1,600명 이상 무더기 자격정지

  35. CA 음식물 쓰레기 폐기법, 내년(2022)부터 시행

  36. CA 의사당에서 총격 피해자 발견

  37. CA 읽고 쓰기 교육 심각한 수준, 4학년 전국 32위

  38. CA 정유회사 바가지 요금 철퇴법 발효 .. 개솔린 가격 하락할까?

  39. CA 주 ‘노새 사슴’ 첫 야생동물 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

  40. CA 주 예산 적자 315억달러, 흑인 노예 후손 금전적 배상 논란

  41. CA 주 의회, 교도소 분리감금 엄격히 제한하는 AB 280 추진

  42. CA 주 의회, 총기와 탄약 판매에 새로운 세금 부과 법안 승인

  43. CA 주, LGBTQ+와 인종 수업 금지 학교에 벌금 부과 법안 승인

  44. CA 주, OC 교통국 2개 프로젝트에 4,500만달러 지원

  45. CA 주, 잔디밭 식수 사용 금지 법안 통과.. 사실상 잔디 퇴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