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1 추천 수 0 댓글 0

"K팝 등 한류 열풍에 미국서 한국식 핫도그 인기 확산"

 

미 NBC 방송 "대도시 이어 미국 중서부·남부까지 진출"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K팝 등 한류 물결을 타고 미국에서 한국식 핫도그가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NBC방송은 14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콘도그'(corn dog)라고 불리는 한국식 핫도그가 K팝, K드라마, K뷰티, K푸드 등의 열풍에 힘입어 그 인기가 뉴욕과 로스앤젤레스(LA)와 같은 대도시를 넘어 미국 중서부와 남부까지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에서 한국식 핫도그는 2021년부터 틱톡과 인스타그램 같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유행하기 시작했다.
뉴욕 등 대도시의 한국식 핫도그 가게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려 핫도그를 사 먹는 현지인들의 모습이 SNS에 자주 등장했다.
지금은 뉴욕과 LA 등지에서의 대규모 유행은 다소 주춤해졌지만 이후 한국식 핫도그 체인이 아칸소, 캔자스, 텍사스, 미주리주와 같은 미국 중심부로 진출하면서 세를 넓히고 있다는 것이다.


NBC는 한국식 핫도그가 옥수숫가루 대신 밀가루나 쌀가루 반죽을 사용해 쫄깃한 식감을 내고 소시지, 모차렐라 치즈 또는 어묵 등을 반반씩 섞어 다양한 맛을 낸다고 설명했다.
한국이 저소득 국가이던 1970년대에는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 육류를 구하기 어려워서 어묵과 밀가루를 섞어 핫도그를 만들었다고 NBC는 한국식 핫도그의 탄생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 미군이 한국에 주둔하면서 햄과 소시지 같은 가공육이 전해지면서 핫도그 안에 들어갈 수 있었다고 매체는 전했다.
이주연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교수는 "핫도그가 한국에서는 옛날 음식이 됐으나 10년 전쯤 향수를 자극하는 마케팅을 통해 부활했다"며 "지금은 수많은 핫도그 프랜차이즈가 생기고 주요 식품 기업들이 포장 핫도그를 생산해 수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식품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에서 한국식 핫도그의 인기가 앞으로도 상당 기간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유행 속도가 빠른 대도시에서는 인기가 다소 꺼졌지만 소도시 등 새로운 지역으로 옮겨가며 유행이 계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캔자스주에서 가족과 함께 한국식 핫도그 체인점을 운영하는 데이비드 안은 "대도시에서는 한국인 고객이 대부분이지만 우리는 백인과 흑인 고객을 겨냥하고 있고 한국인 고객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라틴계, 백인, 흑인 등 젊은 층이 관심이 많다"며 "대부분 K팝 덕분"이라고 덧붙였다.
아시아 식품 유통업체를 운영하는 로빈 리는 "한국 음식은 미국의 백인뿐만 아니라 다른 인종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다"라며 "그들이 한국 음악을 듣고 드라마를 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출처: "K팝 등 한류 열풍에 미국서 한국식 핫도그 인기 확산"


  1. 티나 놀즈 헐리웃 자택 털려..100만 달러치 귀중품,현금 피해

  2. 캘스테이트 10년 만에 학비 인상 추진

  3. LADWP, 저소득층 에어컨 설치에 225달러 리베이트 제공

  4. 고객 속인 뱅크오브아메리카.. 1억5천만달러 벌금

  5. 우크라전 참전 러시아군 약 5만명 전사

  6. 인플레 둔화 가속…6월 생산자물가, 3년만의 최소폭 0.1%↑

  7. 파워볼 복권, 1등 또 불발.. 새 당첨금 8억 7,000만달러 넘어

  8. 전기차 신차, 딜러에 재고 쌓인다…공급 증가 인벤토리 350%↑

  9. CA 주 예산 적자 315억달러, 흑인 노예 후손 금전적 배상 논란

  10. LA 다운타운 시청 부근에서 총격, 30살 남성 사망

  11. 라이트급 세계 복싱 통합 챔피언, LA에서 총기 소지 체포

  12. 머스크 "나의 AI는 수학 난제, 우주의 비밀 탐구할 것"

  13. [속보]尹·젤렌스키 "우크라 재건에 협력…군수물자 더 큰 규모 지원"

  14. 미국심장협회 “전자담배 심장·뇌·폐에 악영향”

  15. 프론티어 항공권 29달러 '파격 할인'

  16. 해병대, 고 채수근 상병에게 보국훈장 '광복장' 추서

  17. LA 카운티, 최근 코로나 19 감염 사례 상당한 증가

  18. LAPD, 이번 주말 LA 한인타운 등 곳곳에서 음주단속

  19. 노스리지 파티장서 총격 10살 소녀 부상 .. 참변 날뻔!

  20. 미국 일찍 시작하고 일찍 끝내는 ‘조조 국가’로 급변

  21. 인플레이션 둔화된다는데 LA, OC 개솔린 가격은 5달러 코앞

  22. "미국 유사시 위성 신속발사 능력, 중국에 뒤처질 위험"

  23. [속보] 연준, 기준금리 0.25%p 인상..직전 동결 뒤 '베이비스텝'

  24. 가상화폐범죄 단속 이끈 한인 검사, 연방 법무부 안보 부차관보로

  25. 맥카시 하원의장 바이든 탄핵조사로 입장 선회 ‘워싱턴 먹구름’

  26. 결혼자금 '양가 3억' 증여세 공제…"현실적 대책" vs "부 대물림"

  27. 남가주 개솔린 가격 오늘도 큰폭 상승..LA $5.029

  28. 연쇄 성폭행 용의자, 멕시코에서 체포돼 LA로 압송

  29. 아이들과 차에서 사는 싱글대디 위해 모금 시작한 틱톡커.. ‘선한 영향력’ vs '무모함'

  30. 미국경제 2분기 2.4% 성장 ‘파월 더 이상 올해 불경기 없다’

  31. 그라나다힐스 118 Fwy 도로 주변 수풀에 화재

  32. 울타리몰, 전남 우수 브랜드 '남도미향' 특판행사

  33. 미국발 콘크리트 테이블서 마약 적발…X레이 검사…깨보니 마약나와 대마초 1만7천명 동시 투약량

  34. "소녀상 굳건히 지켜야"…건립 10주년 기념식 성황

  35. LA 한인타운 인근 Westlake 총격사건, 60대 남성 중태

  36. 남부 폭염에 사막 식물 선인장도 말라 죽어

  37. LA개솔린 가격 5달러 넘은 후에도 계속 상승세

  38. 트럼프 54% vs 디샌티스 17%…여론조사는 압도적

  39. 올림픽경찰서에 한국어 통역관 배치 추진

  40. 파워볼, 당첨자 나오지 않아.. 새 당첨금 1억 달러 육박

  41. LA 시의회, 오늘 LA River Valley Bike Path Project 처리

  42. "미국인들 국내 대신 해외여행 많이 떠나"/Z세대, personal color 진단 받으러 한국여행

  43. 학자금 미상환 대출 잔액, 올 1분기 말 기준 1조 6,400억달러

  44. [리포트] "일 보다 삶".. 미국인들, 코로나19 이후 일 적게한다

  45. Amazon, 예상치 넘어선 실적발표 호조에 주가 급등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