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온열질환 사망자 증가세..기온 상승에 노숙자, 약물남용 탓/올해 노동절 소비 감소 전망

Photo Credit: Unsplash

*CA주를 비롯한 미 전역에서는 온열 질환 환자나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기온이 오르기 때문만은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그 외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올해(2023년) 노동절 연휴 여행을 떠나는 미국인들이 많을 것으로 전망된 반면 소비는 작년보다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나왔습니다. 이를 비롯한 노동절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짚어봅니다.
 

박현경 기자!

1. 지난 며칠새 LA 등 남가주 지역 날씨가 매우 더웠습니다. 이런 가운데 온열질환 환자와 사망자도 증가하는 추세를 이어가고 있죠?

네, CA주는 물론 전국적으로 온열 질환 환자나 관련 사망자 수는 최근 몇년 사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 CDC에 따르면 지난해(2022년) 열(heat)로 인해 전국에서는 약 천 670명이 숨졌습니다.

이는 인구 백만명 당 약 5명의 주민이 사망한 것인데요.

이런 열 관련 사망 비율은 최소 지난 20년 동안 최고를 기록한 겁니다.

올해는 미국 대부분 지역들이 유독 더운 해로 기록됐는데, 아직까지 관련 자료가 나오진 않았구요.

두 번째 높은 비율을 기록한 해는 2021년이었습니다.



2. 전국 수치를 알아봤고, CA주는 얼마나 많은 주민들이 온열 관련 질환으로 숨졌습니까?

네, 지난해 모두 164명이 열사병 등 온열 질환으로 사망했습니다.

인구 백만명당 약 4.2명이 목숨을 잃은 셈입니다.

지난 20년 동안 이보다 더 높은 비율을 기록했던 적은 단 한번 있었는데요.
 

2006년 폭염이 강타했을 당시였습니다.

그러니까 지난해 CA주에서 인구 백만명 당 4.2명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것은 상당히 높은 수치에 해당합니다.



3. 그런데 이처럼 온열 질환 사망자가 늘어나는 이유가 단순히 기온 상승 때문만은 아니라구요?

네, 그렇습니다.

물론, 이런 추세를 가장 심플하게 설명하는 것은 기온이 올랐기 때문만은 분명합니다.

연방 항공우주국 NASA가 무려 1800년대 말부터 내놓은 자료를 보면 지난 8년간 가장 더운 기록이 나왔습니다.

점점 더워지다보니 온열 질환 사망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설명하지 않아도 충분히 이해가 가는 부분이죠.

그런데 기후 변화 외에 다른 요인들도 있었다는 점이 눈에 띄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약물 남용입니다.



4. 약물 남용이 어떻게 해서 온열 질환 사망자를 높였다는 겁니까?

약물 남용, 그중에서도 메탐페타민이 온열 질환 사망에 주요한 요인으로 떠올랐는데요.

메탐페타민은 체온을 위험한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잘 아시겠습니다만, 메탐페타민 남용이 최근 심각해졌구요.

메탐페타민, 약물 남용이 더위와 노숙자 수 증가 등과 합쳐지면 치명적일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실제로 이를 뒷받침할 만한 내용이 있는데요.

CDC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2022년, 작년까지 CA주 사망진단서 약 140장에 온열 질환과 약물 남용이 같이 적혀있습니다.

이는 온열 질환 관련 전체 사망의 약 25%에 해당하는 겁니다.

다시 말해, 온열 질환 가운데 4분의 1 가량은 온열 질환에 더해 약물 남용까지 사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줍니다.



5. 앞서 노숙자 얘기도 잠깐 언급했는데, 노숙자가 늘어난 점도 온열 질환 사망이 증가하는 한 원인이겠죠?

네, 맞습니다.

CA주 등 날씨가 뜨거운 미 서부 지역들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노숙자 수가 지난 몇년 동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런 노숙자들은 폭염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는 환경입니다.

그러다보니 온열 질환을 앓는 경우도 많은데요.

CA주 자료를 보면,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온열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전체 13%가 노숙자였습니다.


연방정부 자료에 따르면 CA주에 주택이 없는 17만 2천명은 CA주 전체 인구의 0.5% 미만에 불과한데요.

이에 비해 온열 질환 입원환자는 13%라고 하니 얼마나 더위에 취약한지 잘 알 수 있습니다.



6. 기온 상승과 약물 남용, 노숙자 수 증가 외에 온열 질환 사망이 늘어나는 다른 요인이 또 있을까요?

네, 마지막으로, 고령 인구가 늘어난 것 역시 온열 질환 사망이 증가하는 한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고령층은 젊은층 만큼 온도 변화에 잘 적응하기 힘들다고 하구요.

이에 더해 더위로 인해 악화되는 만성 질환을 앓는 경우도 상당수입니다.

그런데 CA주는 물론 미 전역에서 베이비부머 세대가 나이를 먹으며 고령층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다 보니 온열 질환 사망이 증가세를 나타낸다는 분석도 함께 나왔습니다.



7. 다음 소식입니다. 앞서 모닝뉴스 시간에 이번 노동절 연휴 동안 여행을 떠나는 미국인들이 많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여행 외에 노동절 관련 다른 여론조사 결과를 알아보도록 하죠?

네,재정 전문 회사, 왈렛허브가 이달(8월) 7일부터 11일까지 노동절과 관련된 여러 질문을 통해 미국인들의 여론을 알아봤는데요.

조사 결과, 우선 올해 노동절 연휴 소비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응답자 과반인 55%가 이번 노동절에 지난해보다 더 적게 소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번 노동절 연휴 동안 지난해와 비교해 쇼핑에 나설 계획인 미국인도 1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왈렛허브는 이처럼 소비를 줄이려는 계획은 최근 인플레이션이 둔화됐다 하더라도 높은 물가에 주민들의 지갑이 얇아졌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이번 조사에서 다른 결과들도 보면, 미 노동자들의 인플레이션, 직업 안정성 그리고 인공지능 AI에 대한 우려가 잘 나타났다고 왈렛허브는 지적했습니다.



8. 어떤 조사결과가 나왔길래, 그런 우려가 나타났다고 한 것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죠?

네, 전체 응답자 10명 가운데 9명꼴인 87%는 인플레이션에 맞추기 위한 임금 인상을 원한다고 밝혔구요.

임금이 인상되기를 단순히 바라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인플레이션 때문에 일을 더 열심히 한다는 미국인도 10명 가운데 6명꼴(63%)에 달했습니다.

또 인플레이션이 노동절 여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여행을 덜 하려 한다는 미국인도 10명 가운데 6명꼴(61%)이나 됐습니다.



9. 직업 안정성과 AI에 관한 걱정은 얼마나 큰 것으로 나왔습니까?

네, 직업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 10명 가운데 2명꼴 정도(23%) 있었습니다.


이들은 작년 노동절과 비교해 1년 사이 직업 안정성을 더 많이 걱정한다고 대답했습니다.

AI에 대해 걱정하는 미국인은 그보다 더 많았습니다.

전체 10명 가운데 4명꼴(37%)이 AI가 자신의 일자리를 빼앗아갈까봐 걱정된다고 했습니다.  



10. 한편, 미국인들이 병가를 가장 많이 내는 날에 관한 조사도 나왔죠. 언제입니까?

네, 이건 다른 조사에서 나온 내용인데요.

한 날짜가 꼽혔습니다.

바로 ‘8월 24일’입니다.

바로 며칠 전이었는데요.

직장인 연차관리시스템회사 ‘플라밍고’가 지난 5년 동안 미 근로자의 병가데이터를 조사한 결과를 인용해 해마다 8월 24일이 직장인들이 상사에게 일을 할 수 없다고 가장 많이 말하는 날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지난 28일 전했습니다.

전체 직원의 1%에 달하는 0.9%가 8월 24일에 병가를 냈는데,   이는 연중 다른 어떤 날보다도 높은 비율이라는 설명입니다.

그리고 이날 병가가 가장 많은 것은 노동절 연휴를 앞두고 하루 쉬고 싶어서일 수도 있고, 정말로 이날 많은 미국인이 확률적으로 아픈 것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여름이 끝나면서 우울해져서 그럴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8월 24일에 이어서는 두 번째로 병가가 많은 날은 2월 13일로, 수퍼볼과 밸런타인데이 전후였습니다.



11. 병가를 요청하면서 어디가 아픈지 얘기할 때 가장 많은 증상에 대한 조사도 나왔죠? 어떤 증상이 가장 많이 언급됩니까?

가장 많은 것은 장염(stomach bug)이었습니다.

병가를 요청하는 직원들의 과반인 54%가 장염을 이유로 병가를 냈구요.

이들은 구토나 설사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고 했습니다.

이어 25%는 코로나바이러스를 이유로 꼽았고, 스트레스와 불안 9%, 부상 6% 그리고 다른 이유 6%라고 연락했습니다.

 

 

 

 

출처: 온열질환 사망자 증가세..기온 상승에 노숙자, 약물남용 탓/올해 노동절 소비 감소 전망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13 한인 뉴스 美한인 '내집 보유율' 아시아계 평균 이하…中·일본계보다 밑 report33 2023.04.29 15
2512 한인 뉴스 휴스턴에서 30대 후반 남성, 이웃집에 총격 가해 5명 살해 report33 2023.04.29 16
2511 한인 뉴스 CA, 트럭과 열차에 대한 획기적 매연 무배출 규칙 승인 report33 2023.04.29 13
2510 한인 뉴스 리처드 리오단 前 LA 시장 추모 미사, 어제 LA 다운타운에서 열려 report33 2023.04.29 13
2509 한인 뉴스 미국, 트랜스젠더 등 성소수자 규제법 보수 성향 주에서 확산세 report33 2023.04.29 17
2508 한인 뉴스 바이든이 尹 위해 준비한 음료…용산서 '제로 콜라' 반긴 이유 report33 2023.04.29 10
2507 한인 뉴스 美 퍼스트리퍼블릭, 대형은행에 넘어가나…시장영향 제한적일듯 report33 2023.04.29 17
2506 한인 뉴스 美 "러 전투기, 시리아서 美전투기 초근접 비행…도발 목적인듯" report33 2023.04.29 16
2505 한인 뉴스 조교 진→훈련병 제이홉, 나라 지키는 방탄소년단 [Oh!쎈 이슈] report33 2023.04.29 16
2504 한인 뉴스 韓 떠난 故서세원, 유해로 송환…오늘(30일)부터 조문 [Oh!쎈 이슈] report33 2023.04.29 12
2503 한인 뉴스 美 의회조사국, 반도체법 자료서 "과도한 동아시아 의존 우려" report33 2023.04.29 7
2502 한인 뉴스 “1조 파티? 주최 아닌 게스트” 임창정, 주가조작 논란 후폭풍ing [종합] report33 2023.04.29 20
2501 한인 뉴스 “당신의 커리어가 뉴스가 됩니다” 셀프 브랜딩 돕는 플랫폼 나왔다 report33 2023.04.29 16
2500 한인 뉴스 연세사랑병원, 한국인 위한 ‘인공관절’ 개발...식약처 허가 획득 report33 2023.04.29 13
2499 한인 뉴스 남가주 임페리얼 밸리서 규모 4.0 이상 지진 잇따라 발생 report33 2023.05.01 17
2498 한인 뉴스 요세미티 국립공원 예정보다 앞서 오늘 리오픈 report33 2023.05.01 12
2497 한인 뉴스 오늘 그로브몰 부근서 대규모 행진 “집단학살 끝내라” report33 2023.05.01 17
2496 한인 뉴스 오늘 남가주 일부 지역 강풍 주의보 report33 2023.05.01 15
2495 한인 뉴스 머스크 5월부터 "트위터 기사 건당 유료화" report33 2023.05.01 11
2494 한인 뉴스 40년 이어온 한인 가게 문 닫자…브로드웨이 배우들 깜짝 송별회 report33 2023.05.01 16
2493 한인 뉴스 이혼할 때 감정, 남성은 "애증 교차" 여성은 "해방감 느꼈다" report33 2023.05.01 15
2492 한인 뉴스 러, 임박한 우크라 대반격에 '우왕좌왕'…중요 참모 전격 경질도 report33 2023.05.01 11
2491 한인 뉴스 "향후 5년 세계 고용시장 격변…AI탓 일자리 2천600만개 사라져" report33 2023.05.01 17
2490 한인 뉴스 비트코인 가격 4개월 연속 상승…"10만 달러 가능성" 기대도 report33 2023.05.01 19
2489 한인 뉴스 뉴욕시 차량 절도로 골머리…위치 추적용 에어태그 배포 report33 2023.05.01 14
2488 한인 뉴스 코트라, 텍사스 반도체 센터 열어 한국 중소·중견기업 미 진출 지원 report33 2023.05.01 16
2487 한인 뉴스 아시안 노부부 저택에 무장강도 report33 2023.05.01 15
2486 한인 뉴스 "가든그로브를 관광 중심지로" report33 2023.05.01 23
2485 한인 뉴스 6월 부터 '만 나이', 한 살씩 어려진다…국민 80% 우려한 일 report33 2023.05.01 11
2484 한인 뉴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6) 낯선 한인에서 '멕시칸 인싸'로 report33 2023.05.01 12
2483 한인 뉴스 남가주 한인은행들 금융 불안에도 ‘선방’ report33 2023.05.01 19
2482 한인 뉴스 "JP모건·PNC 등 3개 업체, 퍼스트리퍼블릭 인수 의향서 제출" report33 2023.05.01 17
2481 한인 뉴스 CA, 이번 5월 ‘스몰 비즈니스의 달’선포 “캘리포니아 드림 위해” report33 2023.05.02 11
2480 한인 뉴스 빅베어 공항 인근서 소형 비행기 추락 사고...3명 사망 report33 2023.05.02 15
2479 한인 뉴스 LA한인타운 인근 고등학교에서 10대 2명 흉기에 찔려..인근 도로 통제 report33 2023.05.02 10
2478 한인 뉴스 2024선거 출마, 재선 한인 역대 최다 .. 한인 정치력 신장 교두보 report33 2023.05.02 15
2477 한인 뉴스 "오늘부터 LA카운티 직할구역 외 레스토랑은 일회용 포장용기 사용 금지" report33 2023.05.02 11
2476 한인 뉴스 40대 한인 남성 LA 프리웨이서 투신 사망 report33 2023.05.02 98
2475 한인 뉴스 수출 7개월 연속 감소, 무역수지 14개월째 적자 ‥반도체 회복 언제쯤? report33 2023.05.02 17
2474 한인 뉴스 美, 하와이 상공 정체불명 풍선 추적…“당장 격추하진 않을 것” report33 2023.05.02 16
2473 한인 뉴스 임창정, "결백" 하다지만…'꼬꼬무' 주가 조작 의혹 연루 [Oh!쎈 이슈] report33 2023.05.02 9
2472 한인 뉴스 [영상] 찰스 3세 대관식에 2천200여명 초대…북한 김정은은 빠져 report33 2023.05.02 17
2471 한인 뉴스 집값 폭등에 트레일러서 숙식하는 美 명문대생…노숙하는 학생도 report33 2023.05.02 13
2470 한인 뉴스 모건스탠리, 6개월 만에 3000명 추가 감원 계획 report33 2023.05.02 12
2469 한인 뉴스 어린이부터 청년까지…美 젊은층서 정신건강 관련 응급환자 급증 report33 2023.05.02 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