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온열질환 사망자 증가세..기온 상승에 노숙자, 약물남용 탓/올해 노동절 소비 감소 전망

Photo Credit: Unsplash

*CA주를 비롯한 미 전역에서는 온열 질환 환자나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기온이 오르기 때문만은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그 외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올해(2023년) 노동절 연휴 여행을 떠나는 미국인들이 많을 것으로 전망된 반면 소비는 작년보다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나왔습니다. 이를 비롯한 노동절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짚어봅니다.
 

박현경 기자!

1. 지난 며칠새 LA 등 남가주 지역 날씨가 매우 더웠습니다. 이런 가운데 온열질환 환자와 사망자도 증가하는 추세를 이어가고 있죠?

네, CA주는 물론 전국적으로 온열 질환 환자나 관련 사망자 수는 최근 몇년 사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 CDC에 따르면 지난해(2022년) 열(heat)로 인해 전국에서는 약 천 670명이 숨졌습니다.

이는 인구 백만명 당 약 5명의 주민이 사망한 것인데요.

이런 열 관련 사망 비율은 최소 지난 20년 동안 최고를 기록한 겁니다.

올해는 미국 대부분 지역들이 유독 더운 해로 기록됐는데, 아직까지 관련 자료가 나오진 않았구요.

두 번째 높은 비율을 기록한 해는 2021년이었습니다.



2. 전국 수치를 알아봤고, CA주는 얼마나 많은 주민들이 온열 관련 질환으로 숨졌습니까?

네, 지난해 모두 164명이 열사병 등 온열 질환으로 사망했습니다.

인구 백만명당 약 4.2명이 목숨을 잃은 셈입니다.

지난 20년 동안 이보다 더 높은 비율을 기록했던 적은 단 한번 있었는데요.
 

2006년 폭염이 강타했을 당시였습니다.

그러니까 지난해 CA주에서 인구 백만명 당 4.2명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것은 상당히 높은 수치에 해당합니다.



3. 그런데 이처럼 온열 질환 사망자가 늘어나는 이유가 단순히 기온 상승 때문만은 아니라구요?

네, 그렇습니다.

물론, 이런 추세를 가장 심플하게 설명하는 것은 기온이 올랐기 때문만은 분명합니다.

연방 항공우주국 NASA가 무려 1800년대 말부터 내놓은 자료를 보면 지난 8년간 가장 더운 기록이 나왔습니다.

점점 더워지다보니 온열 질환 사망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설명하지 않아도 충분히 이해가 가는 부분이죠.

그런데 기후 변화 외에 다른 요인들도 있었다는 점이 눈에 띄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약물 남용입니다.



4. 약물 남용이 어떻게 해서 온열 질환 사망자를 높였다는 겁니까?

약물 남용, 그중에서도 메탐페타민이 온열 질환 사망에 주요한 요인으로 떠올랐는데요.

메탐페타민은 체온을 위험한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잘 아시겠습니다만, 메탐페타민 남용이 최근 심각해졌구요.

메탐페타민, 약물 남용이 더위와 노숙자 수 증가 등과 합쳐지면 치명적일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실제로 이를 뒷받침할 만한 내용이 있는데요.

CDC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2022년, 작년까지 CA주 사망진단서 약 140장에 온열 질환과 약물 남용이 같이 적혀있습니다.

이는 온열 질환 관련 전체 사망의 약 25%에 해당하는 겁니다.

다시 말해, 온열 질환 가운데 4분의 1 가량은 온열 질환에 더해 약물 남용까지 사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줍니다.



5. 앞서 노숙자 얘기도 잠깐 언급했는데, 노숙자가 늘어난 점도 온열 질환 사망이 증가하는 한 원인이겠죠?

네, 맞습니다.

CA주 등 날씨가 뜨거운 미 서부 지역들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노숙자 수가 지난 몇년 동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런 노숙자들은 폭염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는 환경입니다.

그러다보니 온열 질환을 앓는 경우도 많은데요.

CA주 자료를 보면,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온열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전체 13%가 노숙자였습니다.


연방정부 자료에 따르면 CA주에 주택이 없는 17만 2천명은 CA주 전체 인구의 0.5% 미만에 불과한데요.

이에 비해 온열 질환 입원환자는 13%라고 하니 얼마나 더위에 취약한지 잘 알 수 있습니다.



6. 기온 상승과 약물 남용, 노숙자 수 증가 외에 온열 질환 사망이 늘어나는 다른 요인이 또 있을까요?

네, 마지막으로, 고령 인구가 늘어난 것 역시 온열 질환 사망이 증가하는 한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고령층은 젊은층 만큼 온도 변화에 잘 적응하기 힘들다고 하구요.

이에 더해 더위로 인해 악화되는 만성 질환을 앓는 경우도 상당수입니다.

그런데 CA주는 물론 미 전역에서 베이비부머 세대가 나이를 먹으며 고령층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다 보니 온열 질환 사망이 증가세를 나타낸다는 분석도 함께 나왔습니다.



7. 다음 소식입니다. 앞서 모닝뉴스 시간에 이번 노동절 연휴 동안 여행을 떠나는 미국인들이 많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여행 외에 노동절 관련 다른 여론조사 결과를 알아보도록 하죠?

네,재정 전문 회사, 왈렛허브가 이달(8월) 7일부터 11일까지 노동절과 관련된 여러 질문을 통해 미국인들의 여론을 알아봤는데요.

조사 결과, 우선 올해 노동절 연휴 소비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응답자 과반인 55%가 이번 노동절에 지난해보다 더 적게 소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번 노동절 연휴 동안 지난해와 비교해 쇼핑에 나설 계획인 미국인도 1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왈렛허브는 이처럼 소비를 줄이려는 계획은 최근 인플레이션이 둔화됐다 하더라도 높은 물가에 주민들의 지갑이 얇아졌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이번 조사에서 다른 결과들도 보면, 미 노동자들의 인플레이션, 직업 안정성 그리고 인공지능 AI에 대한 우려가 잘 나타났다고 왈렛허브는 지적했습니다.



8. 어떤 조사결과가 나왔길래, 그런 우려가 나타났다고 한 것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죠?

네, 전체 응답자 10명 가운데 9명꼴인 87%는 인플레이션에 맞추기 위한 임금 인상을 원한다고 밝혔구요.

임금이 인상되기를 단순히 바라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인플레이션 때문에 일을 더 열심히 한다는 미국인도 10명 가운데 6명꼴(63%)에 달했습니다.

또 인플레이션이 노동절 여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여행을 덜 하려 한다는 미국인도 10명 가운데 6명꼴(61%)이나 됐습니다.



9. 직업 안정성과 AI에 관한 걱정은 얼마나 큰 것으로 나왔습니까?

네, 직업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 10명 가운데 2명꼴 정도(23%) 있었습니다.


이들은 작년 노동절과 비교해 1년 사이 직업 안정성을 더 많이 걱정한다고 대답했습니다.

AI에 대해 걱정하는 미국인은 그보다 더 많았습니다.

전체 10명 가운데 4명꼴(37%)이 AI가 자신의 일자리를 빼앗아갈까봐 걱정된다고 했습니다.  



10. 한편, 미국인들이 병가를 가장 많이 내는 날에 관한 조사도 나왔죠. 언제입니까?

네, 이건 다른 조사에서 나온 내용인데요.

한 날짜가 꼽혔습니다.

바로 ‘8월 24일’입니다.

바로 며칠 전이었는데요.

직장인 연차관리시스템회사 ‘플라밍고’가 지난 5년 동안 미 근로자의 병가데이터를 조사한 결과를 인용해 해마다 8월 24일이 직장인들이 상사에게 일을 할 수 없다고 가장 많이 말하는 날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지난 28일 전했습니다.

전체 직원의 1%에 달하는 0.9%가 8월 24일에 병가를 냈는데,   이는 연중 다른 어떤 날보다도 높은 비율이라는 설명입니다.

그리고 이날 병가가 가장 많은 것은 노동절 연휴를 앞두고 하루 쉬고 싶어서일 수도 있고, 정말로 이날 많은 미국인이 확률적으로 아픈 것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여름이 끝나면서 우울해져서 그럴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8월 24일에 이어서는 두 번째로 병가가 많은 날은 2월 13일로, 수퍼볼과 밸런타인데이 전후였습니다.



11. 병가를 요청하면서 어디가 아픈지 얘기할 때 가장 많은 증상에 대한 조사도 나왔죠? 어떤 증상이 가장 많이 언급됩니까?

가장 많은 것은 장염(stomach bug)이었습니다.

병가를 요청하는 직원들의 과반인 54%가 장염을 이유로 병가를 냈구요.

이들은 구토나 설사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고 했습니다.

이어 25%는 코로나바이러스를 이유로 꼽았고, 스트레스와 불안 9%, 부상 6% 그리고 다른 이유 6%라고 연락했습니다.

 

 

 

 

출처: 온열질환 사망자 증가세..기온 상승에 노숙자, 약물남용 탓/올해 노동절 소비 감소 전망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05 한인 뉴스 미국발 국제선 항공료 5년 내 최고 report33 2023.05.13 144
2404 한인 뉴스 "저 강만 넘으면".. 미 국경 앞 텐트촌에 아른대는 희망과 긴장 report33 2023.05.13 231
2403 한인 뉴스 게티 센터 “무료 여름 콘서트 즐기세요” report33 2023.05.13 152
2402 한인 뉴스 미국-멕시코 국경 대혼란 재현 ‘불법 이민자 하루 1만명이상 쇄도’ report33 2023.05.13 152
2401 한인 뉴스 LA카운티 노숙자 사망자 수 급증.. 1년 사이 2,200여 명 숨져 report33 2023.05.13 160
2400 한인 뉴스 '한반도 전문가' 연방 국무부 2인자 웬디 셔먼 사임 report33 2023.05.13 191
2399 한인 뉴스 "제발 목숨만".. 러시아 병사, 우크라 드론에 항복 report33 2023.05.13 149
2398 한인 뉴스 OC서 리프트 운전자, 15살 소녀 납치하고 성폭행 report33 2023.05.13 210
2397 한인 뉴스 CA주 CVS, 유통기한 만료된 이유식과 분유 판매해 벌금 부과 report33 2023.05.13 122
2396 한인 뉴스 LA거리 ‘좀비 약’으로 가득 찼다..치안 당국 추적 위해 총력 report33 2023.05.13 199
2395 한인 뉴스 "한인타운 아파트 매니저 월세 면제 대가로 성관계" report33 2023.05.13 164
2394 한인 뉴스 "7년 배워도 영어못해"…佛교사, 시험지 태우며 교육제도에 항의 report33 2023.05.13 217
2393 한인 뉴스 "미국 대사, '남아공 러시아 무기제공' 의혹제기 사과" report33 2023.05.13 184
2392 한인 뉴스 "굳이 임원 승진 생각없다"…MZ 직장인, 이런 대답한 이유는 report33 2023.05.13 145
2391 한인 뉴스 옐런, 美 국가부도 위험에 "결국 해결책 찾을 것" report33 2023.05.13 161
2390 한인 뉴스 ‘美 디폴트’ 시한폭탄 터지기 일보 직전…IMF “세계 재앙” report33 2023.05.13 159
2389 한인 뉴스 탑승까지 마친 193명 다시 내려…“승객 접촉으로 비상 장비 문제” 아시아나항공 결항 report33 2023.05.13 160
2388 한인 뉴스 "배고픔 느끼는 것만으로도 노화 늦춘다" 美연구진 발표 report33 2023.05.13 197
2387 한인 뉴스 美, 태양광 시설에 미국산 철강·부품 사용시 최대 10% 추가 세액공제 report33 2023.05.13 128
2386 한인 뉴스 총기난사 단골 무기 AR-15.. 금지 vs 허용 찬반논쟁 '분분' report33 2023.05.15 158
2385 한인 뉴스 "기후변화 방치하면..커피 마시기도 어려워져" report33 2023.05.15 219
2384 한인 뉴스 새총 쏴 여동생 납치 막은 13살 소년.. "내 동생 내려놔!" report33 2023.05.15 220
2383 한인 뉴스 한세기 동안 사랑받았던 AM라디오, 자동차에서 퇴출수순 report33 2023.05.15 224
2382 한인 뉴스 바이든 "백인우월주의는 독"…트럼프 비판하며 흑인 표심 구애 report33 2023.05.15 190
2381 한인 뉴스 CA주, 6자리 연봉 벌어도 재정적 어려움 겪어 report33 2023.05.15 180
2380 한인 뉴스 리버사이드 카운티 10번 프리웨이서 교통사고로 3명 숨지고 7명 부상 report33 2023.05.15 214
2379 한인 뉴스 디폴트 우려 큰데 협상시간은 촉박…정부 "건설적 대화" report33 2023.05.15 191
2378 한인 뉴스 "영웅", "착한 사마리아인"…뉴욕 지하철 헤드록 사건 일파만파 report33 2023.05.15 205
2377 한인 뉴스 윤대통령 "한일 기업들, 안정적 공급망 구축 위해 협력하길" report33 2023.05.15 122
2376 한인 뉴스 "신라면, 미국인 한끼 식사로 대박났다" 농심 어닝서프라이즈 report33 2023.05.15 111
2375 한인 뉴스 통편집 피한 김새론, 논란 1년 만 타의로 열린 복귀 길 [Oh!쎈 이슈] report33 2023.05.15 152
2374 한인 뉴스 최은영 美법무부 가상화폐 단속국장 "거래플랫폼 자금세탁 단속" report33 2023.05.15 169
2373 한인 뉴스 “동박이 대박 된다”…SK·롯데 이어 고려아연도 투자 팔 걷어붙였다 report33 2023.05.15 118
2372 한인 뉴스 문학까지 침투한 AI 번역…"거스를 수 없는 흐름, 공존 모색해야" report33 2023.05.15 102
2371 한인 뉴스 에어백 6천700만개 리콜 촉구…현대 등 12개 업체 사용제품 report33 2023.05.15 206
2370 한인 뉴스 미 당국 규제 강화에…가상화폐 기업들 "떠나겠다" 엄포 report33 2023.05.15 222
2369 한인 뉴스 북한, 국제 스포츠 무대 복귀.. 9월 아시안 게임 참가 결정 report33 2023.05.15 221
2368 한인 뉴스 베이비부머가 쌓은 '위대한 유산' 100조 달러.. 자녀세대 불평등 우려 report33 2023.05.15 187
2367 한인 뉴스 바닷속 원룸서 74일 버틴 교수…'세월호 잠수팀'으로 왔었다 report33 2023.05.15 121
2366 한인 뉴스 IT재벌 흉기 피살사건, 치안 불안이 아닌 치정 문제였다 report33 2023.05.15 193
2365 한인 뉴스 미국 테크 허브 20곳 신설한다 ‘1차 5억달러 지원 신청 착수’ report33 2023.05.15 99
2364 한인 뉴스 "외로워서 나이 속이고 고등학교 입학" 한인여성 정신감정 받는다 report33 2023.05.16 132
2363 한인 뉴스 바이든 재산공개 '109만 달러~257만 달러'사이.. 지난해와 거의 비슷 report33 2023.05.16 180
2362 한인 뉴스 군것질에 중독된 미국인.. "하루 과자 3봉지 이상" report33 2023.05.16 184
2361 한인 뉴스 2개국어 사용, 치매 발병 확률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나와 report33 2023.05.16 1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