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온열질환 사망자 증가세..기온 상승에 노숙자, 약물남용 탓/올해 노동절 소비 감소 전망

Photo Credit: Unsplash

*CA주를 비롯한 미 전역에서는 온열 질환 환자나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기온이 오르기 때문만은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그 외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올해(2023년) 노동절 연휴 여행을 떠나는 미국인들이 많을 것으로 전망된 반면 소비는 작년보다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나왔습니다. 이를 비롯한 노동절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짚어봅니다.
 

박현경 기자!

1. 지난 며칠새 LA 등 남가주 지역 날씨가 매우 더웠습니다. 이런 가운데 온열질환 환자와 사망자도 증가하는 추세를 이어가고 있죠?

네, CA주는 물론 전국적으로 온열 질환 환자나 관련 사망자 수는 최근 몇년 사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 CDC에 따르면 지난해(2022년) 열(heat)로 인해 전국에서는 약 천 670명이 숨졌습니다.

이는 인구 백만명 당 약 5명의 주민이 사망한 것인데요.

이런 열 관련 사망 비율은 최소 지난 20년 동안 최고를 기록한 겁니다.

올해는 미국 대부분 지역들이 유독 더운 해로 기록됐는데, 아직까지 관련 자료가 나오진 않았구요.

두 번째 높은 비율을 기록한 해는 2021년이었습니다.



2. 전국 수치를 알아봤고, CA주는 얼마나 많은 주민들이 온열 관련 질환으로 숨졌습니까?

네, 지난해 모두 164명이 열사병 등 온열 질환으로 사망했습니다.

인구 백만명당 약 4.2명이 목숨을 잃은 셈입니다.

지난 20년 동안 이보다 더 높은 비율을 기록했던 적은 단 한번 있었는데요.
 

2006년 폭염이 강타했을 당시였습니다.

그러니까 지난해 CA주에서 인구 백만명 당 4.2명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것은 상당히 높은 수치에 해당합니다.



3. 그런데 이처럼 온열 질환 사망자가 늘어나는 이유가 단순히 기온 상승 때문만은 아니라구요?

네, 그렇습니다.

물론, 이런 추세를 가장 심플하게 설명하는 것은 기온이 올랐기 때문만은 분명합니다.

연방 항공우주국 NASA가 무려 1800년대 말부터 내놓은 자료를 보면 지난 8년간 가장 더운 기록이 나왔습니다.

점점 더워지다보니 온열 질환 사망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설명하지 않아도 충분히 이해가 가는 부분이죠.

그런데 기후 변화 외에 다른 요인들도 있었다는 점이 눈에 띄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약물 남용입니다.



4. 약물 남용이 어떻게 해서 온열 질환 사망자를 높였다는 겁니까?

약물 남용, 그중에서도 메탐페타민이 온열 질환 사망에 주요한 요인으로 떠올랐는데요.

메탐페타민은 체온을 위험한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잘 아시겠습니다만, 메탐페타민 남용이 최근 심각해졌구요.

메탐페타민, 약물 남용이 더위와 노숙자 수 증가 등과 합쳐지면 치명적일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실제로 이를 뒷받침할 만한 내용이 있는데요.

CDC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2022년, 작년까지 CA주 사망진단서 약 140장에 온열 질환과 약물 남용이 같이 적혀있습니다.

이는 온열 질환 관련 전체 사망의 약 25%에 해당하는 겁니다.

다시 말해, 온열 질환 가운데 4분의 1 가량은 온열 질환에 더해 약물 남용까지 사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줍니다.



5. 앞서 노숙자 얘기도 잠깐 언급했는데, 노숙자가 늘어난 점도 온열 질환 사망이 증가하는 한 원인이겠죠?

네, 맞습니다.

CA주 등 날씨가 뜨거운 미 서부 지역들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노숙자 수가 지난 몇년 동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런 노숙자들은 폭염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는 환경입니다.

그러다보니 온열 질환을 앓는 경우도 많은데요.

CA주 자료를 보면,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온열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전체 13%가 노숙자였습니다.


연방정부 자료에 따르면 CA주에 주택이 없는 17만 2천명은 CA주 전체 인구의 0.5% 미만에 불과한데요.

이에 비해 온열 질환 입원환자는 13%라고 하니 얼마나 더위에 취약한지 잘 알 수 있습니다.



6. 기온 상승과 약물 남용, 노숙자 수 증가 외에 온열 질환 사망이 늘어나는 다른 요인이 또 있을까요?

네, 마지막으로, 고령 인구가 늘어난 것 역시 온열 질환 사망이 증가하는 한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고령층은 젊은층 만큼 온도 변화에 잘 적응하기 힘들다고 하구요.

이에 더해 더위로 인해 악화되는 만성 질환을 앓는 경우도 상당수입니다.

그런데 CA주는 물론 미 전역에서 베이비부머 세대가 나이를 먹으며 고령층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다 보니 온열 질환 사망이 증가세를 나타낸다는 분석도 함께 나왔습니다.



7. 다음 소식입니다. 앞서 모닝뉴스 시간에 이번 노동절 연휴 동안 여행을 떠나는 미국인들이 많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여행 외에 노동절 관련 다른 여론조사 결과를 알아보도록 하죠?

네,재정 전문 회사, 왈렛허브가 이달(8월) 7일부터 11일까지 노동절과 관련된 여러 질문을 통해 미국인들의 여론을 알아봤는데요.

조사 결과, 우선 올해 노동절 연휴 소비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응답자 과반인 55%가 이번 노동절에 지난해보다 더 적게 소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번 노동절 연휴 동안 지난해와 비교해 쇼핑에 나설 계획인 미국인도 1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왈렛허브는 이처럼 소비를 줄이려는 계획은 최근 인플레이션이 둔화됐다 하더라도 높은 물가에 주민들의 지갑이 얇아졌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이번 조사에서 다른 결과들도 보면, 미 노동자들의 인플레이션, 직업 안정성 그리고 인공지능 AI에 대한 우려가 잘 나타났다고 왈렛허브는 지적했습니다.



8. 어떤 조사결과가 나왔길래, 그런 우려가 나타났다고 한 것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죠?

네, 전체 응답자 10명 가운데 9명꼴인 87%는 인플레이션에 맞추기 위한 임금 인상을 원한다고 밝혔구요.

임금이 인상되기를 단순히 바라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인플레이션 때문에 일을 더 열심히 한다는 미국인도 10명 가운데 6명꼴(63%)에 달했습니다.

또 인플레이션이 노동절 여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여행을 덜 하려 한다는 미국인도 10명 가운데 6명꼴(61%)이나 됐습니다.



9. 직업 안정성과 AI에 관한 걱정은 얼마나 큰 것으로 나왔습니까?

네, 직업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 10명 가운데 2명꼴 정도(23%) 있었습니다.


이들은 작년 노동절과 비교해 1년 사이 직업 안정성을 더 많이 걱정한다고 대답했습니다.

AI에 대해 걱정하는 미국인은 그보다 더 많았습니다.

전체 10명 가운데 4명꼴(37%)이 AI가 자신의 일자리를 빼앗아갈까봐 걱정된다고 했습니다.  



10. 한편, 미국인들이 병가를 가장 많이 내는 날에 관한 조사도 나왔죠. 언제입니까?

네, 이건 다른 조사에서 나온 내용인데요.

한 날짜가 꼽혔습니다.

바로 ‘8월 24일’입니다.

바로 며칠 전이었는데요.

직장인 연차관리시스템회사 ‘플라밍고’가 지난 5년 동안 미 근로자의 병가데이터를 조사한 결과를 인용해 해마다 8월 24일이 직장인들이 상사에게 일을 할 수 없다고 가장 많이 말하는 날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지난 28일 전했습니다.

전체 직원의 1%에 달하는 0.9%가 8월 24일에 병가를 냈는데,   이는 연중 다른 어떤 날보다도 높은 비율이라는 설명입니다.

그리고 이날 병가가 가장 많은 것은 노동절 연휴를 앞두고 하루 쉬고 싶어서일 수도 있고, 정말로 이날 많은 미국인이 확률적으로 아픈 것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여름이 끝나면서 우울해져서 그럴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8월 24일에 이어서는 두 번째로 병가가 많은 날은 2월 13일로, 수퍼볼과 밸런타인데이 전후였습니다.



11. 병가를 요청하면서 어디가 아픈지 얘기할 때 가장 많은 증상에 대한 조사도 나왔죠? 어떤 증상이 가장 많이 언급됩니까?

가장 많은 것은 장염(stomach bug)이었습니다.

병가를 요청하는 직원들의 과반인 54%가 장염을 이유로 병가를 냈구요.

이들은 구토나 설사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고 했습니다.

이어 25%는 코로나바이러스를 이유로 꼽았고, 스트레스와 불안 9%, 부상 6% 그리고 다른 이유 6%라고 연락했습니다.

 

 

 

 

출처: 온열질환 사망자 증가세..기온 상승에 노숙자, 약물남용 탓/올해 노동절 소비 감소 전망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3 한인 뉴스 오늘(6월27일) LA 시 6지구 시의원 특별선거, 2명 결선투표 report33 2023.06.28 15
622 한인 뉴스 오늘밤 '수퍼문'도 독립기념일 밤하늘 밝힌다 report33 2023.07.05 11
621 한인 뉴스 오늘부터 북한 정찰위성 '깜깜이 발사' 국면…대북 정찰·감시 능력 시험대 report33 2023.06.12 11
620 한인 뉴스 오렌지 통합교육구, 성전환자 학생 부모 통지할까 report33 2023.08.19 8
619 한인 뉴스 오리건주 윌슨빌에 '한국전쟁 역사관' 오는 11월 개장 report33 2023.07.31 11
618 한인 뉴스 오바마 전 대통령 “매일 남자와의 사랑 상상했어” report33 2023.08.15 12
617 한인 뉴스 오바마재단 작년 4천여억원 최다액 모금.. "거액 기부 2명 덕분" report33 2023.08.10 6
616 한인 뉴스 오수 1만 갤런 유출로 마리나 델 레이 인근 해변 입수 금지 report33 2023.09.11 12
615 한인 뉴스 오염수 방류 전 사놓자?‥천일염 가격 폭등에도 주문 폭주 report33 2023.06.13 11
614 한인 뉴스 오염수 방류에도 메시지 없는 대통령‥침묵은 선택적? report33 2023.08.25 11
613 한인 뉴스 오클라호마, 여대생 강간살해범 사형 집행.."나는 결백해" report33 2023.09.22 23
612 한인 뉴스 오클랜드 동물원 호랑이, 새끼 낳은 뒤 죽여.. "본능적 행동" report33 2023.09.06 14
611 한인 뉴스 오픈AI, 향후 12개월간 10억 달러 넘는 매출 예상 report33 2023.08.31 12
610 한인 뉴스 오하이오서 스쿨버스 전복 사고 발생..1명 사망, 23명 부상 report33 2023.08.23 10
609 한인 뉴스 오히려 부자일수록 더 '주머니 사정' 어려워.. '리치세션' 겪는 중 report33 2023.07.06 16
608 한인 뉴스 온라인 시대 맞아서 소비자 현혹하는 허위 광고 심각한 수준 report33 2023.07.30 12
607 한인 뉴스 온몸에 구찌 휘감고…"입사 선물" 자랑하다 잘린 구찌 직원, 왜 report33 2023.04.24 12
606 한인 뉴스 온세미콘덕터 "한국, 20억 달러 투자 후보지 중 하나" report33 2023.05.17 7
» 한인 뉴스 온열질환 사망자 증가세..기온 상승에 노숙자, 약물남용 탓/올해 노동절 소비 감소 전망 report33 2023.09.01 22
604 한인 뉴스 올 독립기념일 연휴 여행길에 오르는 주민 역대 최다 report33 2023.06.27 11
603 한인 뉴스 올 상반기 폭풍우 피해 전례없는 규모.. 보험금 340억 달러 report33 2023.08.11 11
602 한인 뉴스 올드타이머 이민휘 회장 별세 report33 2023.06.26 27
601 한인 뉴스 올림픽경찰서에 한국어 통역관 배치 추진 report33 2023.08.01 10
600 한인 뉴스 올해 LA 퇴거통지서 4만건..대부분 고급 아파트서 발송/미국인 55% '열심히 일하면 잘살게 된다' report33 2023.09.08 13
599 한인 뉴스 올해 급격히 늘어난 노숙자수.. 팬데믹 이후 거리로 내몰리는 사람들 report33 2023.06.19 12
598 한인 뉴스 올해 노숙자 11% 급증…주거비용 폭등에 역대 최고 수준 report33 2023.08.16 15
597 한인 뉴스 올해 상반기 차량 절도 급증.. "현대·기아가 대부분" report33 2023.07.21 12
596 한인 뉴스 올해 자연재해 피해, 10억달러 이상 23건 '역대 최다' report33 2023.09.14 9
595 한인 뉴스 올해(2023년) 첫 슈퍼문 떴다 report33 2023.07.04 16
594 한인 뉴스 요세미티 국립공원 예정보다 앞서 오늘 리오픈 report33 2023.05.01 12
593 한인 뉴스 요세미티, 역대급 스노우팩이 빚어낸 거대한 폭포 ‘장관’ report33 2023.06.09 19
592 한인 뉴스 요세미티서 ‘이것’본다면? 주저말고 무너뜨려주세요 report33 2023.07.14 15
591 한인 뉴스 요양시설 한인 할머니 살해 용의자 지안천 리 살인 혐의로 기소 report33 2023.06.28 14
590 한인 뉴스 요즘 대세 AI, 사람 일자리 위협/저소득층에 더 치명적/美 조기 사망률 매우 높아 충격적 report33 2023.08.02 17
589 한인 뉴스 우려대로…미 하원 “한국, 중국서 마이크론 공백 채우지 말라” report33 2023.05.25 12
588 한인 뉴스 우버 타려던 한인 추정 커플 폭행 후 도주한 남성 공개수배 report33 2023.06.06 8
587 한인 뉴스 우버, 새 기능 탑재…앱 없어도 이용가능 report33 2023.05.18 19
586 한인 뉴스 우버, 새로운 LA 인앱 안전기능 출시.. 승객과 운전자 모두 보호 report33 2023.08.14 11
585 한인 뉴스 우주의 95% '어둠의 비밀' 풀어줄 망원경 '유클리드' 발사 report33 2023.07.02 14
584 한인 뉴스 우크라 댐 붕괴.. "세계 식량난 심화할 것" report33 2023.06.08 11
583 한인 뉴스 우크라 이웃 루마니아, 독일군 주둔 요청…"독일 총리, 놀란듯" report33 2023.07.05 9
582 한인 뉴스 우크라, 대반격 첫 성과…"동남부 격전지 마을 3곳 탈환" report33 2023.06.12 7
581 한인 뉴스 우크라전 참전 러시아군 약 5만명 전사 report33 2023.07.12 10
580 한인 뉴스 우편배달원 개물림 사고 가장 많은 지역에 LA 2위 report33 2023.06.06 11
579 한인 뉴스 욱일기 게양한 일본 자위대 함정, 부산항 입항 조율? report33 2023.05.26 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