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5 추천 수 0 댓글 0

美한인 '내집 보유율' 아시아계 평균 이하…中·일본계보다 밑

 

베트남계가 자가보유율 69.2%로 1위…한국계는 54.2%로 집계돼

美한인 '내집 보유율' 아시아계 평균 이하…中·일본계보다 밑
베트남계가 자가보유율 69.2%로 1위…한국계는 54.2%로 집계돼


(서울=연합뉴스) 김동호 기자 = 미국에 사는 여러 아시아계 주민들 가운데 한국계의 자가 주택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것으로 30일 나타났다.
최근 미 연방주택금융청(FHFA)의 주택공급·대출·금융정책 관련 보고서에 인용된 전미 아시안 부동산협회(AREAA)의 2023년 현황 통계치를 보면 아시아계 미국인 주요 16개 인종 가운데 베트남계의 자가 보유율이 69.2%로 1위를 차지했다.
2·3위에는 각각 중국계(66.3%)와 일본계(66.5%)가 올랐고 필리핀계(64.3%), 인도계(62%), 라오스계(62%) 순으로 뒤를 이었다.
태국계(58%), 캄보디아계(57%), 하와이 원주민(55%)도 절반 이상이 자가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계는 54.2%로 10위에 그쳤다. 다음으로는 파키스탄계(54%), 스리랑카계(52%) 등 순이었고 네팔계가 33%로 최하위였다.
FHFA는 "아시아계의 전체 주택 소유율은 60% 이상이지만 한국계 미국인은 54%, 네팔계는 33% 정도였다"며 "지원이 부족한 지역사회의 데이터를 세분화해 분석해야만 인종·민족 하위그룹들이 직면하고 있는 차이를 식별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가구 중위소득은 인도계가 15만3천50달러(약 2억500만원)로 가장 많았다.
한국계는 10만달러(약 1억3천400만원)로 필리핀계(10만7천달러), 중국계(10만3천500달러), 일본계(10만2천300달러)에 이은 5위였다.

다만, 2년 전 대비 중위소득 증가율은 한국계가 18%로 가장 높았다. 인도계(17%) 중국계(12%), 베트남계(10%)도 상위권이였다. 다만 하와이 원주민(8%), 일본계(7%), 필리핀계(4%) 등은 중위소득 증가율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모여 사는 대도시권(MSA·Metropolitan statistical area·대도시통계지구)은 캘리포니아주(州) 로스앤젤레스(LA)-롱비치-애너하임 권역으로 나타났다.
2위는 뉴욕·뉴저지 2개 주에 걸친 뉴욕-어크-저지시티, 3위는 동부의 워싱턴DC-알링턴-알렉산드리아, 4위는 서부 워싱턴주의 시애틀-타코마-벨뷰, 5위는 조지아주 애틀랜타-샌디스프링스-알파레타였다.

 

 

 

출 처: 美한인 '내집 보유율' 아시아계 평균 이하…中·일본계보다 밑


  1. 美한인 '내집 보유율' 아시아계 평균 이하…中·일본계보다 밑

  2. 휴스턴에서 30대 후반 남성, 이웃집에 총격 가해 5명 살해

  3. CA, 트럭과 열차에 대한 획기적 매연 무배출 규칙 승인

  4. 리처드 리오단 前 LA 시장 추모 미사, 어제 LA 다운타운에서 열려

  5. 미국, 트랜스젠더 등 성소수자 규제법 보수 성향 주에서 확산세

  6. 바이든이 尹 위해 준비한 음료…용산서 '제로 콜라' 반긴 이유

  7. 美 퍼스트리퍼블릭, 대형은행에 넘어가나…시장영향 제한적일듯

  8. 美 "러 전투기, 시리아서 美전투기 초근접 비행…도발 목적인듯"

  9. 조교 진→훈련병 제이홉, 나라 지키는 방탄소년단 [Oh!쎈 이슈]

  10. 韓 떠난 故서세원, 유해로 송환…오늘(30일)부터 조문 [Oh!쎈 이슈]

  11. 美 의회조사국, 반도체법 자료서 "과도한 동아시아 의존 우려"

  12. “1조 파티? 주최 아닌 게스트” 임창정, 주가조작 논란 후폭풍ing [종합]

  13. “당신의 커리어가 뉴스가 됩니다” 셀프 브랜딩 돕는 플랫폼 나왔다

  14. 연세사랑병원, 한국인 위한 ‘인공관절’ 개발...식약처 허가 획득

  15. 남가주 임페리얼 밸리서 규모 4.0 이상 지진 잇따라 발생

  16. 요세미티 국립공원 예정보다 앞서 오늘 리오픈

  17. 오늘 그로브몰 부근서 대규모 행진 “집단학살 끝내라”

  18. 오늘 남가주 일부 지역 강풍 주의보

  19. 머스크 5월부터 "트위터 기사 건당 유료화"

  20. 40년 이어온 한인 가게 문 닫자…브로드웨이 배우들 깜짝 송별회

  21. 이혼할 때 감정, 남성은 "애증 교차" 여성은 "해방감 느꼈다"

  22. 러, 임박한 우크라 대반격에 '우왕좌왕'…중요 참모 전격 경질도

  23. "향후 5년 세계 고용시장 격변…AI탓 일자리 2천600만개 사라져"

  24. 비트코인 가격 4개월 연속 상승…"10만 달러 가능성" 기대도

  25. 뉴욕시 차량 절도로 골머리…위치 추적용 에어태그 배포

  26. 코트라, 텍사스 반도체 센터 열어 한국 중소·중견기업 미 진출 지원

  27. 아시안 노부부 저택에 무장강도

  28. "가든그로브를 관광 중심지로"

  29. 6월 부터 '만 나이', 한 살씩 어려진다…국민 80% 우려한 일

  30.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6) 낯선 한인에서 '멕시칸 인싸'로

  31. 남가주 한인은행들 금융 불안에도 ‘선방’

  32. "JP모건·PNC 등 3개 업체, 퍼스트리퍼블릭 인수 의향서 제출"

  33. CA, 이번 5월 ‘스몰 비즈니스의 달’선포 “캘리포니아 드림 위해”

  34. 빅베어 공항 인근서 소형 비행기 추락 사고...3명 사망

  35. LA한인타운 인근 고등학교에서 10대 2명 흉기에 찔려..인근 도로 통제

  36. 2024선거 출마, 재선 한인 역대 최다 .. 한인 정치력 신장 교두보

  37. "오늘부터 LA카운티 직할구역 외 레스토랑은 일회용 포장용기 사용 금지"

  38. 40대 한인 남성 LA 프리웨이서 투신 사망

  39. 수출 7개월 연속 감소, 무역수지 14개월째 적자 ‥반도체 회복 언제쯤?

  40. 美, 하와이 상공 정체불명 풍선 추적…“당장 격추하진 않을 것”

  41. 임창정, "결백" 하다지만…'꼬꼬무' 주가 조작 의혹 연루 [Oh!쎈 이슈]

  42. [영상] 찰스 3세 대관식에 2천200여명 초대…북한 김정은은 빠져

  43. 집값 폭등에 트레일러서 숙식하는 美 명문대생…노숙하는 학생도

  44. 모건스탠리, 6개월 만에 3000명 추가 감원 계획

  45. 어린이부터 청년까지…美 젊은층서 정신건강 관련 응급환자 급증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