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2 추천 수 0 댓글 0

WHO 코로나19 비상사태 공식 해제/LA 어린이 사망자 나와

Photo Credit: Unsplash

*세계보건기구 WHO가 코로나19 비상사태를 해제했습니다. 최고 수준의 보건 경계 태세가 3년 4개월 만인데요. 이는 세계사적 보건 위기였던 코로나19 대유행을 사실상 일반적인 유행병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선언이 나온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에서 지난해 코로나19는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꼽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LA에서는 코로나19 어린이 사망자가 나왔습니다.

박현경 기자!

1. 오늘 WHO의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 발표가 있었죠?

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이 오늘 아침 성명을 통해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물론 CA주를 비롯한 미국은 이미 지난달 코로나19 비상사태가 해제된 상태이기 하죠.

하지만 그 동안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우리에게 미친 영향은 너무나 컸기에 많은 언론들에서 이 소식을 속보로 전했는데요.  

코로나19에 대해 WHO가 내릴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공중 보건 경계태세인 국제 보건 비상사태(PHEIC) 선언을 해제하자는 국제 긴급 보건규약 위원회의 의견에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동의했다고 밝히면서 공식 해제가 이뤄진 것입니다.

WHO 코로나19 비상사태는 지난 2020년 1월 내려졌는데요.

이로써 3년 4개월 만에 마침내 종료됐습니다.



2. WHO가 코로나19 비상사태를 해제했다는 것은 그만큼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이 낮아졌다고 볼 수 있겠죠?

네, 그렇습니다.
 

WHO가 이번 결정을 내리기 위해 소집한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인체에 미치는 위험도가 감소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테워드로스 총장도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와 중환자실 입원환자 등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구요.

또한 면역력을 가진 인구가 높은 수준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자는 위원회의 의견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3.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는 얼마나 줄어들었습니까?

지난해 말부터 살펴보면요.

4주 단위로 묶은 전 세계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작년 말 만명대였습니다.

그런데 올해 1월 말 오히려 치솟았습니다.

11만4천명까지 급증했습니다.

그러다 2월 말부터 다시 줄어들었는데요.

2월 말, 3만9천명까지 내려왔구요.

3월 말 기준으로는 2만4천명, 그리고 지난달, 3월 27일부터 4월23일까진 다시 만6천명까지 감소했습니다.


 

4. 그렇지만 코로나19 변이 가능성은 여전히 위협적이지 않습니까?

네, 그에 대해 테워드로스 총장은 물론 코로나19가 변이를 일으키며 진화할 잠재적 가능성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제는 코로나19를 ‘장기적 관리 체제’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위원회가 조언했고,   이에 동의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코로나19를   ‘지속적인 보건 문제’라고 판단한다고 말했습니다.

WHO는 특히 세계 각국의 의료 대응 역량이 많이 개선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여전히 일부 국가에서는 의료 여력이 부족하지만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이던 때와 비교하면 심각하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설명입니다.



5. 결국 이번 WHO 비상사태 해제 결정은 코로나19가 더는 치명적 질병이 되지 않는다는 선언으로 해석할 수 있겠죠?

네, 한마디로, 이제는 계절성 독감처럼 장기적으로 관리할 유행병 수준이 됐다는 판단입니다.

이로써 코로나19에 대응해온 세계 각국의 방역 조치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WHO는 해외여행의 전제조건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 증명서를 요구하는 것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고, 그때그때의 위험 평가에 따라 해외여행 관련 보건 조치를 지속해서 해제한다고 전했습니다.


 

6. 그렇다고 코로나19에 대한 국제적 대응에 아예 손을 놓고 있겠다는 건 아니라고 WHO는 강조했죠?

네, WHO는 코로나19 관련 몇가지 제안과 권고를 제시했는데요.

우선, 코로나19의 장기적 위험성을 점검하기 위한 위원회 소집을 고려해 보자고 제안했습니다.

또 코로나19 발발 당시, 기억하시겠습니다만 전 세계가 공황 상태에 빠졌는데 그런 일이 또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정적인 대응 체계를 수립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생애 과정 백신 프로그램에 통합하고 고령층을 비롯한 고위험 그룹에 대한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노력을 지속할 것을 임시 권고사항으로 제시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망자와 감염자 정보, 바이러스 검사 내용 등 각종 보건 데이터를 세계 각국이 WHO에 제공하는 것도 지속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WHO는 코로나19 백신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 지원하고 코로나19를 통합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도 지속할 것도 권고 내용에 포함했습니다.



7. 지금 말한 제안과 권고가 꼭 필요하다고 느끼는게, 미국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줄고 있지만, 작년에도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꼽힌 것으로 나타났죠?

네, 워싱턴포스트가 어제(4일)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 CDC의 예비 자료를 인용해 전한 내용을 보면, 지난해 미국에서 기록된 사망 원인 중 코로나19는 4번째로 많았습니다.

여전히 코로나19 주요 사인이었다고 평가됩니다. 8.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았던 사망 원인을 차례로 짚어보죠?

가장 많은 사망은 심장병 때문이었습니다.

심장병 사망자는 69만9천6백명 이상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서가 암 사망자인데요.

전체 60만7천8백명에 육박했습니다.

그 다음은 약물 과다복용을 포함해 의도하지 않은 부상에 따른 사망자입니다.

전체 21만8천명 조금 넘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이 바로 코로나19 사망자였는데요.

코로나19로 숨진 사람은 모두 18만6천70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그 1년 전인 2021년보다는 많이 줄어든 것입니다.

47% 급감한 숫자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하루 평균 500명 이상이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은 셈입니다.

적지 않은 숫자입니다.



9. 이런 가운데 LA에서는 코로나19 어린이 사망자가 또 나왔죠?

네, 이번이 25번째 어린이 사망자입니다.

LA카운티 보건국은 어제(4일) 한 어린이가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한주 동안 코로나19로 숨진 51명 가운데 한명이라고 전했습니다.

어그 밖에 보다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는데요.

고령층이 주로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이 높다고 잘 알고 있지만, 어린이 사망자도 여전히 나오는 상황입니다.

밴더빌트 의과대학의 윌리엄 섀프너 감염병 전문 의사는 "코로나19가 사라지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아프리카에서 사자가 나이 들고 느린 영양을 공격하는 것처럼 코로나19는 드러나지 않은 채 우리 공동체에 파고들어 가장 약한 사람들을 숨지게 한다”고 말했습니다.

WHO에서도 코로나 비상사태를 해제했지만, 조심해야 한다는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출 처 : WHO 코로나19 비상사태 공식 해제/LA 어린이 사망자 나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08 한인 뉴스 속았다고 나중에 속앓이 않으려면…가짜 리뷰 찾는법 report33 2023.07.31 13
2107 한인 뉴스 속수무책 당한 러군, 미국은 알고 있었다 report33 2023.06.26 9
2106 한인 뉴스 소행성 5개, 닷새 사이 지구 근접 .. '위협은 없어' report33 2023.09.07 13
2105 한인 뉴스 소행성 '베누' 흙과 자갈 등 샘플 담은 NASA 탐사선 캡슐 지구 귀환 report33 2023.09.26 10
2104 한인 뉴스 소셜 게시물 규제 제동/연방법원 “정부, 게시물 간섭말라”/美, 보수-진보 싸움 치열 report33 2023.07.07 13
2103 한인 뉴스 소비자금융보호국 “송금앱에 돈 오래 두지 마세요” report33 2023.06.02 8
2102 한인 뉴스 소방차와 부딪힌 차량충돌사고 일어나 남녀 2명 숨져 report33 2023.09.06 12
2101 한인 뉴스 소방서 캡틴, LA 카운티에 ‘260만달러 합의’ 승인 요구 report33 2023.09.27 14
2100 한인 뉴스 소금값 고공행진 속 햇소금도 '싹쓸이' - 소금 판매 사기까지 report33 2023.06.23 12
2099 한인 뉴스 셔먼옥스서 폭발물 의심 물건 발견.. 긴급 대피령 report33 2023.07.22 5
2098 한인 뉴스 세후 음식값에 팁은 세금에도 팁 주는 격 report33 2023.08.21 16
2097 한인 뉴스 세종학당 한국어 말하기 대회.. “학생들 수준 상향평준화” report33 2023.07.14 13
2096 한인 뉴스 세제 성분 마시는 장기 세척 챌린지 유행.. “따라하지 마세요” report33 2023.09.04 16
2095 한인 뉴스 세입자에게 법률 서비스 지원 추진…LA카운티 조례안 초안 통과 report33 2023.07.13 14
2094 한인 뉴스 세븐일레븐 측, LA 점주들에게 "오늘밤 문 열지 말라" 권장 (radiokorea 발췌) file report33 2022.07.13 36
2093 한인 뉴스 세기말에는 산타모니카, 뉴포트 비치 등 CA 해변 최대 70% 침수 report33 2023.06.01 20
2092 한인 뉴스 세금 부담에 CA주 부유층 타주로 이탈..470억 달러 세수 손실 report33 2023.05.30 11
2091 한인 뉴스 세계은행, 올해 세계성장률 1.7→2.1%로 상향…"전망 불투명" report33 2023.06.07 10
2090 한인 뉴스 세계로 팽창하는 중국의 일대일로 야심 report33 2023.09.11 14
2089 한인 뉴스 세계기상기구 "올해 7월, 역대 가장 더운 달 예상" report33 2023.07.28 14
2088 한인 뉴스 세계관광협회 "올해 관광산업 팬데믹 이전 수준 거의 회복" report33 2023.05.08 10
2087 한인 뉴스 세계가 좁아진다! NASA, 마하 4 상업용 초음속 비행 추진 report33 2023.08.28 13
2086 한인 뉴스 세계 항공업계 올해 수익 98억 달러로 2배 이상 늘려 report33 2023.06.06 7
2085 한인 뉴스 세계 평균기온 사흘째 역대 최고치…"엘니뇨 영향" report33 2023.07.07 9
2084 한인 뉴스 세계 최대 채권사들, “Fed 금리인상 끝났다”/이코노미스트들, “내년에 금리인하” report33 2023.09.13 13
2083 한인 뉴스 세계 최대 기업 절반 사무실 공간 줄일 계획..미국이 가장 큰 타격 report33 2023.06.07 7
2082 한인 뉴스 세계 최대 공 모양 건축물, 첫 조명쇼로 라스베이거스 밤 밝혀 report33 2023.07.06 77
2081 한인 뉴스 세계 성인 17명중 1명꼴 마약…10년새 23% 급증 report33 2023.06.27 14
2080 한인 뉴스 세계 500대 부자 자산가치 8천 500억달러 늘어..머스크만 966억달러↑ report33 2023.07.04 9
2079 한인 뉴스 성취향까지 알아낸다.. 자동차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막대해 report33 2023.09.08 9
2078 한인 뉴스 성인 5명 중 2명 부업한다…33%, "생활비 마련 목적" report33 2023.07.19 14
2077 한인 뉴스 성소수자클럽 총기난사범 유죄 인정.. 종신형 선고 예상 report33 2023.06.27 14
2076 한인 뉴스 성공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는 주는? report33 2023.09.27 10
2075 한인 뉴스 성경은 "음란하고 폭력적"...유타주 교육구, 초중교 서가에서 성경 빼기로 report33 2023.06.05 12
2074 한인 뉴스 서핑 대표팀, 월드서핑게임에서 파리 올림픽 출전권 도전 report33 2023.06.01 34
2073 한인 뉴스 서울보다 비싼 CA주 기름값.. 왜? report33 2023.07.02 14
2072 한인 뉴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3) 쇠파이프와 사투, 50톤을 내려라 report33 2023.06.26 30
2071 한인 뉴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1) 한국에 유학보낸 직원, '절반의 성공' report33 2023.06.12 16
2070 한인 뉴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20) 570년전 조선, 세계 최초 온실 만들다 report33 2023.06.05 13
2069 한인 뉴스 서울대박사, 미국농부 되다(16) 낯선 한인에서 '멕시칸 인싸'로 report33 2023.05.01 12
2068 한인 뉴스 서브웨이 샌드위치 사모펀드에 인수…매각가 96억 달러 report33 2023.08.25 17
2067 한인 뉴스 서부항만 노조 파업에 LA롱비치항 물류 차질 report33 2023.06.05 11
2066 한인 뉴스 서부 한인은행 예금 290억불 넘어…4.9% 성장 report33 2023.07.31 9
2065 한인 뉴스 서경덕 교수 "구찌 패션쇼? 명품아닌 싸구려" 일침 가한 이유 report33 2023.05.18 11
2064 한인 뉴스 샤넬, 브루클린에 팝업 뷰티 매장 겸 레스토랑 오픈한다 report33 2023.08.31 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