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2 추천 수 0 댓글 0

WHO 코로나19 비상사태 공식 해제/LA 어린이 사망자 나와

Photo Credit: Unsplash

*세계보건기구 WHO가 코로나19 비상사태를 해제했습니다. 최고 수준의 보건 경계 태세가 3년 4개월 만인데요. 이는 세계사적 보건 위기였던 코로나19 대유행을 사실상 일반적인 유행병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선언이 나온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에서 지난해 코로나19는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꼽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LA에서는 코로나19 어린이 사망자가 나왔습니다.

박현경 기자!

1. 오늘 WHO의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 발표가 있었죠?

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이 오늘 아침 성명을 통해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물론 CA주를 비롯한 미국은 이미 지난달 코로나19 비상사태가 해제된 상태이기 하죠.

하지만 그 동안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우리에게 미친 영향은 너무나 컸기에 많은 언론들에서 이 소식을 속보로 전했는데요.  

코로나19에 대해 WHO가 내릴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공중 보건 경계태세인 국제 보건 비상사태(PHEIC) 선언을 해제하자는 국제 긴급 보건규약 위원회의 의견에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동의했다고 밝히면서 공식 해제가 이뤄진 것입니다.

WHO 코로나19 비상사태는 지난 2020년 1월 내려졌는데요.

이로써 3년 4개월 만에 마침내 종료됐습니다.



2. WHO가 코로나19 비상사태를 해제했다는 것은 그만큼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이 낮아졌다고 볼 수 있겠죠?

네, 그렇습니다.
 

WHO가 이번 결정을 내리기 위해 소집한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인체에 미치는 위험도가 감소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테워드로스 총장도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와 중환자실 입원환자 등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구요.

또한 면역력을 가진 인구가 높은 수준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자는 위원회의 의견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3.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는 얼마나 줄어들었습니까?

지난해 말부터 살펴보면요.

4주 단위로 묶은 전 세계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작년 말 만명대였습니다.

그런데 올해 1월 말 오히려 치솟았습니다.

11만4천명까지 급증했습니다.

그러다 2월 말부터 다시 줄어들었는데요.

2월 말, 3만9천명까지 내려왔구요.

3월 말 기준으로는 2만4천명, 그리고 지난달, 3월 27일부터 4월23일까진 다시 만6천명까지 감소했습니다.


 

4. 그렇지만 코로나19 변이 가능성은 여전히 위협적이지 않습니까?

네, 그에 대해 테워드로스 총장은 물론 코로나19가 변이를 일으키며 진화할 잠재적 가능성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제는 코로나19를 ‘장기적 관리 체제’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위원회가 조언했고,   이에 동의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코로나19를   ‘지속적인 보건 문제’라고 판단한다고 말했습니다.

WHO는 특히 세계 각국의 의료 대응 역량이 많이 개선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여전히 일부 국가에서는 의료 여력이 부족하지만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이던 때와 비교하면 심각하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설명입니다.



5. 결국 이번 WHO 비상사태 해제 결정은 코로나19가 더는 치명적 질병이 되지 않는다는 선언으로 해석할 수 있겠죠?

네, 한마디로, 이제는 계절성 독감처럼 장기적으로 관리할 유행병 수준이 됐다는 판단입니다.

이로써 코로나19에 대응해온 세계 각국의 방역 조치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WHO는 해외여행의 전제조건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 증명서를 요구하는 것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고, 그때그때의 위험 평가에 따라 해외여행 관련 보건 조치를 지속해서 해제한다고 전했습니다.


 

6. 그렇다고 코로나19에 대한 국제적 대응에 아예 손을 놓고 있겠다는 건 아니라고 WHO는 강조했죠?

네, WHO는 코로나19 관련 몇가지 제안과 권고를 제시했는데요.

우선, 코로나19의 장기적 위험성을 점검하기 위한 위원회 소집을 고려해 보자고 제안했습니다.

또 코로나19 발발 당시, 기억하시겠습니다만 전 세계가 공황 상태에 빠졌는데 그런 일이 또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정적인 대응 체계를 수립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생애 과정 백신 프로그램에 통합하고 고령층을 비롯한 고위험 그룹에 대한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노력을 지속할 것을 임시 권고사항으로 제시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망자와 감염자 정보, 바이러스 검사 내용 등 각종 보건 데이터를 세계 각국이 WHO에 제공하는 것도 지속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WHO는 코로나19 백신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 지원하고 코로나19를 통합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도 지속할 것도 권고 내용에 포함했습니다.



7. 지금 말한 제안과 권고가 꼭 필요하다고 느끼는게, 미국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줄고 있지만, 작년에도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꼽힌 것으로 나타났죠?

네, 워싱턴포스트가 어제(4일)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 CDC의 예비 자료를 인용해 전한 내용을 보면, 지난해 미국에서 기록된 사망 원인 중 코로나19는 4번째로 많았습니다.

여전히 코로나19 주요 사인이었다고 평가됩니다. 8.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았던 사망 원인을 차례로 짚어보죠?

가장 많은 사망은 심장병 때문이었습니다.

심장병 사망자는 69만9천6백명 이상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서가 암 사망자인데요.

전체 60만7천8백명에 육박했습니다.

그 다음은 약물 과다복용을 포함해 의도하지 않은 부상에 따른 사망자입니다.

전체 21만8천명 조금 넘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이 바로 코로나19 사망자였는데요.

코로나19로 숨진 사람은 모두 18만6천70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그 1년 전인 2021년보다는 많이 줄어든 것입니다.

47% 급감한 숫자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하루 평균 500명 이상이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은 셈입니다.

적지 않은 숫자입니다.



9. 이런 가운데 LA에서는 코로나19 어린이 사망자가 또 나왔죠?

네, 이번이 25번째 어린이 사망자입니다.

LA카운티 보건국은 어제(4일) 한 어린이가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한주 동안 코로나19로 숨진 51명 가운데 한명이라고 전했습니다.

어그 밖에 보다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는데요.

고령층이 주로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이 높다고 잘 알고 있지만, 어린이 사망자도 여전히 나오는 상황입니다.

밴더빌트 의과대학의 윌리엄 섀프너 감염병 전문 의사는 "코로나19가 사라지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아프리카에서 사자가 나이 들고 느린 영양을 공격하는 것처럼 코로나19는 드러나지 않은 채 우리 공동체에 파고들어 가장 약한 사람들을 숨지게 한다”고 말했습니다.

WHO에서도 코로나 비상사태를 해제했지만, 조심해야 한다는 것은 잊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출 처 : WHO 코로나19 비상사태 공식 해제/LA 어린이 사망자 나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8 한인 뉴스 영아 거주 이웃집에 유독물질 주입한 남성 체포.. "층간소음 탓" report33 2023.08.28 14
667 한인 뉴스 [리포트] CA주 유급병가 연중 7일로 바뀔까 report33 2023.08.28 14
666 한인 뉴스 프리고진 암살 배후 푸틴 보다 쇼이구 군부 의심 ‘서방정보당국’ report33 2023.08.28 15
665 한인 뉴스 CA주 의회,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결의안 발의 report33 2023.08.28 12
664 한인 뉴스 LA, 전국서 가장 더러운 도시 4위 report33 2023.08.28 13
663 한인 뉴스 [리포트]질로우, '1% 다운페이 프로그램' 시범운영 report33 2023.08.28 10
662 한인 뉴스 스페이스 X, 우주비행사 4명 발사 성공.. 7번째 유인 우주선 report33 2023.08.28 16
661 한인 뉴스 시장, 제롬 파월 Fed 의장 잭슨홀 발언에 안도.. “폭탄 없었다” report33 2023.08.28 11
660 한인 뉴스 세계가 좁아진다! NASA, 마하 4 상업용 초음속 비행 추진 report33 2023.08.28 13
659 한인 뉴스 FIFA, ‘기습 키스’ 논란 스페인 축구회장에 90일 직무 정지 징계 report33 2023.08.28 10
658 한인 뉴스 전설적 명사회자 ‘국민 MC’ 밥 바커, 99세 일기로 사망 report33 2023.08.28 15
657 한인 뉴스 한인들 온라인으로 친구 찾는다 report33 2023.08.28 77
656 한인 뉴스 수임료 받고 태만, 범죄 연루 등 변호사 징계 report33 2023.08.28 14
655 한인 뉴스 트럼프 머그샷 열풍, 다양한 굿즈(기념품) 출시돼 인기 report33 2023.08.28 14
654 한인 뉴스 한인 이정아 교수, ‘아태 간호사 협회’ 차기 회장에 선출 report33 2023.08.28 12
653 한인 뉴스 트럼프 '머그샷 굿즈' 팔아 돈방석.. 거액 단숨에 모금 report33 2023.08.28 15
652 한인 뉴스 코로나, 독감 급증.. 학교 휴교에 마스크 의무화까지 report33 2023.08.28 14
651 한인 뉴스 [FOCUS] 절도, 소매점도 못 잡는데 화물로 급속 확산 report33 2023.08.28 11
650 한인 뉴스 바이든, 흑인 혐오 총격 사건에 "백인 우월주의 설 자리 없다" report33 2023.08.28 9
649 한인 뉴스 재미동포단체, 백악관 앞에서 오염수 방류 반대 집회 report33 2023.08.28 17
648 한인 뉴스 "트럼프 돌아올 수도".. 세계각국 발등에 불 떨어졌다 report33 2023.08.29 10
647 한인 뉴스 바이든 특정 학자융자금 340만명 1160억달러 탕감해줬다 report33 2023.08.29 12
646 한인 뉴스 미국 코로나 재확산, 마스크도 재등장, 새 백신 접종 임박 report33 2023.08.29 8
645 한인 뉴스 대한항공, 탑승객 몸무게 잰다 - “원치 않으면 거부 가능” report33 2023.08.29 14
644 한인 뉴스 미 남동부에 잇따라 허리케인·열대성 폭풍 접근 report33 2023.08.29 13
643 한인 뉴스 토랜스 델아모 쇼핑몰서 청소년 천여명 난투극 report33 2023.08.29 14
642 한인 뉴스 노스리지서 흉기 휘두르던 용의자, 경찰에 총격 사살 report33 2023.08.29 15
641 한인 뉴스 남가주 개솔린 가격 다시 상승세..LA $5.366 report33 2023.08.29 13
640 한인 뉴스 LA시 감시, 감독 기능 사실상 마비 .. 이대로 괜찮나? report33 2023.08.29 16
639 한인 뉴스 트럼프 지지율 일주일새 56%서 50%로 하락 report33 2023.08.29 10
638 한인 뉴스 멕시코서 '녹색 금' 아보카도·라임 놓고 갱단간 분쟁 지속 report33 2023.08.29 15
637 한인 뉴스 하와이 산불 원인 공방.. "전선 탓 아냐" report33 2023.08.29 15
636 한인 뉴스 전 세계 최고의 항공사는? report33 2023.08.29 15
635 한인 뉴스 "40세 이전 발기부전, 당뇨병 신호일 수도" report33 2023.08.29 15
634 한인 뉴스 FDA “이 안약 사용 마세요” report33 2023.08.29 13
633 한인 뉴스 틱톡 이용시간 인스타그램 제쳐.. 2년 뒤 국내 최대 소셜플랫폼 report33 2023.08.29 16
632 한인 뉴스 [속보] 마크 리들리 토마스 전 LA시의원 3년 6개월 실형 선고 report33 2023.08.29 11
631 한인 뉴스 노스캐롤라이나대 아시안 무장 총격범 출현.. 교수 1명 사망 report33 2023.08.29 11
630 한인 뉴스 "황무지에 신도시 짓자".. 집값 해결에 직접 나선 IT 거물들 report33 2023.08.29 17
629 한인 뉴스 25세는 돼야 우버 운전…보험 상승에 연령 올려 report33 2023.08.29 15
628 한인 뉴스 명품 리폼 판매, 상표권 분쟁 위험 report33 2023.08.29 13
627 한인 뉴스 버지니아 가구당 400달러 등 6개주 세금 리베이트 주고 있다 report33 2023.08.29 11
626 한인 뉴스 미국민 3가지 백신 강력 권고 ‘RSV 백신, 독감백신, 새 코로나 백신 9월 중순’ report33 2023.08.29 11
625 한인 뉴스 “경찰서 없는 도시”..임금 협상 불발에 서장 포함 전원 사임 report33 2023.08.29 15
624 한인 뉴스 한인 여성 성매매 시도 혐의 체포 report33 2023.08.29 1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