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한인 뉴스
2023.05.18 09:34

미국에 맞서 중국에 줄서는 나라들

조회 수 15 추천 수 0 댓글 0

미국에 맞서 중국에 줄서는 나라들

브릭스(BRICS), 최대 24개국 모임 될수도
중국 위안화 국제적 역할 키우고자

Photo Credit: Brics Information Portal, infobrics.org

지난 몇 달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행보가 꽤 두드러졌다. 

세계 갈등의 중재자를 자처하는가 하면 자국을 찾은 다른 나라 지도자들과 만나 미국을 견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구성돼 있는 신흥 경제 대국 모임 브릭스(BRICS, Brazil-Russia-India-China-South Africa)가 세계 기축 통화로서 달러화의 역할에 도전할 수 있는 새로운 글로벌 통화를 개발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국제 사회 제재로 달러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자 하는 의도도 있지만 다른 통화, 특히 중국 위안화의 국제적 역할을 키우려는 의도다.

동시에 브릭스의 규모를 확장하려는 움직임도 엿보인다. 

현재 브릭스의 공식, 비공식으로 가입을 요청한 나라가 19개국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아르헨티나,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이집트, 바레인, 인도네시아, 그밖에 몇몇 아프리카 국가들도 거론된다.

만약 이게 현실화 한다면 브릭스는 최대 24개국 모임이 되는 것이다. 

브라질 리우주립대 엘리어스 자보르 수학과 교수는 “현재 많은 국가들이 달러 없이도 무역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며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베네수엘라, 브라질과 같은 나라들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지난달 중국을 방문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Luiz Inácio Lula da Silva) 브라질 대통령도 여기에 힘을 실었다.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기 앞서 상하이를 방문했던 룰라 대통령은 “브릭스 국가들이 무역에 있어서 달러를 대체할 대안을 마련해야한다”고 촉구했다. 

룰라 대통령의 발언은 특히 브릭스 국가들이 설립한 신개발은행(New Development Bank)을 방문한 자리에서 나와 그 의미가 더 부각됐다.

중국의 영향력 확대는 경제적 영역에서만 그치는 게 아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이 확정된 당일 지난 3월 10일, 중국이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관계 정상화를 중재했다.

2016년 두 나라의 외교관계가 단절된 이후 7년만이었다. 

세계를 놀라게 한 이 일은 중국이 중동에서 미국의 우위에 도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이 중재자 역할을 한 것에 대해 홍콩 성시대 왕장위 법학교수는 “중국의 명성과 위신에 엄청난 가치가 있는 것이다”며 “전적으로 미국만이 맡았던 세계 지도자 역할을 중국이 시작하게 됐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중재활동은 이 뿐만이 아니다. 

시 주석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을 중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고, 실제로 지난 4월 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했다. 

시 주석은 또 우크라이나에 리후이 중국 특사를 파견해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한 중재 외교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중국 방문도 눈길을 끌었다. 

당초 방문 취지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시작한 러시아에 대한 중국의 압박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결과는 미국 그리고 최근 미국에 대한 동조, 협력 움직임이 한층 강화된 유럽연합에서 벗어난 프랑스의 독자행보를 강조했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타이완 문제와 관련해 마크롱 대통령은 유럽이 관여할 문제가 아니라고 발언해 논란을 일으켰다. 

그러면서 유럽은 미국을 무조건 추종할 것이 아니라 전략적 자율성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템플대 일본캠퍼스 국제교류학 제임스 브라운 교수는 “마크롱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중국에 대한 프랑스의 입장, 더 넓게는 중국에 대한 유럽의 입장이 미국의 입장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처럼 사시하는 듯 보였다”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하지만 마크롱 대통령의 발언은 중국을 민주주의 세계에 대한 체계적인 위협으로 보고 우려하는 유럽의 많은 국가로부터 질책에 가까운 비판을 받았다.

이후 논란이 일자 마크롱 대통령은 타이완에 대한 프랑스와 유럽의 입장은 동일하다고 해명했다. 

브라운 교수는 “중국은 러시아 에너지를 많이 사들이고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다시 강조하면서 지지를 표한 셈이다”며 “이건 일부 유럽 국가에 꽤 충격이며 중국이 자신들의 이익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고 말했다. 

그런데 마크롱 대통령의 이런 행보와 발언은 과거 프랑스의 다른 지도자들에게서 도 보였던 행보와 비슷하다는 분석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정세에서 영향력이 많이 약해진 프랑스가 미국 그리고 다른 나라와 거리를 두면서 과거의 영광을 되찾으려는 시도는 꾸준했다. 

찰스 드골(Charles de Gaulle, 1959-1969)에서 프랑수와 미테랑(François Mitterrand,1981-1995), 그리고 현재 마크롱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기준에 균형을 세우기 위한 프랑스 지도자들의 노력은 늘 있었다.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 질서 그리고 중국의 주도아래 이에 도전하는 세계 지도자들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조 바이든 정부가 내년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어떻게 협력할지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출처: 미국에 맞서 중국에 줄서는 나라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88 한인 뉴스 오늘 남가주 일부 지역 강풍 주의보 report33 2023.05.01 15
2287 한인 뉴스 오늘 그로브몰 부근서 대규모 행진 “집단학살 끝내라” report33 2023.05.01 17
2286 한인 뉴스 오늘 광복 78주년 기념식…독립유공 후손 한자리에 report33 2023.08.15 14
2285 한인 뉴스 오늘 LA 곳곳서 22주기 9/11 테러 추모물결 report33 2023.09.12 10
2284 한인 뉴스 오는 일요일(6일) 서머타임 해제.. 새벽 2시→1시 1 file report33 2022.11.04 47
2283 한인 뉴스 옐런, 美 국가부도 위험에 "결국 해결책 찾을 것" report33 2023.05.13 15
2282 한인 뉴스 영화관 AMC, 좌석별 가격차등 정책 포기.. "앞좌석 싸도 기피" report33 2023.07.22 16
2281 한인 뉴스 영화 '오펜하이머', 전 세계 흥행 수입 8억 달러 넘어서 report33 2023.09.05 12
2280 한인 뉴스 영아 돌연사, 美에서 증가 추세.. 매년 영아 사망 3,400여건 report33 2023.06.21 17
2279 한인 뉴스 영아 거주 이웃집에 유독물질 주입한 남성 체포.. "층간소음 탓" report33 2023.08.28 14
2278 한인 뉴스 영국도 못 막는 '직장 갑질'…감소하고 있지만 '사각지대'는 여전 report33 2023.04.24 15
2277 한인 뉴스 영국 찰스3세 국왕, 여권없이 다닌다 report33 2023.09.26 11
2276 한인 뉴스 영국 반도체업체 Arm 나스닥 상장 첫날 10%대 급등세 report33 2023.09.15 17
2275 한인 뉴스 영국 BBC "뉴스 취재 과정 투명하게 공개" report33 2023.05.18 11
2274 한인 뉴스 열심히 일하면 잘살까?.. 한국인, 16%만 '그렇다' 세계 꼴찌 report33 2023.09.08 9
2273 한인 뉴스 열대성 폭풍 힐러리 지나간 LA해변 수질오염 “들어가지 말아야” report33 2023.08.23 8
2272 한인 뉴스 열대성 폭풍 ‘힐러리’, 주말에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 접근 report33 2023.08.18 17
2271 한인 뉴스 열기 식어가는 고용시장.. 6월 구인 2년만에 최저 report33 2023.08.02 14
2270 한인 뉴스 연체 렌트비 상환에 3800만불 투입…8월부터 미납 세입자 퇴거 report33 2023.07.31 14
2269 한인 뉴스 연준, 은행권 혼란 후 신용경색 경고.. "상업용 부동산도 우려" report33 2023.05.09 12
2268 한인 뉴스 연쇄 성폭행 용의자, 멕시코에서 체포돼 LA로 압송 report33 2023.07.28 10
2267 한인 뉴스 연세사랑병원, 한국인 위한 ‘인공관절’ 개발...식약처 허가 획득 report33 2023.04.29 13
2266 한인 뉴스 연방정부, 우크라에 방공시스템 등 '12억달러' 추가 패키지 준비중 report33 2023.05.09 14
2265 한인 뉴스 연방정부, 베네수엘라 이주민 47만명 합법 체류 허용 report33 2023.09.22 12
2264 한인 뉴스 연방정부 셧다운 올해에는 없다 ‘재정책임법안에 셧다운 피하기도 포함’ report33 2023.06.02 9
2263 한인 뉴스 연방정부 "메디케어 처방약 10개 가격 인하 협상 나선다" report33 2023.08.30 12
2262 한인 뉴스 연방정부 '셧다운 D-5'.. 합의는 난망 report33 2023.09.26 20
2261 한인 뉴스 연방상원, 한국전쟁 정전일에 터너 북한인권특사 인준 report33 2023.07.30 15
2260 한인 뉴스 연방법원 '개표 조작 허위 주장' 줄리아니에 손해배상 책임 인정 report33 2023.09.01 12
2259 한인 뉴스 연방대법원, 낙태권 폐기에 이어 낙태약도 제한 report33 2023.08.18 11
2258 한인 뉴스 연방대법원, 낙태 허용 판례 ‘Roe v. Wade’ 뒤집어 (radiokorea 주형석기자 06.24.22) file report33 2022.06.28 22
2257 한인 뉴스 연방대법원 확실한 우클릭 ‘미국정치,경제, 대입 등에 막대한 파장’ report33 2023.07.04 16
2256 한인 뉴스 연방대법원 바이든 이민단속정책 손들어줬다 ‘중범죄, 초기 밀입국자 우선 추방’ report33 2023.06.24 15
2255 한인 뉴스 연방대법원 ‘정치이익에 따른 선거구 재획정 주법원 제동걸 수 있다’ report33 2023.06.28 12
2254 한인 뉴스 연방대법원 '노조 파업에 따른 손실에 소송 가능' 판결 report33 2023.06.02 11
2253 한인 뉴스 연방 항소법원, 정부·소셜미디어기업 접촉금지 명령 일시중지 report33 2023.07.15 11
2252 한인 뉴스 연방 정부 셧다운 사태 현실화되나.. 공무원 근무 지침 안내중 report33 2023.09.30 25
2251 한인 뉴스 연방 정부 셧다운 10일 남았는데 .. 공화, 한달짜리 임시예산안 추진 report33 2023.09.22 10
2250 한인 뉴스 연방 의회 임시예산안 처리 계속 난항…정부 셧다운 초읽기 report33 2023.09.30 151
2249 한인 뉴스 연방 셧다운시 이민비자 업무 직격탄 ‘적체, 지연사태 악화’ report33 2023.09.30 30
2248 한인 뉴스 연방 보건 당국, 대마의 마약류 위험등급 하향 권고…완전 합법화하나 report33 2023.09.01 9
2247 한인 뉴스 연방 법원, 인도된 콜롬비아 마약왕에 징역 45년형 선고 report33 2023.08.09 11
2246 한인 뉴스 연방 노동부, 초과근무 수당 대상 확대 추진…"360만명 추가 혜택" report33 2023.09.01 23
2245 한인 뉴스 연방 국무부 "중국과 관계 안정시키려 노력".. 갈등 비화 방지 report33 2023.07.24 11
2244 한인 뉴스 역대 최대 규모, 한국 간호사가 온다 report33 2023.08.21 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