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1 추천 수 0 댓글 0

신뢰 잃어가는 Black Lives Matter.. “위험하고 분열적이다”

Photo Credit: unsplash

[앵커멘트]

지난 3년 동안 ‘Black Lives Matter,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에 대한 신뢰가 미국인들 사이에서 크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기부금을 활용한 가족 간의 불투명한 지출과 이로 인한 파산 소식 등 부정부패가 거듭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김신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향한 폭력과 제도적 인종주의에 반대하는 ‘Black Lives Matter,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는 제2의 민권 운동이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지지율도 상당히 높았습니다.

BLM은 지난 2012년 미국에서 흑인 소년을 죽인 백인 방범요원이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흑인 민권 운동의 새로운 표어가 됐고 2020년 ‘조지 플로이드’ 사건이 발생하면서 다시 주목받은 바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경찰의 차별 대응을 비판만 할 뿐 본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인종에 상관없이 BLM을 외치는 주민들이 상당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 흑인 인권단체가 미국인들의 신뢰를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퓨 리서치 센터가 오늘 (14일) 발표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51%가 BLM 운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민 70%가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고 밝힌 지난 2020년에 비해 무려 19%나 지지율이 떨어진 것입니다.

지난해 (2022년)에도 56%만이 BLM 운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을 보면 매년 지지율이 하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퓨 리서치는 특히 백인 지지층이 떠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흑인 81%, 아시안 63%, 히스패닉 61%가 BLM 운동을 지지한다고 답한 반면 백인 지지율은 42%에 그쳤습니다.

BLM 운동을 묘사하는 단어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는 ‘위험하다’와 ‘분열적이다’라고 대답한 미국인이 3분에 1에 달했습니다.

연령대 별로는 30살 미만의 성인들이 다른 나이대보다 BLM 운동 지지 성향이 더 강했습니다.

정치적으로는 민주당 성향을 가진 응답자 84%가 BLM을 지지한다고 답한 반면 공화당 성향은 82%가 이를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BLM 운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LM이 흑인 인종차별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고 답한 비율은 32%, 경찰의 책임성을 높였다고 생각한 응답자는 14%, 흑인의 삶과 인종 관계를 개선했고 평가한 비율은 각각 8%, 그리고 7%에 그쳤습니다.

전문가들은 BLM 측의 잇따른 기부금 남용과 이에 따른 파산 소식 등이 요인으로 지지층들의 신뢰가 갈수록 떨어지는 추세라고 분석했습니다.

 

 

출처: 신뢰 잃어가는 Black Lives Matter.. “위험하고 분열적이다”


  1. [펌] "C+ 받았지만 포기 안 했다"

  2. 미국인, 20여년 새 음주량 '껑충'.. 위스키 등 독주 소비 60%↑

  3. 젊은 공화당 성향 유권자들, 총기규제에 대해 찬성 비율 높아

  4. 'NBA 첫 우승' 덴버서 총기 난사…9명 부상·3명 중태

  5. 경기 바닥 찍었나? - '반도체주 꿈틀' SK하이닉스 4% 급등

  6. LA카운티 천달러 ‘기본 소득 프로그램’ 20일부터 신청 받아

  7. OC 수퍼바이저들, 2023-24 회계년도 예산안 93억달러 승인 검토

  8. 파워볼 복권, 1등 당첨자 없어.. 새 당첨금 3억 4,000만달러

  9. 5월 소비자물가 CPI 4%↑…인플레이션 둔화세 지속

  10. 남편은 노코멘트인데.. 질 바이든 "기소에도 트럼프 지지 충격적"

  11. 바이든, 물가 둔화세에 "내 계획 효과 .. 최고의 날 오고 있어"

  12. 노년층 지출 늘리며 인생 즐겨..젊은층 지출↓/음주, 심장질환 위험 낮추지만 암 발병 위험 높여

  13. '세자매 폭포'서 10대 소녀 구하려던 OC여성 익사

  14. 국내 최대 음악축제 '코첼라' 날짜 공개됐다

  15. “LA시 학생들, 무료 점심 드려요”

  16. 미국 5월 CPI 소비자 물가 4% ‘2년만에 최저치, 6월 금리동결 확실’

  17. “버스 고칠 때까지 기다려야”...승객들 직접 수리 작업 나서

  18. [속보] ‘또 터졌다’ 커런 프라이스 LA 9지구 시의원 부패 혐의 기소!

  19. “우편으로 체크 보내지 마세요”

  20. LAPD, 촉매 변환기 절도 막는다…새로운 장치 도입

  21. CDC, “아시안 어린이 정신건강 치료 비율 가장 낮아”

  22. [속보] 프라이스 LA시의원 "시의원직 빼고 모든 자리에서 물러나"

  23. 한인기업 관세 미납 205만불 합의…애니클로, 가격 허위 기재

  24. 북한, ‘가짜 네이버’ 만들어 개인정보 탈취… 국정원 “주소 확인해야”

  25. 넷플릭스, LA에 팝업 레스토랑.. 김치피자 직접 맛본다

  26. 휴가철 코앞인데 호텔·항공료 주춤세..'보복 소비' 끝?

  27. 지난 1년간 LA 지역 신용카드 빚, 가구당 평균 2,161달러 증가

  28. 주방 인기템 '인스턴트팟' 업체 파산보호 신청

  29. 가짜 코로나 19 백신접종카드 발급 의사, 2년간 자격정지

  30. 버드 라이트 ‘최다 판매 맥주’ 타이틀 잃었다

  31. Fed, 금리동결 확실/7월 금리인상 여부 관심/美, 대만서 유사시 미국인 철수 계획 수립

  32. 법원 평결 "스타벅스, 역차별 백인매니저에 2천560만 달러 보상하라"

  33. [속보] LA시의회, 부패 혐의 프라이스 시의원 정직안 논의 임박

  34. "생성형 AI 세계 경제에 연간 4조4천억 달러 가치 창출할 것"

  35. "해외로 이주 부유층늘어나.. 올해 미국으로 2천100명 순유입"

  36. 코스트코, 월마트 등서 판매된 냉동 딸기, A형 간염 일으킬 수 있어 리콜

  37. LA카운티 교도소 여성 탈옥범 공개수배

  38. [속보] 연준, 기준금리 동결 .. 15개월만에 금리 인상 행보 일단 중단

  39. 오늘(14일) OC서 도끼로 무장한 무단침입범 경찰에 사살돼

  40. 미국 6월 기준금리 동결 대신 ‘올해안 0.25포인트씩 두번 인상 예고’

  41. 북한 주민, "식량 부족해 이웃 굶어 죽었다"

  42. 악몽꾸다 스스로에게 총 쏜 60대 남성 기소

  43. 신뢰 잃어가는 Black Lives Matter.. “위험하고 분열적이다”

  44. '촬영장 총격사고' 수사검찰 "무기관리자 숙취상태로 실탄 장전"

  45. 무더위속 차에 방치돼 숨진 경찰견들.. 경찰 뭇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