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0 추천 수 0 댓글 0

'낙태권 폐기 1년' 찬반 장외 집회…대선 후보들도 '충돌'

바이든 "대법원, 헌법적 권리 박탈
공화, 낙태약까지 금지" 비난
해리스 "의회가 복원해야"
펜스 전부통령 "생명의 신성함 회복해야"

Photo Credit: unsplash

여성의 낙태 권리가 폐기된 지 1년을 맞은 오늘(24일) 미 전역에서는 찬반 집회가 잇따라 열렸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 등 내년 대선에 출마한 정치인들도 잇따라 입장을 내놓으며 낙태권을 둘러싼 미국 사회의 분열상을 또다시 노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성명을 내고 "1년 전 오늘 연방대법원은 미 전역 여성들의 선택권을 부정함으로써 미국민의 헌법적 권리를 박탈했다"고 말했다.

그는 "반세기 동안 미국의 법이었던 '로 대 웨이드' 판결이 뒤집히면서 파괴적인 결과가 초래됐다"며 "각 주는 여성 건강과 생명을 위험에 빠뜨리고, (낙태) 처치를 위해 수백마일을 이동하게 하고, 숙련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들을 처벌하겠다고 위협하는 등 극단적이고 위험한 낙태 금지를 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하지만 이런 낙태 금지는 시작에 불과하다"며 "공화당은 전국적으로 낙태를 금지하길 원하며, 또 이를 넘어 미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낙태약을 시중에서 못 팔게 해 피임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공화당의 의제는 극단적이고 위험하며 대다수 미국민의 뜻과 다르다"면서 "정부는 계속해서 생식 건강에 대한 접근권을 보호할 것이며, 의회가 '로 대 웨이드'의 보호를 연방법으로 완전히 복원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1973년 연방대법원의 로 대 웨이드 판결로 여성의 낙태권이 수정헌법 14조의 사생활 보호 권리에 해당한다고 판단해 임신 6개월 전까지 여성의 낙태를 합법화했고, 이는 50년 가까이 유지돼 왔다.

하지만 보수성향 판사가 다수를 이룬 연방대법원이 작년 6월 24일에 이 판결을 폐기하면서 낙태 허용 여부를 각 주가 판단하도록 했다.

이에 공화당이 장악한 주들은 낙태를 엄격하게 제한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등 후속 입법 작업이 뒤따랐다. 절반인 25개 주가 낙태 제한 입법을 했다.

낙태 찬반 논란이 전국을 뒤덮으면서 미국 사회가 분열 양상을 보였고, 작년 중간선거에서 낙태 찬성 입장인 공화당이 사실상 패배하는 결과를 불러왔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도 이날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의 낙태권 찬성 집회에 참석해 "우리는 모든 미국인이 이 권리를 확보할 때까지 이 싸움에서 진정으로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안다"며 "이는 궁극적으로 의회가 대법원이 박탈한 것을 다시 제자리로 돌려놔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에 군중들은 "4년 더"를 외치며 내년 대선 승리를 기원하기도 했다.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는 공화당 주도로 낙태의 기한을 임신 20주에서 12주로 단축한 법이 내달 1일 발효된다.

반면 내년 대선 공화당 경선에 나선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은 워싱턴DC에서 열린 낙태 반대 단체 집회에 참석해 "미국의 모든 주에서 생명의 신성함이 미국의 중심이 되도록 회복할 때까지 (우린 싸움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펜스 전 대통령은 전날 한 종교 행사에서도 "모든 공화당 경선 후보는 전국 기준으로 최소한 15주 이전 낙태 금지를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공화당 경선에서 1, 2위를 달리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주지사 역시 낙태 제한에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내년 대선 공약과 관련해 아직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디샌티스 주지사는 최근 플로리다에서 임신 6주 이후 낙태 금지라는 초강경 낙태 금지법에 서명한 바 있다.

이날 낙태권 폐기 1년을 맞아 전국에서 찬반 집회가 잇따라 열렸다.

워싱턴DC에서는 '여성들의 행진' 등 낙태권 옹호 시민단체들이 집회를 열어 작년 중간선거에서 낙태권 반대 후보들의 낙선을 거론하며 내년 대선과 의회 선거에서도 유권자가 심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낙태 문제는 1년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내년 대선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뇌관이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한편 최근 로이터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의 조사에서 응답자의 64%가 낙태를 엄격히 제한하는 법을 지지하는 대선 후보를 지지하지 않겠다고 했다. 

 

 

출처: '낙태권 폐기 1년' 찬반 장외 집회…대선 후보들도 '충돌'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06 한인 뉴스 무지개 깃발 걸었단 이유로.. 9자녀 둔 업주 총 맞아 숨져 report33 2023.08.22 9
2105 한인 뉴스 27일 '전국 극장의 날' 맞아 영화 티켓 4달러 report33 2023.08.22 13
2104 한인 뉴스 힐러리로 전국 항공기 수백 편 취소·지연 report33 2023.08.22 14
2103 한인 뉴스 도어대시 남가주 일부 카운티서 서비스 일시 중단 report33 2023.08.22 10
2102 한인 뉴스 트럼프, 첫 경선지 아이오와서 독주 지속.. 지지율 42% report33 2023.08.22 10
2101 한인 뉴스 '힐러리' 상륙한 남가주, 1년치 비의 절반 하루 만에.. 수만 가구 정전 report33 2023.08.22 9
2100 한인 뉴스 LA지역 홍수 경보 연장 발령..출근길 비 내릴 수도 report33 2023.08.22 15
2099 한인 뉴스 항공사 미사용 마일리지 '3조'…소비자들 "쓸 곳 없어" report33 2023.08.22 8
2098 한인 뉴스 트럼프 "대중은 이미 안다, 압도적 선두".. 토론 보이콧 공식화 report33 2023.08.22 15
2097 한인 뉴스 남가주 밤새 폭우..LA한인타운 아파트 지붕 일부 붕괴 report33 2023.08.22 11
2096 한인 뉴스 [속보] 일본 "이르면 24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개시방안 검토" report33 2023.08.22 12
2095 한인 뉴스 미국민 다수 경제평가 ‘정부통계와 거꾸로 간다' report33 2023.08.22 11
2094 한인 뉴스 미국내 16개주 연 7만달러이상 벌어야 생활가능 report33 2023.08.22 6
2093 한인 뉴스 메타, "이르면 이번주 스레드 웹버전 출시".. 열풍 되살릴까? report33 2023.08.22 9
2092 한인 뉴스 [리포트] 총 맞아 숨진 미성년자 역대 최다.. 한해 '4천752명' report33 2023.08.22 10
2091 한인 뉴스 [속보] 일본 경제산업상 "내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기 판단" report33 2023.08.22 8
2090 한인 뉴스 LA통합교육구 내일 모든 학교 휴교..열대성 폭풍 영향 report33 2023.08.21 15
2089 한인 뉴스 [속보] LA북서부 오하이 규모 5.1 지진 발생 report33 2023.08.21 11
2088 한인 뉴스 공화, 이젠 2위다툼에 관심…디샌티스·라마스와미, 경쟁 치열 report33 2023.08.21 9
2087 한인 뉴스 K팝 축제 KCON에 LA다운타운 '들썩'..누적 관람객 150만명 돌파 report33 2023.08.21 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144 Next
/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