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4 추천 수 0 댓글 0

우주의 95% '어둠의 비밀' 풀어줄 망원경 '유클리드' 발사

암흑 물질·에너지 연구.. 우주 구조 형성 과정 규명 목표
한 달 후 150만㎞ 제2 라그랑주점 도착.. 3D 우주 지도 제작 예정

Photo Credit: NASA

드넓은 우주에서 미지의 영역인 암흑 물질·에너지를 탐구할 망원경 '유클리드'(Euclid)가 어제(1일) 발사됐다.

유럽우주국ESA의 우주망원경 유클리드는 이날 오전 11시 12분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상공으로 발사됐다.
 

유클리드는 이륙 2분 40초쯤 뒤 대기권 밖에서 로켓과 성공적으로 분리됐다.

독일 다름슈타트에 있는 ESA의 유럽우주운영센터(ESOC)는 로켓 이륙 후 57분이 지난 시점에 유클리드로부터 신호를 수신했음을 확인했다.

요제프 아슈바허 ESA 사무총장은 "유클리드의 성공적인 발사는 현대 과학의 가장 강력한 질문 중 하나에 대한 해답을 찾는 새로운 과학적 노력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유클리드는 앞으로 약 4주간 더 비행해 지구와 태양이 중력 균형을 이루는 약 150만㎞(지구와 달 거리의 약 4배) 지점의 제2라그랑주점(L2) 궤도에 진입한 뒤 7개월간의 시험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보조 장비와 망원경을 합한 전체 선체의 높이는 약 4.7m, 폭은 3.5m이고, 망원경의 지름은 1.2m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보다는 훨씬 작다.

유클리드는 2029년까지 '가시광선 관측기'(VIS)와 '근적외선 분광계·광도계'(NISP) 두 가지 관측 장비를 이용해 하늘의 3분의 1 이상에 걸쳐 퍼져 있는 최대 20억 개의 은하를 관측하고, 사상 최대의 3D 우주 지도를 만들 예정이다.

VIS는 하늘의 넓은 영역에 걸쳐 은하를 선명한 이미지로 촬영하고, NISP는 은하의 적외선을 파장별로 분석해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우주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를 관찰해 우주가 어떻게 팽창해 왔으며 우주 구조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밝힌다는 게 목표다.

우주는 130억년 전 빅뱅으로 탄생한 뒤 계속 팽창하고 있는데, 과학자들은 연구 과정에서 우주에 일반적인 물질이 5% 정도밖에 없으며, 나머지 25% 정도는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 70%는 암흑에너지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관측장비로는 암흑 에너지와 암흑 물질을 직접 포착할 수 없다.

유클리드는 중력 렌즈(gravitational lensing) 효과를 이용해 수십억 개의 은하가 왜곡된 모양을 측정해 우주의 암흑물질 분포에 대한 입체적인 모습을 보여줄 계획이다.


중력 렌즈 효과는 물질이 집중된 곳이 돋보기 역할을 하면서 그 위에 있는 은하와 성단의 빛이 굴절되며 렌즈로 들여다본 것처럼 확대돼 보이는 현상이다. 

ESA의 과학 책임자 캐럴 문델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를 이해하려면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본질을 밝히고 이들이 우주를 형성하는 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 이해해야 한다"며 "이런 근본적인 질문을 풀기 위해 유클리드는 은하계 밖 하늘에 대한 가장 상세한 지도를 전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클리드가 찍은 첫 번째 이미지는 오는 10월 공개된다.

ESA는 이후 매년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공개하고, 과학 아카이브를 통해 전 세계 과학 커뮤니티에 공개할 계획이다.

유클리드가 수집하는 데이터는 유럽을 비롯해 미국, 캐나다, 일본 등 총 21개국 300여개 기관에 소속된 과학자 2천여명으로 구성된 유클리드 컨소시엄에서 분석한다.

유클리드의 이름은 기하학을 확립한 고대 그리스 수학자 유클리드의 이름에서 따왔다.

이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예산은 14억 유로(15억 달러)다.

당초 유클리드는 ESA 발사장인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러시아 로켓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과 러시아 우주기관의 관계가 단절되면서 스페이스X가 발사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출처: 우주의 95% '어둠의 비밀' 풀어줄 망원경 '유클리드' 발사


  1. 오늘(6월27일) LA 시 6지구 시의원 특별선거, 2명 결선투표

  2. 오늘밤 '수퍼문'도 독립기념일 밤하늘 밝힌다

  3. 오늘부터 북한 정찰위성 '깜깜이 발사' 국면…대북 정찰·감시 능력 시험대

  4. 오렌지 통합교육구, 성전환자 학생 부모 통지할까

  5. 오리건주 윌슨빌에 '한국전쟁 역사관' 오는 11월 개장

  6. 오바마 전 대통령 “매일 남자와의 사랑 상상했어”

  7. 오바마재단 작년 4천여억원 최다액 모금.. "거액 기부 2명 덕분"

  8. 오수 1만 갤런 유출로 마리나 델 레이 인근 해변 입수 금지

  9. 오염수 방류 전 사놓자?‥천일염 가격 폭등에도 주문 폭주

  10. 오염수 방류에도 메시지 없는 대통령‥침묵은 선택적?

  11. 오클라호마, 여대생 강간살해범 사형 집행.."나는 결백해"

  12. 오클랜드 동물원 호랑이, 새끼 낳은 뒤 죽여.. "본능적 행동"

  13. 오픈AI, 향후 12개월간 10억 달러 넘는 매출 예상

  14. 오하이오서 스쿨버스 전복 사고 발생..1명 사망, 23명 부상

  15. 오히려 부자일수록 더 '주머니 사정' 어려워.. '리치세션' 겪는 중

  16. 온라인 시대 맞아서 소비자 현혹하는 허위 광고 심각한 수준

  17. 온몸에 구찌 휘감고…"입사 선물" 자랑하다 잘린 구찌 직원, 왜

  18. 온세미콘덕터 "한국, 20억 달러 투자 후보지 중 하나"

  19. 온열질환 사망자 증가세..기온 상승에 노숙자, 약물남용 탓/올해 노동절 소비 감소 전망

  20. 올 독립기념일 연휴 여행길에 오르는 주민 역대 최다

  21. 올 상반기 폭풍우 피해 전례없는 규모.. 보험금 340억 달러

  22. 올드타이머 이민휘 회장 별세

  23. 올림픽경찰서에 한국어 통역관 배치 추진

  24. 올해 LA 퇴거통지서 4만건..대부분 고급 아파트서 발송/미국인 55% '열심히 일하면 잘살게 된다'

  25. 올해 급격히 늘어난 노숙자수.. 팬데믹 이후 거리로 내몰리는 사람들

  26. 올해 노숙자 11% 급증…주거비용 폭등에 역대 최고 수준

  27. 올해 상반기 차량 절도 급증.. "현대·기아가 대부분"

  28. 올해 자연재해 피해, 10억달러 이상 23건 '역대 최다'

  29. 올해(2023년) 첫 슈퍼문 떴다

  30. 요세미티 국립공원 예정보다 앞서 오늘 리오픈

  31. 요세미티, 역대급 스노우팩이 빚어낸 거대한 폭포 ‘장관’

  32. 요세미티서 ‘이것’본다면? 주저말고 무너뜨려주세요

  33. 요양시설 한인 할머니 살해 용의자 지안천 리 살인 혐의로 기소

  34. 요즘 대세 AI, 사람 일자리 위협/저소득층에 더 치명적/美 조기 사망률 매우 높아 충격적

  35. 우려대로…미 하원 “한국, 중국서 마이크론 공백 채우지 말라”

  36. 우버 타려던 한인 추정 커플 폭행 후 도주한 남성 공개수배

  37. 우버, 새 기능 탑재…앱 없어도 이용가능

  38. 우버, 새로운 LA 인앱 안전기능 출시.. 승객과 운전자 모두 보호

  39. 우주의 95% '어둠의 비밀' 풀어줄 망원경 '유클리드' 발사

  40. 우크라 댐 붕괴.. "세계 식량난 심화할 것"

  41. 우크라 이웃 루마니아, 독일군 주둔 요청…"독일 총리, 놀란듯"

  42. 우크라, 대반격 첫 성과…"동남부 격전지 마을 3곳 탈환"

  43. 우크라전 참전 러시아군 약 5만명 전사

  44. 우편배달원 개물림 사고 가장 많은 지역에 LA 2위

  45. 욱일기 게양한 일본 자위대 함정, 부산항 입항 조율?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