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1 추천 수 0 댓글 0

하루 1만명까지 폭증 전망했는데.. 불법입국 3천명대로 급감

'불법입국 즉시 추방 정책' 종료에도 불법입국 시도 감소

Photo Credit: Unsplash

연방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을 명분으로 실시했던 불법 입국자 즉시 추방 정책(타이틀42) 종료 이후에 당초 예상과 달리 미국 남부 국경의 불법 입국자 규모가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변화로 하루에 최고 1만명 이상이 유입되며 폭증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으나 오히려 타이틀42 실시 때보다 불법 입국 시도자가 감소한 것이다.
 

국토안보부에 따르면 타이틀42 정책​이 종료된 5월 12일 이후 하루 평균 불법 입국자수는 3천360명을 기록했다고 뉴욕타임스(NTY)가 오늘(3일)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2022년) 3월 평균, 7천100건의 절반 이하 규모다.

타이틀42이 종료되기 직전에 불법 입국자 규모가 가장 컸을 때와 비교하면 70%가량 줄어들었다고 ABC방송 등이 앞서 보도했다.

앞서 라울 오르티스 당시 국경순찰대 대장은 5월 12일에 올린 트위터에서 12일 기준으로 지난 1주일간 하루 평균 9천679명의 불법 이주민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는 3월 평균인 5천200명보다 많이 늘어난 수치다. 

나아가 일일 기준으로는 1만명 이상이 불법 입국한 경우도 발생하기도 했다고 당시 언론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바이든 정부에서는 42호 정책 종료 후 최대 하루 1만1천명까지 불법 입국자들이 몰리는 폭증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군 병력을 국경에 파견하고 불법 입국 문제에 대해 처벌을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실제 폭증 사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바이든 정부는 안도하는 모습이다.

대선 주요 이슈 가운데 하나인 불법 이주민 문제에 대해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미온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공화당의 비판을 피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다.

다만 현재의 불법 입국자 감소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평가도 있다.

불법 이주의 근본적인 동인인 남미 지역의 정치 불안, 빈곤 등의 상황이 변화가 없다는 점에서다.

오히려 구조적인 변화보다는 새 이민 정책에 대해서 불법 월경을 시도하려는 사람들이 '관망 모드'에 있는 것이 최근 감소세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싱크탱크인 국제위기그룹(ICG)의 선임 멕시코 분석가인 팔코 에른스트는 "사람들이 '대기 모드'일 수 있다"면서 "국경을 어렵게 만드는 새 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겁먹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정부는 타이틀42​ 종료에 맞춰 망명을 신청할 수 있는 합법적인 경로를 기존보다 확대하면서 사전에 이런 경로를 거치지 않고 남부 지역 국경을 통해 불법 입국할 경우 신속하게 추방하고 5년간 재입국을 금지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출처: 하루 1만명까지 폭증 전망했는데.. 불법입국 3천명대로 급감


  1. 학자금 탕감 후속 시행…‘SAVE’ 온라인 신청시작, 소득따라 전액면제 가능

    Date2023.07.31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27
    Read More
  2. 학자금 미상환 대출 잔액, 올 1분기 말 기준 1조 6,400억달러

    Date2023.08.07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0
    Read More
  3. 학생 징계 완화에 미국 교권도 흔들…LAUSD, 무관용 정책 중단

    Date2023.07.25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4
    Read More
  4. 학교 휴업·출근시간 조정, 1만 명 사전 대피…도로 390여 곳 통제

    Date2023.08.10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5
    Read More
  5. 하원의장, 바이든 탄핵 조사 지시..백악관 거센 반발

    Date2023.09.13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2
    Read More
  6. 하와이주지사 "사망자 200명 육박할수도" .. 7일간 신원확인 3명뿐

    Date2023.08.16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2
    Read More
  7. 하와이, 땅 투기꾼 기승에 '부동산 거래중단' 추진

    Date2023.08.18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2
    Read More
  8. 하와이, 대형산불피해 확산.. "주민, 화마 피해 바다로 뛰어들어"

    Date2023.08.10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2
    Read More
  9.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 분화.. 경보 발령·항공기상 '적색' 상향

    Date2023.06.08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5
    Read More
  10. 하와이 산불, 아직 850명 연락두절.. 사망자 114명

    Date2023.08.22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1
    Read More
  11. 하와이 산불 원인 공방.. "전선 탓 아냐"

    Date2023.08.29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5
    Read More
  12. 하와이 마우이섬 100년만 참사에.. "정부 늦장 지원" 분통

    Date2023.08.15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1
    Read More
  13. 하와이 마우이 섬 대참사, 경고 시그널 무시와 느린 대응이 원인

    Date2023.08.21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4
    Read More
  14. 하버드 후배들 앞에 선 반기문 "혜택받은 만큼 사회에 보답해야"

    Date2023.05.25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8
    Read More
  15. 하루 1만명까지 폭증 전망했는데.. 불법입국 3천명대로 급감

    Date2023.07.04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1
    Read More
  16. 필라델피아서 대형유조차 화재로 인해 고속도로 상판 붕괴

    Date2023.06.12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3
    Read More
  17. 필라델피아 ‘김치 페스티벌’ 다음달 열린다

    Date2023.09.11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9
    Read More
  18. 플로리다서 내부온도 133도 차량에 방치된 아기 사망..여성 1명 체포

    Date2023.07.21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5
    Read More
  19. 프리지데어 세탁건조기 리콜… “화재 위험 있어”

    Date2023.07.14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44
    Read More
  20. 프리고진 장례식 비공개로

    Date2023.08.30 Category한인 뉴스 Byreport33 Views1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44 Next
/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