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4 추천 수 0 댓글 0

학생 징계 완화에 미국 교권도 흔들…LAUSD, 무관용 정책 중단

 

4년 새 정학처분 30% 감소
교사 5명중 2명 “퇴직 고려”

최근 한국서 한 초등학교 교사의 극단적 선택과 6학년 학생의 담임 교사 폭행 사건 등이 맞물리면서 교권 보호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미국 교육계에서도 한국의 상황이 “남의 일 같지 않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몬테벨로통합교육구 영 김 교사는 “한국처럼 학생이 교사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욕설을 내뱉는다면 충분히 징계를 내릴 수 있는 일”이라며 “그렇다고 미국의 교권도 예전만 못한 게 학생들의 반항도 심해지고 학부모의 지나친 간섭, 악성 민원 등으로 교사들이 위축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LA통합교육구(LAUSD)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크다. 약 40여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본지는 교권 파악을 위해 LAUSD의 정학 및 퇴학 규정을 알아봤다.
 
LAUSD에 따르면 교직원을 대상으로 괴롭힘, 협박, 위협(4~12학년 해당)을 가한 경우는 정학의 근거가 된다. 교직원을 대상으로 물리적 폭행, 공격적 행동을 했다면 ‘퇴학 권고 상황’으로 간주한다. 또, 문제의 행동을 한 학생에게는 학급 교사가 수업 정지 처분 등을 내릴 권한도 있다.
 


문제는 규정 적용이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LAUSD 한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학생이 고의적인 반항 또는 위반 행위를 하더라도 정학 또는 퇴학 처분을 받지 않는다는 규정이 생겼다”며 “학생에게 정학 대신 다른 대안을 통해 선도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즉, 학생이 의도성을 갖고 교사에게 부적절한 행동을 하더라도 교사가 이를 징계 등을 통해 제재를 가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미다.
 
실제 LAUSD 이사회는 지난 2014년부터 ‘고의적 반항(willful defiance)’에 기반을 둔 행동에 대해 무관용 정책을 금지하기로 했다. 정학률이 높은 흑인, 히스패닉 등 소수계 학생에 대한 징계 비율을 낮추기 위한 목적이다.
 
징계 정책 완화는 가주 교육계의 전반적인 추세다.
 
가주교육부에 따르면 팬데믹 사태가 불거지기 전인 2019~2020년도에 정학 처분을 받은 학생 수는 15만4718명(정학 비율 2.5%)이다. 이는 2015~2016(23만4172명·3.7%), 2016~2017(23만3473명·3.6%), 2017~2018(22만3867명·3.5%), 2018~2019(21만9446명·3.3%) 등 정학 처분 및 비율이 계속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계에서는 이러한 정책이 곧 교권 약화로 이어진다는 주장이다.  
 
가주교사협회 전 회장인 에릭 헤인스는 “행정가들은 ‘정학률이 줄었다’고 하겠지만 정작 교실에서의 혼란은 줄지 않고 있다”며 “우리는 이를 ‘숫자 게임’으로 부르는데 대안 없이 학생이 회복되지 않은 채 교실로 돌아온다면 문제의 상황만 계속될 뿐”이라고 말했다.
 
LAUSD의 한인 교사 이모씨는 “학군, 지역 경제 수준, 교장의 가치관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교사 입장에서 욕설이나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학생을 징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교사라는 직업은 사명감이 있어야 감당할 수 있는데 주변을 보면 과도한 업무와 교권 약화 등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고 전했다.
 
하트리서치협회는 지난해 가주 지역 교사 463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에 참여한 교사 중 51%는 ‘학생의 공격적 행동에 대한 징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 5명 중 2명은 교사를 그만두는 것을 고려한 적 있다. 퇴직을 고려하게 된 가장 큰 이유로는 ‘스트레스로 인한 탈진(57%)’을 꼽았다.
 
학부모 사이에서도 한국의 교권 추락 소식은 이야깃거리가 되고 있다. 조현재(42·토런스)씨는 “예전에는 교사가 학생을 폭행하는 등 교권이 너무 강했다면 요즘은 반대로 교사의 권위가 땅에 떨어진 것 같다”며 “미국도 요즘은 자녀에 대한 과잉보호가 심하고 교육열이 높아 치맛바람이 센 학군에서는 오히려 교사가 학부모 눈치를 본다”고 말했다.

 

 

출처: 학생 징계 완화에 미국 교권도 흔들…LAUSD, 무관용 정책 중단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46 한인 뉴스 [속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서울중앙지법으로 출발 report33 2023.09.26 10
2745 한인 뉴스 직원 함부로 출세 시키면 후회한다? report33 2023.09.26 14
2744 한인 뉴스 흑인남성, 안면인식기술 오류로 도둑으로 몰려 6일간 옥살이 report33 2023.09.26 10
2743 한인 뉴스 민주 뉴섬 CA주지사 VS 공화 디센티스 텍사스 주지사 TV토론 격돌! report33 2023.09.26 8
2742 한인 뉴스 한인 첫 연방상원의원 탄생?..앤디 김, 출마 선언 report33 2023.09.26 13
2741 한인 뉴스 "전기자동차 인기에 각 건물들도 충전기 설치"/Z세대 81% 식사 중 스마트폰 사용 report33 2023.09.26 10
2740 한인 뉴스 오늘(25일) 아침 LA한인타운 인근 주택가서 총격 발생 report33 2023.09.26 14
2739 한인 뉴스 [리포트] CA주 초중고교 성중립 화장실 의무화 report33 2023.09.26 9
2738 한인 뉴스 영국 찰스3세 국왕, 여권없이 다닌다 report33 2023.09.26 11
2737 한인 뉴스 미 의회조사국 '셧다운시 매주 0.15%p 성장률↓ .. 실업률도 영향' report33 2023.09.26 10
2736 한인 뉴스 한인타운 시니어 센터, 새학기 프로그램 접수..6개 과목 신설 report33 2023.09.26 32
2735 한인 뉴스 미국 종이수표 죽고 현금 죽어가고 있다 ‘수표 5%, 현금 17%에 불과’ report33 2023.09.26 11
2734 한인 뉴스 미국민 대다수 앞으로 6개월 연말연시 대목에도 씀씀이 줄인다 report33 2023.09.26 11
2733 한인 뉴스 물가 지표 개선됐다지만.. 소비자들 "나가는 돈 너무 많아" report33 2023.09.26 16
2732 한인 뉴스 '5개월째 파업' 헐리웃 작가, 제작사와 곧 타결 가능성 report33 2023.09.26 13
2731 한인 뉴스 미국 경제 위협하는 4대 악재.. "셧다운·파업·학자금·고유가" report33 2023.09.26 10
2730 한인 뉴스 미 증시, 소형·산업 주가 하락.. "침체징후로 약세" vs "매수 기회" report33 2023.09.26 13
2729 한인 뉴스 주춤했던 유가, 수급 우려 속 다시 상승.. "100달러 전망 늘어" report33 2023.09.26 15
2728 한인 뉴스 텍사스 엘파소, 이민자 하루 2천명 몰려 .. 한계 report33 2023.09.26 48
2727 한인 뉴스 9월말까지 예산안 처리 못하면 셧다운..연방 공무원 수십만명 급여중단 위기 report33 2023.09.26 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44 Next
/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