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5 추천 수 0 댓글 0

CDC "진드기 관련 육류 알레르기 환자 급증.. 45만명 추정"

진드기에 물리면 붉은 고기 등에 면역반응 '알파갈증후군'
의료현장 인력 42%, 관련 질환·증상에 "생소해".. 진단 난망

Photo Credit: 론스타 진드기, 미네소타주 보건부

국내 진드기로 인해 발생하는 육류 알레르기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오늘(28일) CNN과 BBC 등 매체가 보도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이날 붉은 고기 등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알파갈증후군'이 내국인 최대 45만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진단이 어려워 정확한 통계치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이 수치가 사실이라면 국내 식품 알레르기 가운데 10번째로 흔한 질환이 된다.

국내 전문가들은 알파갈증후군이 '론스타 진드기'라고 불리는 진드기(학명 'Amblyomma americanum')의 타액을 통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외관상 등 부분에 흰색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론스타 진드기는 미국 남부 및 동부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서식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 진드기의 타액에는 '알파갈'(alpha-gal)이라는 당류 생성 효소가 들어있는데, 이 성분이 피부를 통해 인체에 침투하면서 문제가 발생한다.

진드기에게 물린 인체가 면역반응을 일으키면서 알파갈을 경계하게 되고, 이 물질이 함유된 육류 또는 동물성 식품을 섭취할 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돼지고기와 소고기, 양고기, 우유를 비롯해 일부 의약품과 화장품 등에 대해서도 알레르기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위경련, 설사, 두드러기,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치명적인 아나필락시스(특정 물질에 대한 과민 알레르기 반응)로 이어질 수도 있다. 

CDC는 2010∼2022년 전국에서 알파갈증후군 의심 사례 11만건이 확인됐으며, 2017∼2021년 진단 사례가 매년 약 1만5천명씩 늘어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진단상의 어려움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국민 중 45만명이 이러한 질환으로 영향을 받고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육류는 소화가 오래 걸리기 때문에 증상이 있더라도 알파갈증후군에 연결 짓기가 상당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CNN에 따르면 알파갈증후군 환자는 육류 섭취 이후 4∼6시간이 지난 뒤에야 증상을 보이기 시작하는 경우가 대체적이다.

의사들이 이러한 증후군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진단을 어렵게 하는 요인 중 하나다.

CDC가 지난해 의료 및 보건업 종사자 1천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42%가 이 알레르기에 대해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해당 질환을 식별할 자신이 없다는 응답도 전체의 3분의 1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따뜻한 계절일수록 진드기에 물리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며 야외에서 몸을 가리고 진드기에게 물렸는지 수시로 확인하라고 권고했다.

디에칠톨루아미드(DEET) 성분이 들어간 벌레 기피제를 사용하거나 페메트린 처리된 의류를 착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출처: CDC "진드기 관련 육류 알레르기 환자 급증.. 45만명 추정"


  1. 시카고, 1주에 1천명씩 불어나는 불법이민자.. "수용에 한계"

  2. [리포트] 금지할까 활용할까.. 학교들 챗 GPT 사용 고심

  3. 아파트보다 싼 크루즈 장기 렌트 화제

  4. 티웨이, 다날과 손잡고 '휴대폰 항공권 결제' 오픈

  5. LA통합교육구 내일 모든 학교 휴교..열대성 폭풍 영향

  6. 트럼프 "대중은 이미 안다, 압도적 선두".. 토론 보이콧 공식화

  7. LA지역 홍수 경보 연장 발령..출근길 비 내릴 수도

  8. 조수석·뒷좌석도 안전벨트 경고시스템 장착될까

  9. 2024 공화당 대선 경선 오늘 첫 토론, 남가주 Watch Party

  10. 멕시코 “인아이앤아웃” 햄버거, 표절 논란에 상호명 변경

  11. 뜨거운 고용시장.. 의미없어진 7.25달러 최저임금

  12. 헐리웃 작가 파업 113일째.. 제작사측, 협상안 공개로 압박

  13. OC 트라부코 캐년 술집서 총격.. 최소 4명 사망·6명 부상

  14. [속보] 잉글우드 인근서 규모 2.8지진

  15.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 7.23% 돌파.. 2001년 이후 최고

  16. “중국인 미국땅 사지마”.. 33개주 81개 법안 발의

  17. 프리고진 암살 배후 푸틴 보다 쇼이구 군부 의심 ‘서방정보당국’

  18. 전설적 명사회자 ‘국민 MC’ 밥 바커, 99세 일기로 사망

  19. 트럼프 '머그샷 굿즈' 팔아 돈방석.. 거액 단숨에 모금

  20. 노스리지서 흉기 휘두르던 용의자, 경찰에 총격 사살

  21. 멕시코서 '녹색 금' 아보카도·라임 놓고 갱단간 분쟁 지속

  22. 하와이 산불 원인 공방.. "전선 탓 아냐"

  23. 전 세계 최고의 항공사는?

  24. "40세 이전 발기부전, 당뇨병 신호일 수도"

  25. 25세는 돼야 우버 운전…보험 상승에 연령 올려

  26. “경찰서 없는 도시”..임금 협상 불발에 서장 포함 전원 사임

  27. 프리고진 장례식 비공개로

  28. 내일(30일) '수퍼 블루문' 뜬다

  29. 해외직구 관세도 모바일로 납부…다음달 부터 시행

  30. IRS 요원 500여 명, 민간 기업서 돈 받아

  31. [리포트]FBI, 6개국과 공조해 '칵봇' 제거 성공

  32. 2분기 성장률 2.4%→2.1%로 하향…2%대 유지

  33. 북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 발사…미 전략폭격기 전개에 반발 "남한 초토화 전술핵 훈련"

  34. [리포트] LA시의회 “TX 주지사에 불법 이민자 관련해 윤리적 책임 물을 것”

  35. [리포트]LA시, 주거 목적 RV 대여, 판매 금지안 추진

  36. 고금리에도 끄떡없다.. 미국이 경제침체에 빠지지 않는 이유는?

  37. 타운 등에 446유닛 저소득층 주택…주정부, 1억5690만불 지원

  38. 러 국방장관 "북한과 연합훈련 개최 가능성 논의"

  39. “한국으로 MLB 개막전 보러 가요”

  40. 부동산업체 '에이티8' 설립…데이비드 윤 교통사고 사망

  41. [리포트]LA카운티 검찰, 한인 업주 2명 임금 착취 혐의로 기소

  42. CA주서 환각 유발 ‘마법 버섯’ 소유, 사용 합법화되나?

  43. "오바마는 게이" 터커 칼슨과의 회견에서 또다시 제기돼

  44. CA 주 의회, 총기와 탄약 판매에 새로운 세금 부과 법안 승인

  45. 수요 없어도 계속 오르는 주택 가격.. 올해 3.3% 상승 예측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