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6 추천 수 0 댓글 0

신용등급 강등 속 미 10년 만기 국채금리 연중 최고

Photo Credit: pexels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전날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가운데 미국 국채 수익률이 미 행정부의 채권발행 확대 계획과 고용시장 강세 지속 등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어제(2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이날 국채는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여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장중 전날보다 10bp(1bp=0.01%포인트) 오른 4.12%를 기록해 연중 최고를 넘어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였다. 
 

채권 수익률(금리) 상승은 채권 가격 하락을 의미한다.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도 한때 10bp 오른 4.20%까지 상승해거의 9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미 재무부는 이날 장기채 발행 규모를 애초 960억 달러에서 1천30억 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시장의 예측보다 소폭 늘어난 것으로,정부의 재정적자가 커지는 가운데 피치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한단계 하향한 이후이뤄지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민간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의 조사 결과, 미국의 7월 민간기업 고용이 전월 대비 32만4천개가 늘어나는 등 고용시장이 강세를 이어간 것도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힘을 실어줄 수 있어 국채 수익률 급증의 한 요인이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에드 알후사이니 컬럼비아 스레드니들 글로벌 금리 전략가는 피치의 조치가 2011년 당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강등을 반영한 것이지만 완전히 다른 경제 환경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고용시장의 회복력은 2011년 당시 미국을 괴롭혔던 9% 실업률을 기록한 때와는 대조적이라면서 미국 국채는 실질적인 대체제가 없는 최고의 안전자산으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한편 유가는 이날 미국의 원유 재고가 역사적인 수준으로 하락했음에도 피치의 강등 조치로 인해 시장에 위험회피 심리가 작용해 2% 하락 마감했다.

연방 에너지정보청(EIA)은 미국 원유 재고가 정유시설 가동 증가와 수출 호조 등으로 한 주간 1천700만 배럴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1982년 이후 주간 최대 감소폭이다.

하지만 피치의 국가신용등급 강등으로 금융시장 전반이 약세를 보이면서 동반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88달러(2.31%) 하락한 배럴당 79.49달러에 거래를 마쳤으며, 10월 인도 브렌트유는 1.71달러(2%) 하락한 배럴당 83.20달러에 마감했다.

미 행정부가 전략비축유(SPR) 600만 배럴 구매 계획을 철회했다는 소식도 가격 하락을 부추겼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출처: 신용등급 강등 속 미 10년 만기 국채금리 연중 최고


  1. 수임료 받고 태만, 범죄 연루 등 변호사 징계

  2. 수입차 1위 벤츠, 딜러사 건너 뛰고 직판 체제로 전환 추진

  3. 수출 7개월 연속 감소, 무역수지 14개월째 적자 ‥반도체 회복 언제쯤?

  4. 수출 효자된 K-아이스크림…"폭염·K-콘텐츠 영향"

  5. 쉐이크쉑 버거 LA 한인타운점 오픈

  6. 스레드, 16시간만에 3천만명 가입…게이츠·윈프리도 계정 오픈

  7. 스레드, 광고주에 트위터 대안으로 부상

  8. 스레드, 일일 이용자 2주 전보다 70% 떨어져

  9. 스레드·인스타·페북, 한때 동시 마비

  10. 스위스 연구진 "1천200년전 이후 지금이 가장 더워"

  11. 스타벅스 '1+1' 행사…14·21·28일 정오 이후

  12. 스튜디오 시티 스타벅스, 매장 내 좌석 없애..."투고만 가능"

  13. 스티븐연, 에미상 남우주연상 후보.. 'BEEF' 13개후보 올라

  14. 스페이스 X, 우주비행사 4명 발사 성공.. 7번째 유인 우주선

  15. 시니어 여성 22명 살해한 연쇄살인마, 교도소서 살해돼

  16. 시니어가 꼭 알아야 할 '복지 혜택 자격'은?

  17. 시민권 시험 15년만에 업데이트.. 더 어려워진다

  18. 시속 240㎞ ‘슈퍼 태풍’ 휩쓸고 간 괌···태풍 영향권서 벗어나

  19. 시애틀 차에 타고 있던 한인 부부 총에 맞아..출산 앞둔 부인, 태아 사망

  20. 시애틀항만 폐쇄…노조와의 갈등

  21. 시장, 제롬 파월 Fed 의장 잭슨홀 발언에 안도.. “폭탄 없었다”

  22. 시진핑 "문화민족 이미지 고양시켜 미국 앞선다"

  23. 시카고 관광명소 'Cloud Gate', 내년 봄까지 접근 제한

  24. 시카고 기자, 강도 취재 중 강도 당해

  25. 시카고 도심서 1년새 익사체 16구 인양.. 연쇄살인 공포

  26. 시카고 여경찰에 강도짓하려다 총격 살해한 10대들

  27. 시카고 일원에 토네이도 강타.. 오헤어공항에 대피령 발령

  28. 시카고, 1주에 1천명씩 불어나는 불법이민자.. "수용에 한계"

  29. 시카고대, 학자금 축소 담합 혐의 관련 천350만 달러 보상 합의

  30. 시카고판 주유소 습격 사건.. 흑인 청소년 100여명 난입해 파손

  31. 식료품 사면서 수백불 캐시백…크레딧카드 최고 6% 적립

  32. 신규주택 시장 '주춤'.. 6월 착공 8%↓·허가 4%↓

  33. 신뢰 잃어가는 Black Lives Matter.. “위험하고 분열적이다”

  34. 신용등급 강등 속 미 10년 만기 국채금리 연중 최고

  35. 신차 품질 갈수록 하락…불만 건수 또 증가

  36. 신차에 보행자 감지해 자동 정차하는 브레이크 3년내 의무화

  37. 실업수당 청구 26만4천건…재작년 10월 이후 최다

  38. 실업수당 청구 2만8천건↑…26만1천건으로 21개월만에 최고치

  39. 실업수당 청구 2주 연속↑…2만1천 건 증가한 24만8천 건

  40. 실업수당 청구 3주째 감소…4천건 줄어든 22만8천건

  41. 실업수당 청구 5주만에 증가세 전환…3천건 늘어난 22만건

  42. 실업수당 청구 8개월만에 최소…2만건 줄어든 20만천건

  43. 실업수당 청구 감소세 전환…만천 건 감소, 23만9천 건

  44. 실업수당 청구건수 23만건…2주 연속 예상 밖 감소

  45. 실종 잠수정 수색 진전없어.. "가용 자원 총동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