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0 추천 수 0 댓글 0

러시아, 서방 국가들 제재에도 1년만에 경제 성장세

2분기 러시아 GDP,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9% 증가
2022년 2분기 GDP 성장률 -4.5% 이후 4개 분기 연속 하락
1년만에 성장세 반등, 특히 성장 폭도 시장 예상치 3.9% 상회

Photo Credit: Futures Tip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경제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연방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2분기 러시아 국내총생산, GDP가 지난해(2022년) 같은 기간보다 4.9% 증가했다.
 

앞서 지난해 같은 기간 GDP 성장률은 -4.5%였고 그 이후 올 1분기까지 4개 분기 연속으로 전년 대비 하락세를 보이다가 이번에 반등한 것이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 미국을 중심으로 서방 국가들이 초강력 경제 제재를 러시아에 계속해서 가했지만 그런 압박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경제는 오히려 1년 만에 하락세를 극복해내면서 분기 성장세를 회복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이번 러시아 2분기 성장 폭은 시장의 예상치 3.9%를 1%p나 웃돌 정도로 매우 좋은 결과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는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침공 후 이뤄진 서방 제재로 러시아 경제가 장기 침체를 겪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상을 불과 1년여만에 뒤집은 결과라는 점에서 흥미로운 상황이다.

이렇게 1년만에 러시아 GDP가 상승할 수있었던 요인으로는 국방비 증가에 따라 산업 생산이 증가하고, 사회적 지원과 지출 증가, 임금 인상 영향으로 소비자 수요가 커진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러시아 금융그룹 BCS파이낸셜 나탈랴 라브로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러시아 경제가 올해(2023년) 2% 정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내년(2024년) 중반이 되면 전쟁 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속해 나가기 위한 모병 활동 강화 추세는 노동력 부족 현상을 더 심화하고 경제 성장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경제적 우려에 따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지난 1월 징집 연령 상한선을 기존 27세에서 30세로 높이는 법안에 서명하는 등 노동 시장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추진되고 있다.

루블화 가치 하락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도 확대하고 있다.

루블화는 어제(8월11일) 현재 1달러당 99루블로 100루블에 육박하는 등 올해 들어 가치가 25%나 떨어졌다.

알렉세이 자보트킨 러시아 중앙은행 부총재는 기자회견을 갖고 다음달(9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앞서 러시아 중앙은행은 지난달(7월) 이사회에서 기준금리를 8.5%로 올렸는데 추가인상을 예고한 셈이다. 

 

 

출처: 러시아, 서방 국가들 제재에도 1년만에 경제 성장세


  1. "머스크, 우크라전 개입 문제 심각"..상원 군사위 조사 착수

  2. 미국 사상 첫 3가지 백신 동시접종 시대 돌입 ‘새 코로나, 독감, RSV 백신’

  3. 실업수당 청구 5주만에 증가세 전환…3천건 늘어난 22만건

  4. 틱톡샵 정식 서비스 개시

  5. 주한美대사 "북러간 위성기술 등 군사협력 합의 가능성 더 우려"

  6. 남가주 오늘부터 기온↓..평년보다 낮은 기온 예보

  7. 북아프리카 리비아서 '대홍수' 사망자 6천명…만명 넘을 수도

  8. LA다운타운 3층짜리 건물서 대형 화재 발생

  9. 애플, 아이폰15 시리즈 공개

  10. 뉴욕 연은 조사 "8월 기대인플레 안정.. 신용 우려 고조"

  11. 머스크 "빌 게이츠는 위선자.. 기후변화 맞선다며 테슬라 공매"

  12. 주행거리 연동으로 차보험 아낀다

  13. 오늘 LA 곳곳서 22주기 9/11 테러 추모물결

  14. 북·러 "김정은, 푸틴 초대받아 수일내 러시아 방문"

  15. 백두산 천지에 '괴생물'.. 호수 한 가운데서 '유영' 물체 포착

  16. X(예전 Twitter), 콘텐츠 규제 관련해 CA 주 상대로 소송 제기

  17. 운전자 허리 휜다! .. LA, OC 개솔린 가격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

  18. OC, 헌팅턴 비치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 금지에 제동

  19. 트럼프 "파우치 해고하고 싶었지만 민간인 신분이라 못해"

  20. "약 백만년 전 인류 멸종위기 겪었다.. 1천280명"

  21. '성추행·명예훼손' 늪에 빠진 트럼프.. 별도 소송도 불리

  22. 美 싱크탱크 "러시아 밀착하는 北, 더욱 위험해질 것"

  23. "상업용 부동산, 은행부실 뇌관.. 위험노출액 겉보기보다 커"

  24. 전설적 쿼터백 조 몬태나, S.F. 시 상대로 소송 제기

  25. 모건스탠리 "미 성장, 기대보다 약해.. 증시, 너무 낙관적"

  26. 대선불복 '의회난입' 주동자 징역 22년 선고.. 법정 떠나며 V자

  27. 백악관, "북한이 러시아 무기 제공하면 대가 치르게 될 것"

  28. LA 에어비앤비 수익성 높아..연중무휴 불법 운영/주택소유주 82% '기존 낮은 모기지 금리에 이사 못가'

  29. 차보험료 10년 새 70%↑..무보험 운전자 증가

  30. 바이든 재선의 최대 걸림돌은 나이…미국인 73% "너무 늙었다"

  31. 프레드 정 풀러튼 시장, 태미 김 어바인 부시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32. 데이브 민 CA주 상원의원, DUI 혐의 인정 .. 3년 집행유예

  33. CA주서 스캠 사기범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역번호 ‘213’

  34. 美신용카드·자동차대출 연체 10년만에 최고…하반기 악화 전망

  35. ‘맨션세’ 세수로 렌트 보조, 세입자 보호.. LA시의회 지출안 승인

  36. 지하 수자원 고갈에 농업 타격, 식수 부족 전망..CA 20년만에 최저치

  37. 수상한 남성 배회, 6개 학교와 1개 교육 센터 Lockdown

  38. [리포트] 교육청들, "투명백팩 메야 등교 가능".. 잇따른 총기사건에 규제 도입

  39. LA한인회 마우이 피해 돕기 성금 19,320달러 1차 전달

  40. 트럼프 지지율 일주일새 56%서 50%로 하락

  41. "트럼프 돌아올 수도".. 세계각국 발등에 불 떨어졌다

  42. FIFA, ‘기습 키스’ 논란 스페인 축구회장에 90일 직무 정지 징계

  43. [리포트]질로우, '1% 다운페이 프로그램' 시범운영

  44. 여론조사서 50% "트럼프, 유죄시 수감해야".. 공화 11%만 찬성

  45. “이것은 폭탄입니다”..아메리카나 몰에 가짜 폭탄 설치한 20대 남성 체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