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2 추천 수 0 댓글 0

교사들 대규모 추모집회...'징계' 경고에도 수만 집결 "교권 회복" 외침

[앵커]서이초 교사의 49재에 맞춰 선생님들이 학교 밖으로 나왔습니다교사들이 집단 휴가를 사용하는 '공교육 멈춤'과 더불어, 서울 여의도와 각 지역 교육청 앞에서 교사 집회가 열렸는데요,교육부는 징계 원칙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지만 '엄중한 조치'의 분위기가 조금 바뀌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리포트]서울 여의도 대로가 주말에 이어 다시 검은 옷을 입은 교사들로 가득 찼습니다.평일 집회인데도 한쪽 차선이 모두 막혔고, 줄은 여의도 공원까지 이어졌습니다.

집회가 시작된 건 오후 4시 반.사실상 연가나 병가, 조퇴를 쓰지 않으면 올 수 없는 시간에 열린 집회인데도 2만여 명이 모여 교권 회복을 외쳤습니다.

지난 나흘 새 교사가 3명이나 숨졌습니다참석자들은 진상규명을 요구했습니다

서울뿐 아니라 각 시도 교육청 앞에서도 추모제가 진행됐는데교육부의 강력한 징계 경고에도 수많은 교사가 수업 대신, 교권 회복을 위해 공교육을 멈추고 목소리를 내는 걸 선택한 겁니다.

이런 가운데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예정에 없던 서이초 교사 49재 추모식에 참여해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를 더 귀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추모객 일부는 이 부총리 추도사 시작과 동시에 등을 돌리며 교육부의 징계 경고와 교권 보호 대책 등에 불만을 표시했습니다.교육부 역시 징계 원칙은 변하지 않았다며 연가 병가 조퇴 사용 교원들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징계 절차가 개시될 경우 상당한 후폭풍이 예상되는 만큼 고민이 깊을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부는 앞서 징계 수위에 대해 파면 해임 등 상당히 강한 어조를 냈던 것과 달리 이번엔 실제 수업권이 침해됐는지 함께 봐야 한다며 징계 수위에 대한 언급을 꺼렸습니다. 

 

 

출처: 교사들 대규모 추모집회...'징계' 경고에도 수만 집결 "교권 회복" 외침


  1. LAPD, 대중교통 순찰 경찰관들에 '비살상 무기' 확대 제안

  2. 모바일 운전면허 파일럿 프로그램, CA 주민들도 참여 가능

  3. 14살 소년, 어제 롱비치에서 버스 타고가다 총격당해

  4. 끊임없는 LA 소매절도 .. 하이랜드 팍 담배 판매점 4인 절도

  5. 노동절 연휴 남가주 곳곳서 DUI 단속 .. 무관용!

  6. UCLA 주변 쓰레기로 몸살…새학기 이사로 도로변 투기

  7. 히죽대며 비아냥…타운 유튜버 주의…히스패닉계 남성, 무단 촬영

  8. "중국 경제 둔화, 한국·일본 등 아시아 전역에 파장"

  9. 김하성, 한국인 빅리거 최초 30도루 돌파 .. 샌디에고 3연승

  10. "미 재정적자 1년만에 2배로 늘 전망…부채이자 및 세입 영향"

  11. 멕시코 통해 미국 가던 '중국산 좀비마약', 이젠 중남미로 확산?

  12. 프레드 정 풀러튼 시장, 태미 김 어바인 부시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13. 충격젹인 규모로 불어난 '사슴'.. 동부서 숲파괴 위기 처해

  14. 미군기지에 관광객 위장 중국인들 무단침입.. "잠재적 스파이 위협"

  15. 고금리에도 끄떡없다.. 미국이 경제침체에 빠지지 않는 이유는?

  16. 자동차노조 파업 전운 고조.. "참가인원 2018년 이후 최다"

  17. 기업 세계1위 스마트폰·조선등 6개.. 일본과 공동 3위

  18. [리포트] 네바다 사막서 축제 즐기던 7만명 고립.. "느닷없는 폭우 쏟아져"

  19. 미국 노동절 연휴에 기록적인 인파 해외여행 나섰다

  20. 미국 9월부터 대다수 출근 시작, ‘주 5일, 9시에서 5시는 끝났다’

  21. 교사들 대규모 추모집회...'징계' 경고에도 수만 집결 "교권 회복" 외침

  22. 노동절 맞아 의료 노동자들 로스펠리스서 시위 행진

  23. 노동절 LA∙OC 개솔린 최고가 기록..3년째 경신

  24. LA 신발가게서 5천불 어치 강탈한 4인조 강도단 체포

  25. 바이든 재선의 최대 걸림돌은 나이…미국인 73% "너무 늙었다"

  26. 바이든 "난 미국 역사상 최다 일자리 창출 .. 트럼프는 일자리 순감"

  27. 타운 등에 446유닛 저소득층 주택…주정부, 1억5690만불 지원

  28. 러 국방장관 "북한과 연합훈련 개최 가능성 논의"

  29. LA 근로자 교통비 연 7000불

  30. 영화 '오펜하이머', 전 세계 흥행 수입 8억 달러 넘어서

  31. 미국 학자융자금 9월부터 이자 적용 시작, 10월 상환재개

  32. 미국 이민노동자 약이냐 독이냐 ‘논쟁에 종지부-미국 지탱에 필수’

  33. 미국의 대북 소통 창구 리처드슨 전 유엔대사 별세

  34. [리포트]기후 변화로 CA주 산불 발생 위험 25%높아져!

  35. "눈 떠보니 나체 노숙자가 내 옆에"

  36. 다저스 좌완 유리아스 ‘가정 폭력’ 혐의로 체포!

  37. “한국으로 MLB 개막전 보러 가요”

  38. 불법 이민자 태운 텍사스발 12번째 버스 LA유니온 스테이션 역 도착

  39. 김정은, 이르면 내주 러시아 방문.. 푸틴과 무기 거래 논의

  40. [펌] 최근 발표한 대학 및 고등학교 순위

  41. 머스크 "미국서 엑스 매출 60% 감소 .. 비영리단체 ADL 압력 탓"

  42. 바이든 아시아 방문 앞두고 부인 질 여사 코로나 확진

  43. 대탈출로 끝난 네바다서 열린 버닝맨축제.. '특권층 놀이터'란 지적도

  44. 죄수들 '입실 거부' 단체 행동.. "폭염에 감방 못돌아가"

  45. 오클랜드 동물원 호랑이, 새끼 낳은 뒤 죽여.. "본능적 행동"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