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0 추천 수 0 댓글 0

차보험료 10년 새 70%↑..무보험 운전자 증가

Photo Credit: Unsplash

자동차 보험료가 크게 오르면서 불법임에도 아예 보험 가입을 포기하는 주민들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노동통계국(BLS)은 올해(2023년) 7월 차보험료가 지난해(2022년) 7월보다 평균 16%, 2013년보다 70% 더 비싼 것으로 집계됐다.
 

보험업계에서는 자동차 수리비, 정비소 노동자 임금, 중고차 가격 모두 크게 올라 보험료를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 연방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7월 자동차 유지비는 1년 전 같은 달 보다 13%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자연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 보험료가 눈에 띄게 인상됐다며 보험사들이 홍수 등 자연재난으로 입은 손실을 만회하려고 차보험료를 올렸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폭설, 토네이도, 우박을 동반한 폭풍 등의 피해를 입은 콜로라도주에서는 차보험료가 전년 대비 52% 올랐다.

플로리다주에서도 보험사들이 허리케인 피해와 관련해 지급한 보험금을 메우려고 하면서 차보험료를 88%나 인상했다.

최근 여러 보험사의 실적이 좋지 않았던 것도 원인이다.

대형 보험사 스테이트팜은 지난해 자동차보험 사업에서 134억달러 손실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자동차보험 손실 6억7천800만달러를 낸 올스테이트 보험사는 지난 5월 15개 지역의 보험료를 9.3% 인상했다. 

보험료 인상은 출퇴근 등 생계를 위해 자동차가 필요한 이들과 저소득층에 특히 부담이 되고 있다.

보험료를 책정할 때 가입자의 소득과 교육 수준 등 사회경제적 요인을 고려하다 보니 육체노동자 등 저소득층의 보험료를 더 올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일부 운전자는 법적 요건은 충족하지만 사실상 별 보험 혜택이 없는 보험에 가입하거나 아예 보험 없이 운전대를 잡기도 한다.


올해 뉴욕의 한 보험사가 18∼34살 2천7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17%는 지난 한 해에 보험 없이 운전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각 주 금융당국이 보험료 인상을 감독하긴 하지만, 보험사들은 보험료를 책정할 때 어느 정도의 이익률을 반영하는 게 허용돼 당국의 감독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일부 주에서는 보험료 인상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조지아주는 올스테이트 보험사가 작년에 보험료를 40%나 인상하자 올해 5월 금융당국에 더 많은 감독 권한을 주는 법을 제정했다.

하지만 보험사가 아예 지역에서 사업을 접고 철수하는 경우도 있어 당국이 무작정 인상을 억제할 수도 없는 형국이다.

남동부 지역에서는 일부 보험사가 철수하는 바람에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보험사가 많지 않다. 

실제로 파머스 보험사는 최근 CA, 루이지애나, 플로리다 주에서 신규 가입자를 받지 않기로 했다.

 

 

 

출처: 차보험료 10년 새 70%↑..무보험 운전자 증가


  1. "머스크, 우크라전 개입 문제 심각"..상원 군사위 조사 착수

  2. 미국 사상 첫 3가지 백신 동시접종 시대 돌입 ‘새 코로나, 독감, RSV 백신’

  3. 실업수당 청구 5주만에 증가세 전환…3천건 늘어난 22만건

  4. 틱톡샵 정식 서비스 개시

  5. 주한美대사 "북러간 위성기술 등 군사협력 합의 가능성 더 우려"

  6. 남가주 오늘부터 기온↓..평년보다 낮은 기온 예보

  7. 북아프리카 리비아서 '대홍수' 사망자 6천명…만명 넘을 수도

  8. LA다운타운 3층짜리 건물서 대형 화재 발생

  9. 애플, 아이폰15 시리즈 공개

  10. 뉴욕 연은 조사 "8월 기대인플레 안정.. 신용 우려 고조"

  11. 머스크 "빌 게이츠는 위선자.. 기후변화 맞선다며 테슬라 공매"

  12. 주행거리 연동으로 차보험 아낀다

  13. 오늘 LA 곳곳서 22주기 9/11 테러 추모물결

  14. 북·러 "김정은, 푸틴 초대받아 수일내 러시아 방문"

  15. 백두산 천지에 '괴생물'.. 호수 한 가운데서 '유영' 물체 포착

  16. X(예전 Twitter), 콘텐츠 규제 관련해 CA 주 상대로 소송 제기

  17. 운전자 허리 휜다! .. LA, OC 개솔린 가격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

  18. OC, 헌팅턴 비치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 금지에 제동

  19. 트럼프 "파우치 해고하고 싶었지만 민간인 신분이라 못해"

  20. "약 백만년 전 인류 멸종위기 겪었다.. 1천280명"

  21. '성추행·명예훼손' 늪에 빠진 트럼프.. 별도 소송도 불리

  22. 美 싱크탱크 "러시아 밀착하는 北, 더욱 위험해질 것"

  23. "상업용 부동산, 은행부실 뇌관.. 위험노출액 겉보기보다 커"

  24. 전설적 쿼터백 조 몬태나, S.F. 시 상대로 소송 제기

  25. 모건스탠리 "미 성장, 기대보다 약해.. 증시, 너무 낙관적"

  26. 대선불복 '의회난입' 주동자 징역 22년 선고.. 법정 떠나며 V자

  27. 백악관, "북한이 러시아 무기 제공하면 대가 치르게 될 것"

  28. LA 에어비앤비 수익성 높아..연중무휴 불법 운영/주택소유주 82% '기존 낮은 모기지 금리에 이사 못가'

  29. 차보험료 10년 새 70%↑..무보험 운전자 증가

  30. 바이든 재선의 최대 걸림돌은 나이…미국인 73% "너무 늙었다"

  31. 프레드 정 풀러튼 시장, 태미 김 어바인 부시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32. 데이브 민 CA주 상원의원, DUI 혐의 인정 .. 3년 집행유예

  33. CA주서 스캠 사기범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역번호 ‘213’

  34. 美신용카드·자동차대출 연체 10년만에 최고…하반기 악화 전망

  35. ‘맨션세’ 세수로 렌트 보조, 세입자 보호.. LA시의회 지출안 승인

  36. 지하 수자원 고갈에 농업 타격, 식수 부족 전망..CA 20년만에 최저치

  37. 수상한 남성 배회, 6개 학교와 1개 교육 센터 Lockdown

  38. [리포트] 교육청들, "투명백팩 메야 등교 가능".. 잇따른 총기사건에 규제 도입

  39. LA한인회 마우이 피해 돕기 성금 19,320달러 1차 전달

  40. 트럼프 지지율 일주일새 56%서 50%로 하락

  41. "트럼프 돌아올 수도".. 세계각국 발등에 불 떨어졌다

  42. FIFA, ‘기습 키스’ 논란 스페인 축구회장에 90일 직무 정지 징계

  43. [리포트]질로우, '1% 다운페이 프로그램' 시범운영

  44. 여론조사서 50% "트럼프, 유죄시 수감해야".. 공화 11%만 찬성

  45. “이것은 폭탄입니다”..아메리카나 몰에 가짜 폭탄 설치한 20대 남성 체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