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올해 LA 퇴거통지서 4만건..대부분 고급 아파트서 발송/미국인 55% '열심히 일하면 잘살게 된다'

Photo Credit: Google Map

*올해 LA에서 4만건 이상의 퇴거 통지서가 발송됐습니다. 주로 3일 이내에 밀린 렌트를 지불하거나, 아니면 퇴거하라는 내용으로, 대부분 고급 아파트에서 발송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 ‘열심히 일하면 잘살 수 있을까’, 일에 대한 각 나라 국민들의 생각을 알아본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에서는 과반이 동의하는 반면 한국은 소수에 그쳤습니다.
 

박현경 기자!

1. 먼저 LA지역 퇴거에 관한 소식을 LA타임스가 오늘(7일) 아침 전해 눈길을 끕니다. 올해 들어 4만건 이상 퇴거 통지소가 발송됐다구요?

네, 그렇습니다.

LA시 감사국에 따르면 LA전역에서는 지난 1월말부터 4만건 이상 퇴거 통지서가 발송됐는데요.

대부분이 3일 이내 밀린 렌트비를 다 갚던지 아니면 나가라는 내용이었습니다.

LA시 전역의 건물들에서 이런 퇴거 통지서를 내보냈는데요.

밀린 렌트비는 가장 많게는 56만 천 7백 달러에 달했습니다.



2. 신문 분석 결과 퇴거 통지서가 발송된 것은, 대부분 고급 아파트였죠?

네, 그렇습니다.

세입자들에게 가장 많은 퇴거 통지서를 보낸 10곳의 건물들은 고급 아파트들이었습니다.

LA다운타운, 헐리우드 그리고 우드랜드 등에 위치한 고급 아파트들이었구요.

한 곳당 각각 150개 이상 퇴거 통지서를 발송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실 우리가 퇴거 당했다고 하거나 퇴거 위협을 받는다고 하면 어렵게 사는 지역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는 커뮤니티에서 어렵게 사는 가구들이 그 대상이 될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요.


보통 대중의 인식은 그러하지만, 이번 데이터는 대형 부동산 관리 회사들에서 절차를 자동화하고 더 높은 비율로 퇴거 절차를 시작하는 경향을 보여준다는 지적입니다.

비영리 옹호단체, Strategic Actions for a Justice Economy 의 카일 넬슨 수석 정책, 리서치 분석가가 이처럼 전했습니다.



3. 발송된 퇴거 통지서들에 대한 내용을 좀더 자세히 알아보죠. 총 몇채 건물들에서 퇴거 통지서가 발송된 겁니까?

네, 약 8천 4백채 건물들에서 세입자들에게 4만건 이상 퇴거 통지서가 발송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약 94%는 앞서 전해드렸듯 3일 이내, 여기에는 주말이나 법적 공휴일은 포함되지 않는데요, 그 안에 밀린 렌트비를 내거나 문제를 해결해라, 그렇지 않으면 나가야 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리고 전체 96%, 대다수가 렌트비 체납으로 인해 퇴거 통지서가 보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사실 4만건이 전부가 아니고,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왜냐하면, 지난 7월 말까지 건물 소유주들이 발행한 퇴거 통지서를 모두 다 포함한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시 주택국은 아직 데이터베이스에 넣지 못한, 적체된 건수가 5천 건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이는 10월, 다음달까지는 모두 다 포함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4. LA에서 퇴거 통지서가 가장 많이 발송된 곳이 고급 아파트들이라고 했는데, 우리가 알 만한 유명한 곳들도 상당수죠?

네, Promenade Towers, Bunker Hills 등 LA다운타운에 위치한 이런 아파트들이 포함됐습니다.

가장 많은 퇴거 통지서가 발송된 10곳에서만 모두 2천건 이상 통지서가 나왔는데요.

LA시에서 가장 많은 퇴거 통지서가 발송된 곳은 Promenade Towers입니다.

123 사우스 피게로아 스트릿에 위치한 이 아파트에서는 371건의 퇴거 통지서가 발송됐습니다.

Promenade Tower는 어제 기준 가장 저렴한 1베드룸 렌트비가 2천 487달러로 나오는데 이는 LA 전체 중간 렌트비보다 50%높은 가격입니다.

그 다음은 헐리우드 지역 1600 바인 스트릿에 위치한 ‘The Vine’ 아파트, 313건 퇴거 통지서가 발송됐고요.

이어 우드랜드 힐스 지역 Reveal Apartments와 motif가 각각 233건, 183건 있었습니다.

이 밖에 LA한인타운 서쪽, 5200 윌셔 블러바드, 윌셔와 라브레아 길에 위치한 Wilshire La Brea Apartments도 7번째 많은 퇴거 통지서가 나온 곳으로 확인됐습니다.



5. 한인들도 많이 거주하는 팍라브레아 아파트는 포함이 안됐습니까?

네, 상위 10위 안에는 들지 않았습니다만, 사실은 퇴거 통지가 가장 많이 접수된 아파트이긴 했습니다.

팍라브레아 아파트 단지는 총 4천 245 유닛으로 구성돼 있어 미시시피 서쪽으로는 최대 아파트 단지로 꼽히는데요.


그런데 이번에 LA타임스는 개별 주소로 퇴거 통지서를 집계해 분석했는데, 팍 라브레아는 아시다시피, 여러 주소들이 존재하니깐요.

개별 주소로 보면 10위 안에 들진 않았습니다만 아파트 단지로 보면 전체로는 수백건에 달해 퇴거 통지가 가장 많이 접수된 핫스팟으로 나타났습니다.



6. 얼마나 밀린 렌트비로 어느 정도 퇴거 통지서가 발송됐는지 분석도 나왔죠?

네, 퇴거 통지 사유로, 렌트비가 밀렸다고 하고, 제로 달러라고 적혀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게 무슨 의미인지, 자세한 내용은 나오지 않았습니다만 이는 약 천 3백건으로 집계됐습니다.

그리고 5백 달러 미만이 4백건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상당히 큰 금액을 밀려 퇴거 통지서가 발급된 경우도 꽤 됩니다.

부동산 17곳에서는 체납한 렌트비가 10만 달러 이상으로 나왔습니다.

이런 가운데 법원에 접수된 바에 따르면 퇴거 소송은 커뮤니티 전체에서 빠르게 급증하고 있습니다.



7. 다음 소식입니다. 일에 대한 각국 국민들의 생각을 알아본 설문조사 결과가 흥미롭습니다. 열심히 일하면 잘살까 알아본 것이죠?

네, 이번 조사는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의 정책연구소가 진행한 겁니다.
 

세계 주요국 설문조사를 거쳐 오늘(7일) '일에 대한 세계의 생각'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는데요.

우선, '열심히 일하면 결국 대체로 더 잘살게 된다'는 명제에 동의하는지 18개 나라 국민들에게 물어본 겁니다.

그 결과, 이에 가장 많이 동의하는 나라는 이집트였습니다.

이집트에서는 전체 61%가 열심히 일하면 더 잘살게 된다는데 동의했습니다.



8. 미국은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네, 미국은 전체 55%가 그에 동의했습니다.

미국은 18개 나라 가운데 세번째로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요.

이집트에 이어 두 번재는 58%로 나온 중국이었습니다.

그 다음이 미국이었구요.

이어 필리핀과 이란이 각각 54%, 인도네시아가 53%로 높게 나왔습니다.



9. 이번 조사에서 사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한국의 결과였죠?

네, 한국인 응답자의 비율은 16%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이 항목에서 설문조사 결과가 공개된 18개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였습니다. 하위권에는 캐나다(35%), 일본(29%), 독일(28%), 그리스(27%)가 있었는데요.

이 비율이 한국보다는 최소 10%포인트 이상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한국에서는 노력만으론 성공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두드러진다는 분석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운이 뒷받침돼야 성공할 수 있다는 인식은  한국인들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났습니다.

한국은 '일과 행운이 성공에 똑같이 중요하다'는 생각에 동의하는  이들이 70%로 18개 대상국 가운데 최고였습니다.

이어서는 일본(53%), 그리스(51%), 독일(50%) 등이 그 뒤를 따랐는데요. 

그런데 이들 나라의 비율도 한국에 비해서는 20%포인트 가까이 낮았습니다.

단, 한국인 대다수는 일 자체보다  운이 성공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 '열심히 일한다고 성공이 뒤따르는 것은 대체로 아니고 성공은 운과 인맥의 문제인 경우가 더 많다'는 생각에 14%만 동의했습니다. 

 

 

출처: 올해 LA 퇴거통지서 4만건..대부분 고급 아파트서 발송/미국인 55% '열심히 일하면 잘살게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한인 뉴스 올해 LA 퇴거통지서 4만건..대부분 고급 아파트서 발송/미국인 55% '열심히 일하면 잘살게 된다' report33 2023.09.08 196
2494 한인 뉴스 전국 낙태권 폐기 판결 후 합법적 낙태시술 오히려 더 늘어 report33 2023.09.08 186
2493 한인 뉴스 운전자 허리 휜다! .. LA, OC 개솔린 가격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 report33 2023.09.08 107
2492 한인 뉴스 CA주서 환각 유발 ‘마법 버섯’ 소유, 사용 합법화되나? report33 2023.09.08 171
2491 한인 뉴스 유권자 46% "공화 누가 나와도 바이든보다 낫다"…민주 비상 report33 2023.09.08 180
2490 한인 뉴스 남가주 고등학교 교사, 16살 소녀와 성관계 혐의 체포 report33 2023.09.08 176
2489 한인 뉴스 美 복권 사상 최고 당첨금 20억달러 주인공, LA 대저택 매입 report33 2023.09.08 241
2488 한인 뉴스 OC, 헌팅턴 비치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 금지에 제동 report33 2023.09.08 194
2487 한인 뉴스 파워볼 복권, 또 1등 없어.. 당첨금, 5억달러로 오른다 report33 2023.09.08 181
2486 한인 뉴스 CA에 유럽과 아시아산 민물 홍합 확산 주의보 report33 2023.09.08 148
2485 한인 뉴스 [속보] 러 "북한과 관계 중요…다른 나라와 관계없이 발전시킬 것" report33 2023.09.08 203
2484 한인 뉴스 열심히 일하면 잘살까?.. 한국인, 16%만 '그렇다' 세계 꼴찌 report33 2023.09.08 167
2483 한인 뉴스 100달러 향하는 유가.. 출렁이는 물가 속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report33 2023.09.08 205
2482 한인 뉴스 [리포트]LA카운티 검찰, 한인 업주 2명 임금 착취 혐의로 기소 report33 2023.09.08 183
2481 한인 뉴스 트럼프 "파우치 해고하고 싶었지만 민간인 신분이라 못해" report33 2023.09.08 194
2480 한인 뉴스 성취향까지 알아낸다.. 자동차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막대해 report33 2023.09.08 100
2479 한인 뉴스 "틱톡 바람 탄 김밥 품절되니 이젠 한인마트로 시선 집중" report33 2023.09.08 126
2478 한인 뉴스 북 '우리민족끼리' 11건 연속 김정은 현지지도 기사 게재 report33 2023.09.08 135
2477 한인 뉴스 "약 백만년 전 인류 멸종위기 겪었다.. 1천280명" report33 2023.09.07 219
2476 한인 뉴스 분노운전자 난폭운전 많은 곳 ‘애리조나, 버지니아, 텍사스, 뉴욕, 캘리포니아 등’ report33 2023.09.07 136
2475 한인 뉴스 롱비치, 음료속 불법 약물 여부 검사 키트 배포 프로그램 실시 report33 2023.09.07 116
2474 한인 뉴스 '성추행·명예훼손' 늪에 빠진 트럼프.. 별도 소송도 불리 report33 2023.09.07 156
2473 한인 뉴스 소행성 5개, 닷새 사이 지구 근접 .. '위협은 없어' report33 2023.09.07 180
2472 한인 뉴스 대학생 자녀용, 한국·일본차가 석권 report33 2023.09.07 118
2471 한인 뉴스 美 싱크탱크 "러시아 밀착하는 北, 더욱 위험해질 것" report33 2023.09.07 198
2470 한인 뉴스 사우디, 러시아 감산에 디젤유 직격탄 .. 5월 이후 가격 40%↑ report33 2023.09.07 103
2469 한인 뉴스 헌팅턴비치 마스크 착용•코로나19 백신접종 의무화 금지 report33 2023.09.07 177
2468 한인 뉴스 "상업용 부동산, 은행부실 뇌관.. 위험노출액 겉보기보다 커" report33 2023.09.07 152
2467 한인 뉴스 전설적 쿼터백 조 몬태나, S.F. 시 상대로 소송 제기 report33 2023.09.07 223
2466 한인 뉴스 전국 개솔린 가격 하락 속 남가주는 하루새 2센트 이상 급등 report33 2023.09.07 155
2465 한인 뉴스 WMO "올해 8월, 역대 두 번째로 더운 달…해수면 온도는 최고치" report33 2023.09.07 124
2464 한인 뉴스 7월 무역적자 650억달러, 전월대비 2%↑..3개월 만에 확대 report33 2023.09.07 144
2463 한인 뉴스 LA총영사관, 미국 체류신분 관련 웨비나 개최 report33 2023.09.07 113
2462 한인 뉴스 '매운 과자 먹기 챌린지' 나섰던 14살 소년 숨져 report33 2023.09.07 156
2461 한인 뉴스 모건스탠리 "미 성장, 기대보다 약해.. 증시, 너무 낙관적" report33 2023.09.07 200
2460 한인 뉴스 미 은행, 경기 둔화 우려 속 "현금 3조2천600억달러​ 쌓아둬" report33 2023.09.07 129
2459 한인 뉴스 대선불복 '의회난입' 주동자 징역 22년 선고.. 법정 떠나며 V자 report33 2023.09.07 134
2458 한인 뉴스 코로나 19 재확산, 요양원-학교-직장 등에서 주로 발생 report33 2023.09.07 201
2457 한인 뉴스 북중러 정상회담 가능성 나와.. ‘한미일 협력 강화 대응책’ report33 2023.09.07 167
2456 한인 뉴스 [리포트]CA주 약국서 오처방 매년 5백만 건.. “진통제인 줄 알았더니” report33 2023.09.07 209
2455 한인 뉴스 '매파' 연준 인사, '신중한 금리정책' 파월 발언에 동조 report33 2023.09.07 214
2454 한인 뉴스 미 당국, 이달 중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에 반독점 소송 전망 report33 2023.09.07 212
2453 한인 뉴스 CA주서 스캠 사기범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역번호 ‘213’ report33 2023.09.07 196
2452 한인 뉴스 미국 폭염 기승에 학교들 일시 문 닫거나 조기 하교 잇달아 report33 2023.09.06 129
2451 한인 뉴스 핫한 ‘비건 계란’ 시장.. 연 평균 기대 성장률 8% 넘어 report33 2023.09.06 1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