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0 추천 수 0 댓글 0

'긴축정책 고수' 분명히 한 연준.. 매파 행보 이어지나?

Photo Credit: 연방준비제도

연방준비제도가 이번 달(9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사실은 이미 예고된 것과 마찬가지였다.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이번 달 금리 동결 전망이 99%에 달할 정도였다.
 

이 때문에 오늘(20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 대한 시장의 최대관심사는 향후 연준의 통화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읽을 수 있는 힌트가 주어지느냐 여부였다.

특히 시장은 연준이 분기마다 내놓는 점도표와 경제 전망 요약(SEP)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주목했다.

그러나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금리예상치 중간값은 5.6%로 지난 6월과 동일했다.

현재 기준 금리가 5.25~5.50%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올해(2023년) 말까지 한 차례 더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기준금리가 결정되는 FOMC 정례회의는 올해 두 차례 더 열릴 예정이다.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올해 금리 인상에 무게를 실었다.

파월 의장은 "앞으로 경제 상황을 검토해야 한다"는 전제 아래 "다수의 FOMC 위원이 금리를 인상하지 않는 것보다 한 차례 더 인상하는 편이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FOMC 위원 19명 가운데 12명은 올해 한 번 더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했고, 나머지 7명의 위원은 금리 동결을 주장했다. ​

시장 일각에선 연준이 이번 달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것을 시작으로 금리 인상 국면이 사실상 끝났다고 보는 견해도 적지 않았지만, 연준은 아직 인플레이션에 대한 승리를 선언할 때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 셈이다.

오히려 연준 위원들은 내년(2024년) 기준금리 예상치를 5.1%로 제시했다. 

지난 6월에 제시한 4.6%보다 0.5%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더라도 속도가 빠르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빨라도 내년 하반기로 미뤄지고, 회수도 2차례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확산하고 있다.

연준이 한동안 긴축정책이 계속될 것이라는 입장을 보인 것은 고금리 상황에서도 미국 경제의 열기가 식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은 가계와 기업이 고금리에 버틸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저축을 보유하고 있거나,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자연 금리' 자체가 상승했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한편 파월 의장은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경제에도 변수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전미자동차노조(UAW)의 동시 파업 장기화 가능성과 연방의회의 내년도 예산안 처리 지연으로 인한 정부 '셧다운' 가능성, 유가 상승과 학자금 대출 상환 재개로 인한 소비 위축 등이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출처: '긴축정책 고수' 분명히 한 연준.. 매파 행보 이어지나?


  1. 한미박물관 또 아파트 붙여 추진

  2. LA한인타운 인근 고등학교에서 10대 2명 흉기에 찔려..인근 도로 통제

  3. "오늘부터 LA카운티 직할구역 외 레스토랑은 일회용 포장용기 사용 금지"

  4. CA, 이번 5월 ‘스몰 비즈니스의 달’선포 “캘리포니아 드림 위해”

  5. 6월 부터 '만 나이', 한 살씩 어려진다…국민 80% 우려한 일

  6. 러, 임박한 우크라 대반격에 '우왕좌왕'…중요 참모 전격 경질도

  7. 머스크 5월부터 "트위터 기사 건당 유료화"

  8. [특파원 시선] '캘리포니아 드림' 어디 가고…시련의 美 서부

  9. 갤S23로 4.2조 벌었지만, 반도체선 4.6조 적자…14년 만의 ‘삼성 쇼크’

  10. 앞치마 두른 '책방지기' 文, 개점 소감…"꾸준하게 오셨으면"

  11. 미 국방부 부장관 "中 충돌 대비해 우크라전서 값진 교훈 얻어"

  12. CA주 최초의 여성 주지사 탄생할까

  13. 개빈 뉴섬 CA주지사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위해 6억 9천만 예산 투입할 것”

  14. 투자자들이 달러화 약세 지속 예상하는 '4가지 이유'는?

  15. <속보>연방 대법원, 7대2로 낙태약 판매 허용

  16. 남가주 개솔린 가격 5달러 눈앞 하락세..피닉스보다 저렴

  17. [속보] 스타 라디오 진행자 래리 엘더, 2024년 대선 출마 공식선언

  18. 부모 77% "자녀 학교서 총격 사건 걱정"

  19. 美고금리 장기화에 - 원·달러 환율, 하루 만에 연고점 또 경신...장중 1,356원

  20. 원유재고 감소에 국제유가 3%대 급등.. 13개월 만에 최대

  21. 머스크 때문에.. 러·중·이란 선전전 X에서 탄력받는다

  22. 한인마켓 일제히 추석맞이 대세일…상차림 식품 위주 가격 인하

  23. CA, 총기 업계에 추가 세금 부과 최종 승인

  24. 재외국민 한국 셀폰 없어도 여권 이용해 본인인증 가능

  25. 성공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는 주는?

  26. 현대인들의 '불안' 다스리기..LA한인회 오늘 워크샵 개최

  27. [속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서울중앙지법으로 출발

  28. 흑인남성, 안면인식기술 오류로 도둑으로 몰려 6일간 옥살이

  29. "전기자동차 인기에 각 건물들도 충전기 설치"/Z세대 81% 식사 중 스마트폰 사용

  30. 미 의회조사국 '셧다운시 매주 0.15%p 성장률↓ .. 실업률도 영향'

  31. 미국민 대다수 앞으로 6개월 연말연시 대목에도 씀씀이 줄인다

  32. 미국 경제 위협하는 4대 악재.. "셧다운·파업·학자금·고유가"

  33. 소행성 '베누' 흙과 자갈 등 샘플 담은 NASA 탐사선 캡슐 지구 귀환

  34. 넷플릭스에 시청자 빼앗긴 미 공중파들 "믿을 건 60대 이상"

  35. 연방 정부 셧다운 10일 남았는데 .. 공화, 한달짜리 임시예산안 추진

  36. 상원 공화당, 역사상 두번째 흑인 합장의장 인준.. "어깃장 끝에 통과"

  37. '긴축정책 고수' 분명히 한 연준.. 매파 행보 이어지나?

  38. 미 불법이민 증가 .. 멕시코 화물열차 지붕에 불법탑승해 국경행

  39. LA 셰리프 경찰관 살해 용의자 가족, “범인 아니라고 생각”

  40. 버티던 오타니 결국 팔꿈치 수술로 '시즌 OUT'

  41. 시니어 여성 22명 살해한 연쇄살인마, 교도소서 살해돼

  42. 머스크 "X에 월 사용료 부과할 계획"

  43. UCLA∙UC버클리 “미국 최고의 공립 대학 공동 1위”

  44. 남가주 개솔린 가격 급등세 지속..평균 6달러 눈앞

  45. 이재명, 단식 19일차 병원 이송 - 검찰 구속영장 청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