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264 추천 수 0 댓글 0

미국 영주권 기각사유 ‘자격미달, 허위서류, 불체기록’

2022년도 이민법상 자격미달, 불일치 기각포착, 실제기각 가장 많아
허위서류제출 2위, 불체기록 3위, 예년보다 노동허가서, 공적부조 급감

Photo Credit: USCIS

미국 영주권을 많이 기각당하는 3대 사유들로 이민신청자격 미달, 허위서류제출, 불법체류기록 등으로 나타났다

예전과 크게 달라진 것은 노동허가서 문제와 이민신청자의 재정능력 부족을 예단한 퍼블릭 차지가 대폭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영주권을 신청했다가 매년 평균 88%는 승인받고 있으나 12%는 기각당하고 있다

가족이민 신청자들은 가족이민페티션(I-130)에서 8.5%, 영주권 신청서(I-485)에서 11%정도 기각되고 있는 반면 취업이민 신청자들은 취업이민페티션(I-140)에서 10.5%, 영주권신청서(I-485)에서 5% 기각돼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22회계연도에 미국 영주권을 기각당한 사유들 가운데 3대 범주들은 이민신청 자격미달, 허위서류 제출, 1년이상 불법체류 등으로 나타났다

미 국무부가 19일 발표한 2022년 이민비자 기각통계에 따르면 가장 많이 적발되고 실제 기각당한 사유는 이민신청 자격이 미달됐거나 불일치된 경우로 지난한해 21만 7800건이나 포착돼 20만 3400여건은 해명하는데 성공해 기각을 면했으나 1만 4400여건은 실제로 기각됐다.

그래도 이민법 불일치 기각 사유는 예년보다 해명건수가 대폭 늘어나 실제기각이 상당히 감소한 것이다

두번째 많이 기각당한 사유는 허유서류 제출로 지난해 4900여건이 포착돼 1210건만 해명에 성공했고 더 많은 3700여건은 실제 기각됐다

세번째 많은 기각사유는 과거 미국서 1년이상 불법체류했던 기록이 드러났기 때문으로 4800여건이 포착돼 2800여건은 해명에 성공했지만 2000건은 실제 기각당했다

한편 장기 불법체류하며 영주권을 신청했다가 365일이상 불법체류한 기록이 포착된 신청자들은 2만 6600 명이었으나 사전에 웨이버 신청을 했기 때문에 전원 해명에 성공해 영주권을 받았다

예년과 달라진 추세로는 영주권 기각사유중에 3위를 차지했던 취업이민에서 가장 먼저 승인받아야 하는 노동허가서(Labor Certification) 문제 때문으로 7000건이상에서 지난해에는 945건 포착으로 획 기적으로 급감했다

또한 트럼프 시절 급등했던 생활보호대상자 추정(public charge)인데 이민 신청자가 재정능력부족으로 미국이민시 공공복지혜택에 의존할 것으로 우려될때 적용되는 사유로 매년 3000건이상 포착되다가 지난해에는 680건 포착으로 대폭 줄었다

3대 사유들 이외에 많이 포착된 영주권 기각 사유를 보면 이민법 위반후 불법체류한 경우가 3000여 건이고 밀입국 알선 2500여건, 성범죄와 같은 도덕범죄자 1400여건, 마약 1150여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처: 미국 영주권 기각사유 ‘자격미달, 허위서류, 불체기록’


  1. LA카운티 정신건강국, 한인 정신 건강 위해 고군분투

  2. [영상] 미 "월북병사 생존 여부도 말 못해…북, 계속 무응답"

  3. '전선 도둑' 탓에 프리웨이 가로등 40% 고장

  4. 아마존, '손바닥 결제 시스템' 홀푸드 전 매장 확대

  5. 테슬라, 안전벨트·카메라 결함으로 1만7천대 리콜

  6. 의회 청문회에 '부모 시청지도' 요청?...'바이든 차남 전라 사진' 공개

  7. 데스 밸리서 LA출신 70대 남성 쓰러져 사망..땡볕더위에 하이킹

  8. Ventura County에서 LA County까지 추격전, 경찰 2명 부상

  9. 실업수당 청구건수 23만건…2주 연속 예상 밖 감소

  10. CA주서 10억 8천만 달러 파워볼 당첨자 나왔다.. '역대 3번째'

  11. UPS 파업 예고 시위

  12. 테슬라 2분기 이익률 하락.. 머스크 "미래 가치 위해 마진 희생"

  13. "8시 이전 아침 식사, 당뇨병 예방에 도움"

  14. 인스타그램도 생체정보 무단수집 혐의로 6850만 달러 배상 합의

  15. LG전자 미국법인 잇단 집단소송 피소

  16. 폭염으로 기온이 오르면서 주식 승자와 패자는?

  17. 북한, 미 연락에 무응답…바이든, 월북군인 질문에 '묵묵부답'

  18. 교육 수준 가장 낮은 10위 도시 중 CA주 5개 도시 속해

  19. 미국 영주권 기각사유 ‘자격미달, 허위서류, 불체기록’

  20. 111도 기내 갇힌 승객들…에어컨 미작동에 병원행 속출

  21. 산모, 헐리웃서 신생아 아무에게나 주고 떠나.. “돌볼 수 없어”

  22. “너희 나라로 꺼져”…여행 온 아시안 가족에 수차례 인종차별 발언한 남성 논란

  23. 넷플릭스, 광고 없는 최저 요금제 없애

  24. '북한판 패리스 힐튼' 박연미, 거짓 발언 의심

  25. 이소룡은 왜 죽었나.. "대마초·수분과다·열사병 등 추측"

  26. 신규주택 시장 '주춤'.. 6월 착공 8%↓·허가 4%↓

  27. "미군 1982년 이후 첫 MDL 넘어 도주.. 군사정보 제공 우려"

  28. 美, 은행 규제 강화/대형은행들, 20% 이상 자본 확충해야/유럽, 갈수록 가난해지고 있다

  29. 산타모니카 시의원 3가 프라머네이드 거리서 노숙자에게 공격당해

  30. 배우∙작가 시위 벌이자 나무 베어 그늘 없앴나..LA시 조사 착수

  31. LA 카운티 소도시 Bell에서 어제 2차례 지진 발생

  32. NWS(국립기상청), 남가주 Valley 지역에 폭염 경보 발령

  33. '인기절정' 테일러 스위프트, 미국 지역경제 바꿀정도

  34. 뉴욕시민도 끊임 없는 홍수 위험에 노출

  35. 은행 신용대출 거부 21.8%, 5년래 최고치

  36. 성인 5명 중 2명 부업한다…33%, "생활비 마련 목적"

  37. “LA경찰위원회, 불법 체류자 체포 거부한 LAPD에 문제 제기 않을 것”

  38. 프론티어 항공권 29달러 '파격 할인'

  39. 일리노이주 대법, '국내 최초 현금보석금제 폐지' 합헌 판결

  40. 감옥 안가려고, 베트남 파병 피하려고…가지각색 주한미군 월북 이유

  41. 미국심장협회 “전자담배 심장·뇌·폐에 악영향”

  42. "텍사스 국경서 밀입국자 강물로 밀어라 명령".. 군의관 폭로

  43. 트럼프 사법리스크 가중 ‘1월 6일 사태 수사 타겟 통보, 기소 예고’

  44. 인앤아웃, 앞으로 일부 매장서 직원 마스크 착용 금지 정책 시행

  45. [속보] 북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