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318 추천 수 0 댓글 0

'드라이브 스루'로 인한 교통체증 심각.. 일부 지역서 금지 움직임

Photo Credit: pexels

[앵커멘트]

최근 드라이브스루 매장이 교통사고 등 부작용을 일으키면서 일부 지역에서 금지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드라이브 스루로 인해 주문 대기 차량들이 도로까지 넘치면서 교통체증까지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차에 탄 채로 주문한 음식을 받아 갈 수 있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을국내 일부 지역에서 금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드라이브 스루가 교통 혼잡과 교통 사고 등 부작용을 일으킨 사례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의 도보나 대중교통 이용도 저해하고 주변 다른 업체 방문으로 이어지지도 않는다는 한계도 있습니다.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 다른 차량과의 사고로 이어지거나 공동체의 환경이나 거주 적합성 등과 상충한다는 비판까지 나옵니다.

국내 전역의 드라이브스루 점포는 총 20만개로 추정됩니다.

미국인들은 1년에 드라이브 스루 차로를 60억 차례 방문하고, 맥도날드와 같은 주요 체인점에서는국내 매출의 70% 이상을 드라이브 스루 점포에서 냅니다.

드라이브 스루는 1950년대 CA주에 처음 생겼는데 이후 수십년간 고속도로가 건설되며 교외 지역 규모가 커졌습니다. 

또 맥도날드와 웬디스와 같이 새로운 패스트푸드 체인이 등장하면서 점차 확산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식당들이 내부 좌석을 폐쇄하면서 급격하게 늘어났습니다.


외식업계 조사업체 테크노믹에 따르면 국내 드라이브스루 매출은 지난해 기준 1천330억달러로, 2019년보다 30%나 늘었습니다.

문제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이운전자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고속 간선도로에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겁니다.

이 경우 교차로나 인도에 보행자나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있으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을 시간이 짧아져 사고 가능성이 커집니다.

드라이브스루를 운영하는 체인 업체들은 진입 차로를 늘리고 인공지능(AI) 등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줄이겠다고 하지만, 차로를 늘리면 더 많은 차량이 와서 교통 혼잡만 심해질 뿐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이 같은 문제점이 대두하자 일부 지역은 드라이브스루 매장을 금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조지아주 애틀랜타시의 제이슨 도지어 시의원은 과거 철로가 보행자 전용 산책로로 개발된 '애틀랜타 벨트라인' 주변에 새 드라이브 스루 매장을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했습니다.

또 유타주 솔트레이크 시티의 슈가 하우스 마을에서는 드라이브 스루로 인한 주민 민원이 제기되자 ,도시계획위원회가 상업 지구에 신규 드라이브스루 매장을 금지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출처: '드라이브 스루'로 인한 교통체증 심각.. 일부 지역서 금지 움직임


  1. 캐시앱, 일부 유저서 '중복결제' 발생

  2. CA주, 패스트푸드 종사자 최저 임금 인상 법안 중단

  3. ‘동부 폭풍’에 LAX 항공기 수백 편 취소·지연

  4. 대한민국이 젊어진다…오늘부터 ‘만 나이’ 통일

  5. 리버사이드 지역 산불 발생

  6. '너무 다른' 쌍둥이 딸, DNA 검사 결과...아빠 두 명

  7. 코스트코, 멤버십 공유 단속 시작

  8. 대선 가상대결서 "트럼프, 바이든에 오차범위 밖 첫 리드"

  9. 연방대법원 ‘정치이익에 따른 선거구 재획정 주법원 제동걸 수 있다’

  10. 미국 IRS 세무감사 착수 ‘백만장자와 저소득층 주 타켓’

  11. 미국, 바그너사태 이후 첫 우크라 추가 지원.. "반격작전 지원"

  12. 재무부 예정대로 바그너그룹 관련 제재 발표.. "무장반란과는 무관"

  13. 메타, 자녀 SNS 사용 모니터링 강화

  14. 아마존, 월마트 제치고 美 최대 소매업체 전망/아시안 수출 부진, 美 인플레 완화에 호재

  15. 바이든 공약 '학자금대출 탕감' 대법원 판결 임박…폐기 가능성

  16. LA 카운티, LGBTQ+ 관련 등 금지 서적들 eBook으로 공급

  17. 파워볼, 오늘도 1등 ‘꽝’.. 당첨금 4억 6,000만달러 넘어

  18. 오늘(6월27일) LA 시 6지구 시의원 특별선거, 2명 결선투표

  19. 미국에서 20년 만에 말라리아 지역내 감염 발생

  20. 일본, 한국 '화이트리스트' 4년 만에 완전 복원-수출규제 해제

  21. [펌] 대학 간판도 중요하지만 뭐니 Money 해도 전공이야~

  22. CA, 코로나 유급병가 제공한 스몰 비즈니스에 최대 5만달러 지원!

  23. CA 정유회사 바가지 요금 철퇴법 발효 .. 개솔린 가격 하락할까?

  24. 올 독립기념일 연휴 여행길에 오르는 주민 역대 최다

  25. 주유세 대신 주행세?.. 운전 거리만큼 세금 내야하나

  26. 축구 국가대표 황의조 측 사생활 폭로글에 "사실 무근" 해명했지만...SNS에는 "영상 팝니다" 성행

  27. 노스 헐리웃서 피자 가게로 위장한 마약 실험실 경찰 발각돼

  28. 텍사스주 살인더위에 등산하던 30대 남성과 아들 숨져

  29. 한국의 미국방문비자 거부율 2년 연속 급등 ‘8%에서 18%안팎으로’

  30. 미국민 은퇴시기 2년이상 늦추고 은퇴저축 더 불입하고 있다

  31. 전국 곳곳 연이은 악천후.. 우박∙폭우∙강풍∙토네이도까지

  32. LA카운티서 연 7만 달러 못벌면 저소득층!

  33. LA 한인타운 한약국 반려묘 무사히 돌아와.. 용의자는 아직

  34. 세계 성인 17명중 1명꼴 마약…10년새 23% 급증

  35. LA한인타운서는 한눈팔 수 없다 "한약재 가게에서 반려묘 절도"

  36. 켄터키서 동갑 여자친구 총격 살해한 고등학생 체포

  37. 성소수자클럽 총기난사범 유죄 인정.. 종신형 선고 예상

  38. 아시아나항공, 여름맞이 특별 이벤트 실시

  39. 초고가 익스트림여행 수색비용 누구몫?…잠수정에 논란 재점화

  40. 고금리에도 수요↑·공급↓.. 다시 뜨거워진 주택시장

  41. 다이아몬드 바 요양원 한인 2명 살해돼, 80대-70대 할머니들

  42. 금속 재활용 공장들, LA 학교 운동장 오염 혐의로 기소돼

  43. 마크 리들리 토마스, 오늘 무죄 주장하며 새 재판 요구할 듯

  44. '드라이브 스루'로 인한 교통체증 심각.. 일부 지역서 금지 움직임

  45. 미국, 18년만에 다시 한국 최대 수출국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