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80 추천 수 0 댓글 0

2개국어 사용, 치매 발병 확률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나와

Photo Credit: Unsplash

[앵커멘트]

2개국어 사용이 치매 발병 확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일상적으로 이중언어를 구사한 연구 참여 자가 그렇지 않은 참여자에 비해 기억력을 비롯해 집중력, 결정능력 등이 높게 나온건데, 연구팀은 이중언어 사용이 치매 예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곽은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상 속 이중언어 사용이 치매 발병을 예방하거나 지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최근 독일 뇌신경질환 센터(German Center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소속 토마소 발라리니(Tommaso Ballarini)가 50대에서 70대 피실험자 746명을 모집해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일상적으로 이중언어를 구사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기억력과 집중력 등이 높았습니다.

연구 참여자들은 59세부터 76세 나이대로 구성됐는데 이 가운데 60%는 기억상실 등 뇌 질환을 경험해 병원 치료를 받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사물 기억하기, 단어 거꾸로 쓰기와 같은 다양한 기억력 검진 테스트에 참여했는데 이 가운데 2개국어로 의사소통을 꾸준히 한 참여자들은 그렇지 않은 참여자보다 인지 능력이 높았습니다.

13세부터 30세 혹은 30세부터 65세 사이에 모국어가 아닌 언어를 꾸준히 사용한 참여자가 외국어를 사용하지 않은 참여자에 비해 기억력과 언어 능력, 주의 집중력 부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입니다.

또한 2개 국어 구사자들은 결정 능력 부분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연구를 진행한 토마소 발라리니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노년기 인지 능력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중언어 사용은 인지 능력 향상 뿐만 아니라 치매 발병 확률도 낮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일부 뇌신경 전문가들은 해당 연구 참여자들이 제 2외국어를 일상 속이 아닌 드문 드문 사용했다면 연구 결과가 달랐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분 리드 티(Boon Lead Tee) UC 샌프란시스코 대학 신경학 겸임교수는 “치매 예방이나 인지능력 향상 효과는 이중언어 사용 때문이 아닌 참여자 개인의 기억 등 다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2개국어 사용, 치매 발병 확률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나와


  1. 온세미콘덕터 "한국, 20억 달러 투자 후보지 중 하나"

  2. 김해원 칼럼: 패션 모델들, 한인의류업체들에 줄소송

  3. [펌] US뉴스가 발표한 법과, 의과 대학원 순위

  4. 존 듀럼 특검이 밝혀낸 ‘트럼프-러시아 내통 스캔들’의 진실

  5. 트럼프 측근 줄리아니, 1천만 달러 피소.. "성적인 수발 요구"

  6. 주한미군 한인 뇌물수수 기소

  7. 한국에서도 차별, 돌아오는 2세들

  8. '2명=다자녀', 병원비 주고 공원 무료 입장...저출산에 안간힘 쓰는 지자체

  9. "그냥 쉰다" 4050보다 많다…2030서 벌어진 이례적 현상

  10. 휘발유보다 싸서 갈아탔는데…"충전비만 50만원" 전기차주 한숨

  11. 주먹 때리고 밟고…장애아 어린이집 CCTV 속 학대만 500회

  12. 북한, 일본 가상화폐 7억2천만 달러 탈취…세계 피해액의 30%

  13. 더그로브 일대 노숙자들, 전용 주거 시설로 이동

  14. "LA, 저소득층 렌트비 지원 '섹션 8 바우처 프로그램' 무용지물"

  15. 미국 6월부터 4~5번 금리동결, 올해 금리인하 없다

  16. 중남미 불체자, 마체테로 여자친구 참수

  17. 미국 가계부채, 2경원대로 사상 최대.. 17조달러 첫 돌파

  18. 바이든, “제발 뭐라도 좀 하라”....총기규제 목소리 높여

  19. 메모리얼 데이 연휴 여행객 급증.. "공항 2005년 이후 가장 붐빌 것"

  20. WHO "인공 감미료, 장기적으론 체중조절 효과 없어"

  21. 2개국어 사용, 치매 발병 확률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나와

  22. 군것질에 중독된 미국인.. "하루 과자 3봉지 이상"

  23. 바이든 재산공개 '109만 달러~257만 달러'사이.. 지난해와 거의 비슷

  24. "외로워서 나이 속이고 고등학교 입학" 한인여성 정신감정 받는다

  25. 미국 테크 허브 20곳 신설한다 ‘1차 5억달러 지원 신청 착수’

  26. IT재벌 흉기 피살사건, 치안 불안이 아닌 치정 문제였다

  27. 바닷속 원룸서 74일 버틴 교수…'세월호 잠수팀'으로 왔었다

  28. 베이비부머가 쌓은 '위대한 유산' 100조 달러.. 자녀세대 불평등 우려

  29. 북한, 국제 스포츠 무대 복귀.. 9월 아시안 게임 참가 결정

  30. 미 당국 규제 강화에…가상화폐 기업들 "떠나겠다" 엄포

  31. 에어백 6천700만개 리콜 촉구…현대 등 12개 업체 사용제품

  32. 문학까지 침투한 AI 번역…"거스를 수 없는 흐름, 공존 모색해야"

  33. “동박이 대박 된다”…SK·롯데 이어 고려아연도 투자 팔 걷어붙였다

  34. 최은영 美법무부 가상화폐 단속국장 "거래플랫폼 자금세탁 단속"

  35. 통편집 피한 김새론, 논란 1년 만 타의로 열린 복귀 길 [Oh!쎈 이슈]

  36. "신라면, 미국인 한끼 식사로 대박났다" 농심 어닝서프라이즈

  37. 윤대통령 "한일 기업들, 안정적 공급망 구축 위해 협력하길"

  38. "영웅", "착한 사마리아인"…뉴욕 지하철 헤드록 사건 일파만파

  39. 디폴트 우려 큰데 협상시간은 촉박…정부 "건설적 대화"

  40. 리버사이드 카운티 10번 프리웨이서 교통사고로 3명 숨지고 7명 부상

  41. CA주, 6자리 연봉 벌어도 재정적 어려움 겪어

  42. 바이든 "백인우월주의는 독"…트럼프 비판하며 흑인 표심 구애

  43. 한세기 동안 사랑받았던 AM라디오, 자동차에서 퇴출수순

  44. 새총 쏴 여동생 납치 막은 13살 소년.. "내 동생 내려놔!"

  45. "기후변화 방치하면..커피 마시기도 어려워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