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52 추천 수 0 댓글 0

104년 만에 도착했다...조선독립 호소한 '파리장서' 프랑스에 공식 전달

김재욱 경북 칠곡군수(오른쪽)가 18일 서울시 서대문구에 있는 주한 프랑스 대사관을 찾아 필립 르포르 대사에게 회당 장석영 선생이 작성한 파리장서 초안이 담긴 서책을 전하고 있다. 사진 칠곡군

김재욱 경북 칠곡군수(오른쪽)가 18일 서울시 서대문구에 있는 주한 프랑스 대사관을 찾아 필립 르포르 대사에게 회당 장석영 선생이 작성한 파리장서 초안이 담긴 서책을 전하고 있다. 사진 칠곡군

일제시대 국제사회에 조선 독립을 호소하고자 만들어진 ‘파리장서(巴里長書)’가 104년 만에 프랑스에 공식적으로 전달됐다. 파리장서는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1919년 파리에서 열린 파리평화회의(파리강화회의)에 전달하려고 했던 독립청원서다.

칠곡군수, 프랑스대사관에 전달
김재욱 경북 칠곡군수는 18일 오후 서울 주한프랑스대사관을 방문해 필립 르포르(Philippe Lefort) 대사에게 파리장서 초안이 담긴 서책을 전달했다. 한문으로 된 파리장서 초안은 한글과 영어·불어로 번역됐고 서책에 파리장서와 칠곡 출신 독립운동가 회당(晦堂) 장석영(1851~1926) 선생을 소개하는 글도 담았다.

장석영 선생 현손인 세민(55)씨는 “후손으로서 파리장서가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전달된 것을 매우 뜻깊고 기쁘게 생각한다”며 칠곡군과 주한 프랑스 대사관에 감사 인사를 전했다.

김 군수는 르포르 대사와 면담을 통해 파리장서를 담은 서책을 프랑스 도서관에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는 한편 혹시 존재할 수 있는 파리장서 외국어 번역본도 찾아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그동안 독립운동 핵심 자료인 파리장서가 프랑스에 공식적으로 전달되지 못했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다”며 “100여 년 전 선조들의 염원을 푸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회당 장석영 선생. 사진 한국학중앙연구원

회당 장석영 선생. 사진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에 르포르 대사는 “프랑스 도서관에 파리장서가 보존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며 “파리평화회의와 파리장서 정신을 계승해 세계 평화를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화답했다.

전문가 재능기부로 번역
파리장서는 유학자들이 파리에서 파리평화회의가 열리고 있는 것을 알고 세계 각국에 조선 독립 의지를 알리기 위해 만들었다. 장석영 선생이 초안을 작성하고 유학자 137명이 서명했다. 파리장서 초안 원본은 한국국학진흥원이 소장하고 있다.

번역 작업은 104년 만에 파리장서가 전달된다는 소식을 접한 전문가들이 재능 기부를 해 이뤄졌다. 정우락 경북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한문으로 된 파리장서를 한국어로 번역했고, 이를 대구 프랑스문화원에서 본부장으로 근무했던 박선제(36)씨와 주한미물자지원여단 소속 변성원(48)씨가 각각 불어와 영어로 번역했다.

“조선 문제 고려해 달라”
파리장서에는 ‘근래 남의 생명을 해쳐가며 나라를 침탈하는 일이 빈번하다. 이 침탈 이전 평화 상태로 돌려놓으려는 파리강화회의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조선 역시 만국의 일원으로서 피 끓는 심정을 토로한다. 조선 독립과 인류평화를 되찾을 수 있도록 조선문제를 고려해 달라. 그렇지 않으며 차라리 자진해 죽을지언정 맹세코 일본의 노예는 되지 않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당시 유학자 대표로 심산(心山) 김창숙(1879~1962) 선생이 중국 상하이(上海)로 건너간 뒤 영문본 2000부와 한문본 3000부를 인쇄해 파리평화회의와 각국 공관, 중국 정계 등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당시 전달된 외국어 번역본을 찾지 못했고 프랑스에도 공식적으로 파리장서를 받았다는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 104년 동안 파리장서가 ‘공식 접수’ 되지 못하고 있었던 셈이다.

김재욱 경북 칠곡군수가 18일 서울시 서대문구에 있는 주한 프랑스 대사관을 찾아 필립 르포르 대사에게 전달한 서책. 회당 장석영 선생이 작성한 파리장서 초안이 담겨 있다. 사진 칠곡군

김재욱 경북 칠곡군수가 18일 서울시 서대문구에 있는 주한 프랑스 대사관을 찾아 필립 르포르 대사에게 전달한 서책. 회당 장석영 선생이 작성한 파리장서 초안이 담겨 있다. 사진 칠곡군

 

 

 

출처: 104년 만에 도착했다...조선독립 호소한 '파리장서' 프랑스에 공식 전달


  1. ‘마약 투약’ 배우 유아인 구속영장 기각…"코카인 혐의 다툼 여지"

  2. 국제 신용평가회사, 미국 '부정적 관찰대상'으로 지정

  3. 한국, 우크라 위해 포탄 이송…미국이 받아서 전달

  4. 미 정보당국, "크렘린궁 드론공격 자작극 아닌 우크라 비밀작전"

  5. LA, 방치된 노숙자들.. "자칫하면 내가 가해자 될지도"

  6. "대참사·재앙".. 트럼프, 디샌티스 '트위터 출마선언' 조롱

  7. 한국 웰빙 지수 세계 20위.. "30년만에 17계단 껑충"

  8. 전 구글 CEO "AI, 머잖아 수많은 인간 죽일 수도"

  9. 하버드 후배들 앞에 선 반기문 "혜택받은 만큼 사회에 보답해야"

  10. 자살·약물과용·총기로 사망하는 10대 급증

  11. 텐트촌 15곳 철거…한인타운은 빠졌다

  12. 104년 만에 도착했다...조선독립 호소한 '파리장서' 프랑스에 공식 전달

  13. 디스플레이 '세계 1위' 탈환 노린다…기업 65조원 투자, 정부 R&D 지원

  14. [단독] K-배터리 초비상…2년 뒤 ‘텃밭’ 유럽서 중국에 뒤집힌다

  15. 5년 전 “BTS 주목” 외친 美 교수 “한국 기업이 세상 바꿀 수 있어"

  16. 서경덕 교수 "구찌 패션쇼? 명품아닌 싸구려" 일침 가한 이유

  17. 범죄 예방하려 CCTV 설치 확산하지만 세입자 감시용으로 악용

  18. 미국에 맞서 중국에 줄서는 나라들

  19. 우버, 새 기능 탑재…앱 없어도 이용가능

  20.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 오남용 막을 펜타닐 테스트기 인기 확산

  21. 바이든, 맥카시 ‘미국 국가디폴트 없다, 일요일 타결 시사’

  22. 구글, 2년간 미사용 계정 12월부터 삭제

  23. 머스크, 테슬라 주식 매각 소로스 비난 “인류 싫어해”

  24. [영상]사우스 LA서 차량 절도한 남성 수배

  25.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빨간불…EU "경쟁 제한 우려"

  26. 총격범과 싸워라? FBI 생존 요령 영상 논란 심요나

  27. LA 5.18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 제43주년 기념식' 개최

  28. "아태 문화유산의 달, 한인타운을 깨끗하게!"

  29. IRS “납세신고서 1백만 개 ‘신원 사기’ 관련 추정”

  30. 존경받던 경찰 .. 이제는 인센티브 제공해야 겨우 고용되나?

  31. 몬태나주, 내년부터 틱톡 다운로드 금지.. 국내 첫 사례

  32. 영국 BBC "뉴스 취재 과정 투명하게 공개"

  33. 남가주, 노숙자 문제 관련한 지역 이기주의(님비현상) 심화

  34. 파워볼, 어제 1등 당첨자 없어.. 당첨금 1억 4,000만달러 넘어

  35. LA 광역권, 어제 대기오염 심각.. 건강에 매우 해로운 수준

  36. 코로나 비상사태 종료에도 사무실 복귀는 절반 수준 '정체'

  37. 미국 가계부채 17조달러 넘었다 ‘자동차 할부 늘고 신용카드 1조달러 육박’

  38. 배우 유아인 밤샘 조사‥곧 '영장' 여부 결정

  39. 화학물질 덩어리 캔디, 젤리류 CA서 유통 금지된다

  40. 계란 가격 폭락.. 공급 안정세로 돌아서

  41. '먹는 낙태약' 금지 재판 2라운드.. 1심 판결 뒤집힐까?

  42. 온세미콘덕터 "한국, 20억 달러 투자 후보지 중 하나"

  43. 김해원 칼럼: 패션 모델들, 한인의류업체들에 줄소송

  44. [펌] US뉴스가 발표한 법과, 의과 대학원 순위

  45. 존 듀럼 특검이 밝혀낸 ‘트럼프-러시아 내통 스캔들’의 진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