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227 추천 수 0 댓글 0

주방 인기템 '인스턴트팟' 업체 파산보호 신청

Photo Credit: www.instanthome.com

최근 수년간 인기를 끈 신형 주방가전 '인스턴트팟'(멀티압력솥)의 원조인 미국 제조사가 파산 절차를 밟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어제(13일) 보도했다.
고금리와 공급망 마비로 인한 비용을 감당하지 못한 것이 직접적인 이유인데, 전세계를 휩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거치며 '집밥' 문화가 바뀌면서 수요가 줄어든 영향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스턴트팟, 코렐 등 유명 주방 브랜드 제조사인 '인스턴트브랜드'는 최근 텍사스주 휴스턴의 법원에 챕터 11, 파산법 11조에 따른 파산보호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파산보호는 법원의 승인을 받아 기업의 채무이행을 일시 중지시키고 자산매각을 통해 기업을 정상화하는 절차다.

벤 가드부아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등을 성공적으로 헤쳐 나갔지만, 사업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글로벌 거시경제 및 지정학적 도전에 지속적으로 직면해왔다"고 밝혔다.

가드부아 CEO는 최근 고금리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덧붙였다.

회사 측은 최근 회사 정상화를 위해 1억3천250만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

인스턴트팟은 버튼 하나로 국, 찜, 볶음, 탕 등 원하는 요리를 빠르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도록 고안된 가전제품으로, 2009년 처음 출시된 이후 전세계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기존 압력솥은 조리를 마친 뒤 뚜껑을 열 때 안전 문제가 있었지만, 인스턴트팟은 증기 배출 기능으로 이같은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요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음식 종류별 설정을 버튼 하나로 지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편리함 역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부분이라고 WP는 설명했다.

소셜미디어에 인스턴트팟을 활용한 조리법을 공유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며 북미 지역에서 이 제품은 큰 인기를 끌었고, 2019년에는 파이렉스·코닝웨어 등 유명 주방기기를 제조하는 업체 코렐과 합병하기에 이르렀다.

해당 제품은 한국에도 소개돼 상당수 팔려나갔고, 한국 업체들 사이에서도 유사 모델이 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인스턴트브랜드의 영업이익은 급감 추세다.

일단 공급망 문제로 제품 생산 비용이 증가한 것이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게다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사람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 요리에 할애할 시간도 많아지면서 신속함이라는 인스턴트팟의 매력이 줄어들었고, 경쟁 기기인 '에어프라이어'로 인기가 옮겨간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WP는 분석했다. 

 

 

 

출처: 주방 인기템 '인스턴트팟' 업체 파산보호 신청


  1. 블링컨 美국무, 시진핑 만나... 왕이 “역사상 후진해도 출구 없다”

  2. "야간근무는 못 한다고?" TSMC, 美기업문화에 당혹

  3. 머스크 "자율주행차 완성하면 테슬라 시총 1조달러 돌파한다"

  4. 13년 만에 라면값 인하 움직임…'그때처럼' 빵·과자 등 확산할까

  5. 국내 항공사들, 올 여름 사이판향 항공편 대폭 증설

  6. 이재명, 막판까지 고심…'불체포특권 포기' 결단 내린 이유

  7. 14살에 스페이스X 입사한 신동 엔지니어.. "너무 흥분돼"

  8. 멕시코 캘리포니아만 규모 6.4 지진.. "해안 쓰나미 위험은 없어"

  9. 미-중외교장관 8시간 마라톤회담..소통유지·민간교류에 뜻모아

  10. 바이든의 IRA, 저항 직면.. 공화, 예산삭감 시도

  11. 일리노이 노예해방일 축제서 총격.. 1명 사망, 최소 20명 총에 맞아

  12. 네바다주 도시 뒤덮은 '모르몬 귀뚜라미' 떼.. 온난화로 개체수 더 늘어

  13. 엘니뇨로 이상고온.. 전세계 곳곳 폭염 덮쳐

  14. 금빛 사라진 곡창지대.. "60년 만에 최악의 밀 흉작"

  15. 그랜드캐년 스카이워크 걷던 30대 남성 추락해 사망

  16. 공안, 축구대표 손준호 구속수사 전환…사법처리 수순

  17. 민주 대선 후보 케네디, CIA에 암살 가능성 시사

  18. 테슬라에 구애하는 프랑스, 트위터엔 "EU 규정 지켜라" 경고

  19. 다운타운서 LA카운티 차량 5대 불에 타.. 경찰 '방화 용의자' 추적

  20. 시애틀 차에 타고 있던 한인 부부 총에 맞아..출산 앞둔 부인, 태아 사망

  21. 무더위속 차에 방치돼 숨진 경찰견들.. 경찰 뭇매

  22. '촬영장 총격사고' 수사검찰 "무기관리자 숙취상태로 실탄 장전"

  23. 신뢰 잃어가는 Black Lives Matter.. “위험하고 분열적이다”

  24. 악몽꾸다 스스로에게 총 쏜 60대 남성 기소

  25. 북한 주민, "식량 부족해 이웃 굶어 죽었다"

  26. 미국 6월 기준금리 동결 대신 ‘올해안 0.25포인트씩 두번 인상 예고’

  27. 오늘(14일) OC서 도끼로 무장한 무단침입범 경찰에 사살돼

  28. [속보] 연준, 기준금리 동결 .. 15개월만에 금리 인상 행보 일단 중단

  29. LA카운티 교도소 여성 탈옥범 공개수배

  30. 코스트코, 월마트 등서 판매된 냉동 딸기, A형 간염 일으킬 수 있어 리콜

  31. "해외로 이주 부유층늘어나.. 올해 미국으로 2천100명 순유입"

  32. "생성형 AI 세계 경제에 연간 4조4천억 달러 가치 창출할 것"

  33. [속보] LA시의회, 부패 혐의 프라이스 시의원 정직안 논의 임박

  34. 법원 평결 "스타벅스, 역차별 백인매니저에 2천560만 달러 보상하라"

  35. Fed, 금리동결 확실/7월 금리인상 여부 관심/美, 대만서 유사시 미국인 철수 계획 수립

  36. 버드 라이트 ‘최다 판매 맥주’ 타이틀 잃었다

  37. 가짜 코로나 19 백신접종카드 발급 의사, 2년간 자격정지

  38. 주방 인기템 '인스턴트팟' 업체 파산보호 신청

  39. 지난 1년간 LA 지역 신용카드 빚, 가구당 평균 2,161달러 증가

  40. 휴가철 코앞인데 호텔·항공료 주춤세..'보복 소비' 끝?

  41. 넷플릭스, LA에 팝업 레스토랑.. 김치피자 직접 맛본다

  42. 북한, ‘가짜 네이버’ 만들어 개인정보 탈취… 국정원 “주소 확인해야”

  43. 한인기업 관세 미납 205만불 합의…애니클로, 가격 허위 기재

  44. [속보] 프라이스 LA시의원 "시의원직 빼고 모든 자리에서 물러나"

  45. CDC, “아시안 어린이 정신건강 치료 비율 가장 낮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