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4 추천 수 0 댓글 0

머스크-저커버그, 같은 주짓수 스승과 수련 중…결투 이뤄질까

Photo Credit: Twitter @lexfridman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 CEO 간 격투기 대결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이들이 같은 스승 밑에서 주짓수를 수련하는 사진과 영상이 공개돼 주목된다.

인공지능 AI 연구자인 렉스 프리드먼은 현지시간으로 26일 트위터와 유튜브에 저커버그가 자신과 함께 주짓수를 훈련하는 동영상을 올린 데 이어 어제(27일)에는 머스크가 자신과 대련하는 사진을 올렸다.
 

프리드먼은 매사추세츠공대 MIT에서 AI를 연구하는 저명한 연구원으로, 팟캐스트도 운영한다. 그는 영상을 통해 자신이 15년 이상 주짓수를 해온 검은띠 보유자이며 유도와 레슬링도 10년 넘게 했다고 밝혔다.

그가 올린 12분짜리 영상에는 저커버그가 프리드먼을 상대로 주짓수 기술을 사용하는 등 모습이 담겼고 트위터에 올린 사진에는 머스크가 프리드먼의 몸을 위에서 누르는 모습과 기술을 걸어 넘기는 모습이 포착됐다.

프리드먼은 저커버그에 대해서는 "마크는 1년 좀 넘게 주짓수를 훈련해왔고 겸손하고 진지한 태도로 임하는 자세는 영감을 준다"고 말했고 머스크에 대해서는 "그의 체력과 힘, 기술이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최근 일론과 저커버그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대화를 주고받았는데, 나는 일론의 오랜 친구이자 저커버그의 새로운 친구다. 두 사람이 각자의 방식으로 무술가의 길을 걷는 것을 보니 신이 난다"고 말했다.

이어 "두 사람은 모두 크고 성공적이며 영향력 있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바쁘다"며 "그러나 나는 그들이 무술 수련을 통해 더 나은 리더이자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격투기를 훈련하되 케이지 안에서는 싸우지 않는 것이 세상을 위해 더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렇긴 하지만, 일론 말대로 가장 재밌는 결과는…. 나는 무슨 일이 있든 이 둘을 위해 이 자리에 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와 저커버그의 격투기 대결 논란은 이들이 소셜미디어상에서 벌인 설전에서 시작됐다.

지난 21일 메타가 트위터의 대항마로 곧 출시할 예정인 앱인 "스레즈(Threads)가 트위터의 라이벌이 될까"라는 한 트위터 사용자의 질문에 머스크는 "무서워 죽겠네"라고 비꼬며 깎아내렸다. 다른 사용자가 "저커버그가 주짓수를 한다는데 조심하라"고 하자 머스크는 "나는 철창 싸움(cage fight)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답했다.

이 소식을 들은 저커버그는 인스타그램에 "위치 보내라"는 글을 올렸고, 머스크도 "진짜라면 해야지. 라스베이거스 옥타곤"이라고 응수하면서 불이 붙었다.

두 CEO 사이의 신경전 정도로 여겨졌던 이 대결은 양측이 "진지하다"는 입장을 드러내면서 분위기가 달아올랐다. 실제 성사된다면 격투기 역사상 10억 달러에 달하는 최대 흥행이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왔다.

실제로 프리드먼이 올린 사진과 영상 아래에는 이들 간의 대결을 기대하는 사람들의 답글과 댓글이 줄을 이었다. 일부는 패러디 사진까지 올리며 누가 이길지 예상하는 모습을 보였다.  

 

출처: 머스크-저커버그, 같은 주짓수 스승과 수련 중…결투 이뤄질까


  1. "소분뇨로 친환경에너지 생산" 875만달러 사기행각

  2. 편안하게 은퇴하려면 얼마가 필요할까..미국인들 생각은?!

  3. 환각버섯,LSD,케타민.. "머스크 등 실리콘밸리 거물들 마약 의존"

  4. LAPD, 오늘 새벽 괴한과 총격전.. 괴한, 경찰에 사살돼

  5. 코비나 지역, 모기 퇴치위해서 살충제 살포 작업 실시

  6. LA 6지구 시의원 특별선거, 이멜다 파디야 후보 승리

  7. 남가주 두곳서 산불 발생..주택 2채 소실

  8. WSJ "미국, 한국에 최대 규모 핵무장 전략핵잠수함 보낸다"

  9. 머스크-저커버그, 같은 주짓수 스승과 수련 중…결투 이뤄질까

  10. "한두살 어려진 한국"…외국 언론에 비친 신기한 나이 조정

  11. 한국, 세계 3대 친미국…"국민 79% 호감 갖지만 바이든엔 글쎄"

  12. LA 메트로, 탑승객 16% 늘어나.. 수개월째 계속 증가세 유지

  13. 지난해 CA주 증오범죄율,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

  14. 요양시설 한인 할머니 살해 용의자 지안천 리 살인 혐의로 기소

  15. LA시의회, 2030 부산세계박람회 개최 지지 결의안 채택

  16. 캐시앱, 일부 유저서 '중복결제' 발생

  17. CA주, 패스트푸드 종사자 최저 임금 인상 법안 중단

  18. ‘동부 폭풍’에 LAX 항공기 수백 편 취소·지연

  19. 대한민국이 젊어진다…오늘부터 ‘만 나이’ 통일

  20. 리버사이드 지역 산불 발생

  21. '너무 다른' 쌍둥이 딸, DNA 검사 결과...아빠 두 명

  22. 코스트코, 멤버십 공유 단속 시작

  23. 대선 가상대결서 "트럼프, 바이든에 오차범위 밖 첫 리드"

  24. 연방대법원 ‘정치이익에 따른 선거구 재획정 주법원 제동걸 수 있다’

  25. 미국 IRS 세무감사 착수 ‘백만장자와 저소득층 주 타켓’

  26. 미국, 바그너사태 이후 첫 우크라 추가 지원.. "반격작전 지원"

  27. 재무부 예정대로 바그너그룹 관련 제재 발표.. "무장반란과는 무관"

  28. 메타, 자녀 SNS 사용 모니터링 강화

  29. 아마존, 월마트 제치고 美 최대 소매업체 전망/아시안 수출 부진, 美 인플레 완화에 호재

  30. 바이든 공약 '학자금대출 탕감' 대법원 판결 임박…폐기 가능성

  31. LA 카운티, LGBTQ+ 관련 등 금지 서적들 eBook으로 공급

  32. 파워볼, 오늘도 1등 ‘꽝’.. 당첨금 4억 6,000만달러 넘어

  33. 오늘(6월27일) LA 시 6지구 시의원 특별선거, 2명 결선투표

  34. 미국에서 20년 만에 말라리아 지역내 감염 발생

  35. 일본, 한국 '화이트리스트' 4년 만에 완전 복원-수출규제 해제

  36. [펌] 대학 간판도 중요하지만 뭐니 Money 해도 전공이야~

  37. CA, 코로나 유급병가 제공한 스몰 비즈니스에 최대 5만달러 지원!

  38. CA 정유회사 바가지 요금 철퇴법 발효 .. 개솔린 가격 하락할까?

  39. 올 독립기념일 연휴 여행길에 오르는 주민 역대 최다

  40. 주유세 대신 주행세?.. 운전 거리만큼 세금 내야하나

  41. 축구 국가대표 황의조 측 사생활 폭로글에 "사실 무근" 해명했지만...SNS에는 "영상 팝니다" 성행

  42. 노스 헐리웃서 피자 가게로 위장한 마약 실험실 경찰 발각돼

  43. 텍사스주 살인더위에 등산하던 30대 남성과 아들 숨져

  44. 한국의 미국방문비자 거부율 2년 연속 급등 ‘8%에서 18%안팎으로’

  45. 미국민 은퇴시기 2년이상 늦추고 은퇴저축 더 불입하고 있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65 Next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