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219 추천 수 0 댓글 0

"팔다리 잃은 우크라인 최대 5만명".. 1차대전 피해 맞먹는 규모

Photo Credit: pexels

올해 2월 우크라이나 여군 올해 19살 루슬라나 다닐키나는 남동부 자포리자 지역 최전선 인근에서 포격을 받았다.

포탄 파편에 다닐키나의 왼쪽 다리 무릎 위아래가 절단됐다.
 

다닐키나는 그때 "이제 끝이고 내 인생이 다시는 예전 같지 않을 것임을 깨달았다"고 회상했다.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후 다닐키나처럼 수족을 잃은 우크라이나인은 2만~5만명으로 추산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병원과 구호단체, 의족업체 등의 수치를 종합해 오늘(1일) 보도했다.

이는 제1차 세계대전 때의 독일이나 영국의 피해 규모와 맞먹는 것이다.

절단술이 부상자의 죽음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던 1차 대전 때는 약 6만7천명의 독일인과 4만1천명의 영국인이 팔·다리 절단 수술을 받았다.

수족 절단 환자를 돕기 위해 우크라이나와 협력하는 세계 최대 보철 제조업체인 독일의 오토복(Ottobock)은 정부와 의료기관 자료를 근거로 우크라이나인 절단 환자를 약 5만명으로 추산했다.

우크라이나 키이우의 자선단체 '후프 재단'은 전쟁으로 인한 중상자를 20만명으로 추산하는데, 통상 중상자의 약 10%는 절단 수술이 필요하다.

이처럼 엄청난 중상자 규모는 러시아가 군인과 민간인 모두를 겨냥해 지뢰와 포, 미사일, 드론 공격을 무차별적으로 퍼붓는 전쟁 양상을 반영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쟁 초기엔 포격과 미사일 공습이 주로 중상을 야기했지만, 지금은 약 1천km 전선을 따라 매설된 지뢰가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19살 여군 다닐키나는 서부 도시 르비우에 있는 구호단체인 '슈퍼휴먼스'의 도움으로 다섯 차례나 수술을 받은 뒤 오토복 의족을 달았다.

우크라이나 중부 크로피우니츠키 출신의 24살 전직 철강 노동자인 데니스 흐리벤코는 지난해 징집돼 올 1월 동부 바흐무트 전투에서 두 다리와 왼팔을 잃었다.
 

부상 전 그의 키는 185cm였지만 의족을 단 지금은 170cm로 줄었다.

7살 여아 올렉산드라 파스칼은 지난해 5월 남부 도시 오데사 인근에서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으로 한 다리를 잃었다. 

이 소녀도 현재 의족을 단 뒤 재활 치료를 받고 있다.

당시 폭발 때문에 청력을 부분 상실한 소녀의 어머니 마리야는 딸이 절단 수술을 받은 사람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인 환상 통증으로 수시로 밤에 잠을 깬다고 말했다.

하지만 모든 중상자가 곧바로 인공 팔·다리 시술을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많은 환자는 5만5천 달러에 달하는 의족을 구하기 위해서는 구호단체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수족을 잃은 군인에게 최대 2만 유로를 보상해주고, 오토복은 우크라이나인들에게 할인을 제공하고 있지만 민간인을 포함해 많은 환자가 여전히 치료비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게다가 우크라이나 내 병원들도 과부하 상태라 환자들이 의족 시술을 받기까지 오랫동안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올가 루드녜바 슈퍼휴먼스 대표는 환자들은 인체 위축 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절단 후 늦어도 90일 이내에 의족 시술을 받아야 하지만 많은 사람이 1년 이상을 기다린다고 설명했다.

 

 

 

출처: "팔다리 잃은 우크라인 최대 5만명".. 1차대전 피해 맞먹는 규모


  1. 스위스 연구진 "1천200년전 이후 지금이 가장 더워"

  2. CA주 절도 차량 타겟 1위 쉐보레 픽업트럭, 2위 혼다 시빅

  3. 동물복지 강화의 연쇄효과…삼겹살 도매가 3배 급등

  4. 밀레니얼 세대와 Z 세대, 성관계 부정적.. 섹스 횟수 줄어

  5. "북한, 월북미군 구금 확인…유엔사 정보 요청에 첫 응답"

  6. 미국인들, 배우∙작가 파업 지지에도 영화티켓 $1 인상은 ‘싫어’

  7. "현대차·기아, '화재위험' 신형 차량 9만 천대 리콜"

  8. "적절히 대응" 호언장담에도 잼버리 온열 환자 속출...이탈자까지

  9. 블랙핑크 지수, 배우 안보현과 공식 열애 인정.. CNN 대서특필로 보도

  10. 유령 총, 강력한 총기규제 시행하는 CA 주에서 더욱 기승

  11. 신용등급 강등 속 미 10년 만기 국채금리 연중 최고

  12. 애플 저축계좌 출시 3개월 만에 예금 100억 달러 돌파

  13. 미국서도 뜨거운 초전도체 “하버드보다 고려대”.. ‘초전도체 밈’ 만발

  14. 타운 미니공원 8년만에 본격 조성…피오피코도서관 주차장 부지

  15. 가주 생활비 월 2838불, 전국 2위…각종 고지서, 소득의 40%

  16. [리포트] "샐러드 먹어라” 다이어트 주사제 보험서 빼는 기업 늘어나

  17. 4일 국립공원 입장 무료

  18. '물리학의 성배' 해외서도 뜨거운 초전도체…"사실이면 노벨상"

  19. 헐리웃 작가 파업 3개월 만에 협상.. "제작자측 요청"

  20. 재선 차질 우려 바이든 정부 "신용등급강등은 트럼프탓" 공세

  21. 자넷 양, 아카데미 회장 연임..아시안 영향력 점점 커져

  22. IRS 2025년부터 무료 직접 세금보고, 전체 온라인 접수로 전환

  23. LA시의원 출마 한인 존 리·그레이스 유 후원금 1위

  24. 주디 김, 한인 최초 뉴욕주법원 선출직 판사 도전

  25. “너무 비싸서” 중산층 24% 신차 구매 미룬다

  26. 임영빈 내과의, 한미치매센터에 3000불 기부

  27. 대법, 낙태권 이어 대입 소수인종우대 폐지에 지지율 최저

  28. 어바인 룰루레몬 매장서 7500달러치 상품 절도한 여성 체포

  29. 그랜드 캐니언서 버스 전복.. 1명 사망·56명 부상

  30. "지구촌 직장인 하루 평균 10시간 노동.. 37분 줄어"

  31. 7월 민간고용 32만4천개 '깜짝' 증가.. 전망치 2배 육박

  32. LA 시의회, 오늘 LA River Valley Bike Path Project 처리

  33. Mega Millions, 5자리 맞춘 복권 7장 나와.. LA에서 2장 판매

  34. 말리부 해변 드럼통 안 시신 신원 확인..주민들 치안 우려

  35. LA총영사관 이달부터 매월 대면 무료 세무상담 실시

  36. LAPD 3년차 연봉 10만불 넘는다…배스 시장 11% 인상 서명

  37. "월가, 연준 9월 차기 회의서 '금리 동결' 예측"

  38. 뉴욕시장 “바이든, 국경 통제해야”

  39. "팔다리 잃은 우크라인 최대 5만명".. 1차대전 피해 맞먹는 규모

  40. 북, 한인 북한인권특사에 '민족 불투명·무식쟁이' 험담

  41. "에어컨 사려면 12년 모아야".. 폭염에 극빈층 생존 위협받아

  42. 최지만, 파드리스서 김하성과 함께 뛴다…투수 리치 힐과 함께 이적

  43. [속보] 신용평가사 피치, 미국 신용등급 AAA → AA+ 하향

  44. 바이든 새 SAVE 플랜 ‘연 3만달러이하 독신, 6만달러 4인 가족 월상환금 제로’

  45. 열기 식어가는 고용시장.. 6월 구인 2년만에 최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67 Next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