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을 환영합니다.
미주 한인 뉴스
조회 수 135 추천 수 0 댓글 0

미국에서 실수로 인한 총격, 아이들이 집에 있을 때 가장 많아

2015년~2022년 사이 Data, 아이가 집에 있는 여름에 총기사고 빈발
최소 895명의 5살 또는 그 이하 아이들, 자신이나 남을 향해 총격
올해 6살 소년, 자신의 갓난아기 동생에게 2차례나 총격 가해
테네시, 일리노이, 조지아 주 등에서 어린아이들 총격사고 잇따라

Photo Credit: Heather Mount on Unsplash

미국에서 실수로 인한 총격사건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특히 5살 미만 어린이들이 총격의 주체인 것으로 나타나 총기를 자유롭게 소지할 수있는 나라 미국에서는 각 가정이  자칫 총격사건 사각지대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총기규제 활동을 하는 비영리단체, Everytown for Gun Safety는 2015년부터 지난해(2022년)까지 최근 8년 동안에 걸친 총기사건사고 관련 통계자료를 조사해서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흥미로운 발견은 아이들이 집에 있는 동안에 비의도적 총격사건이 가장 많이 일어났다는 점이다.

특히 여름에 아이들이 집에 있을 때 총격이 가장 많이 일어나 아이들이 있는 가정에서는 총기 보관에 매우 신경을 써야한다는 지적이다.

2015년부터 2022년 사이에 5살이나 그 이하 나이의 아이들이 총격을 가해서 누군가 다친 경우가 최소한 895건에 달했다.

조사 결과 5살이나 그 이하 아이들은 집에서 총을 발견하고 그것을 가지고 놀다가 의도적이지 않게 총격을 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들이 총격을 가하는 대상은 자기 자신이 매우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엄마와 아빠, 형제 등 가족들이었다.

올해(2023년) 들어서도 아이들 관련한 총격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7일(수) Michigan 주에 있는 Detroit 시에서 6살 소년이 자신의 1살된 유아 동생에게 비의도적으로 총격을 가한 사건이 일어났다.

이 1살된 동생은 기적적으로 목숨을 건져 매우 좋은 운을 과시했다.

그런가하면 역시 이 달(6월)에 Tennessee 주에서 3살 소년이 총을 갖고 놀다가 그만 자신에게 총격을 가하는 실수를 범했는데 이 소년은 운이 없었는지 회복하지 못하고 숨을 거두고 말았다.

지난 달(5월)에는 Illinois 주에서 4살 밖에 되지 않은 소녀가 총을 가지고 있다가 실수로 자기 자신에게 발사해 숨을 거뒀다.

Georgia 주에서도 4살 소녀가 역시 총격을 일으켰는데 실수로 자신의 머리를 향해 총을 발사한 것이다.

생존했지만 심각한 부상을 다해 중태에 빠져있는 상황이다.

경찰 조사 결과 이 Georgia 주 4살 소녀 아버지가 장전된 총을 마루바닥에 두고 외출한 것으로 드러나서   총기 보관 관련한 부주의로 딸의 목숨이 경각에 달리게 됐다. 

 

 

 

출처: 미국에서 실수로 인한 총격, 아이들이 집에 있을 때 가장 많아


  1. 호주, 이달부터 환각버섯·엑스터시로 정신질환 치료 허용

  2. 부메랑 된 트럼프 옛 발언.. "기소 대통령, 전례없는 헌법 위기"

  3. 러 전쟁범죄 기록해온 우크라 작가, '식당 공습'으로 끝내 사망

  4. 가장 위험한 불꽃놀이용 폭죽은?

  5. 진보지만 이념 편향엔 "No"…막내 대법관 화제

  6. 세계 500대 부자 자산가치 8천 500억달러 늘어..머스크만 966억달러↑

  7. LA 하와이안 가든서 50대 한인 남성 총격 자살

  8. 워싱턴DC서 새벽 잇단 폭발장치 테러..용의자 도주

  9. 하루 1만명까지 폭증 전망했는데.. 불법입국 3천명대로 급감

  10. 여권 발급 지연에 미국인 불만 폭발.."석달만에 겨우"

  11. 남가주 폭염, 당분간 계속.. 내륙 지역에 고기압 전선 형성돼 있어

  12. 관광객으로 몸살 앓는 유럽.. 팬데믹 끝나자 보복관광 '폭발'

  13. 미국 독립기념일 연휴에 5070만명 대이동 ‘역대 신기록’

  14. 미국비자 받은 한국인 6만명대로 회복 ‘유학연수 3만 5천, 취업 1만 5천’

  15. LA국제공항, 1회용 플라스틱 물병 판매 금지

  16. 우주의 95% '어둠의 비밀' 풀어줄 망원경 '유클리드' 발사

  17. 머스크 "트위터 게시물 읽기 분량 제한" 선언.. 접속 장애도 속출

  18. 서울보다 비싼 CA주 기름값.. 왜?

  19. CIA 국장 "우크라전, 러 스파이 모집 절호의 기회"

  20. [영상] NC 샬럿 테마파크 롤러코스터 지지대 균열로 '휘청'.. 가동 중단

  21. '비행기 타고 통학' 버클리대생 화제…"월세보다 저렴"

  22. 텍사스에서 이민자 41명을 태운 두번째 버스, LA 시에 도착

  23. 파사데나 중국계 추정 남성, 룸메이트에 총격 가하고 자살

  24. LA Metro 노숙자 18,531명으로 가장 많아, South LA 12,995명 2위

  25. CA에 존재하는 ‘초소형 국가’, 미국에서 독립한 ‘슬로우자마스탄’

  26. 남가주, 오존주의보 발령.. 3일(월) 밤 10시까지

  27. CA, 규제 완화.. 상업용 건물, 주거지 전환 가능해진다

  28. LA 호텔 노조, Instagram에 “언제든 파업할 준비 끝났다” 게시

  29. Baldwin Hills에서 ‘노숙자 이동’ Inside Safe 작전 실시

  30. 미국에서 실수로 인한 총격, 아이들이 집에 있을 때 가장 많아

  31. 텍사스 주, 낙태권 폐지 1년 후 낙태 수치 급격히 줄어들어

  32. 캐런 배스 LA 시장, “지금은 노숙자 문제 관련해 비상상황이다”

  33. “불법이민 권장 발언은 언론의 자유 아니다” 연방대법원 판결

  34. 약국체인 월그린스 매장 구조조정.. 450곳 추가 폐쇄

  35. CA소방국, LAPD 독립기념일 불법 불꽃놀이는 ‘죄악’

  36. LA카운티 내일(1일)부터 폭염경보 내려져.. “온열질환에 대비해야”

  37. 직장 상사 3/4 “Z세대 다루기 어렵다”

  38. 바이든 학자융자금 탕감 끝내 무산 ‘연방대법원, 대통령 탕감권한 없다’

  39. [어퍼머티브 액션 폐지 파장] "한인 등 아시안 학생 불이익 줄어들 것"…한인 학생에 미치는 영향

  40. "고용량 비타민D, 심방세동 위험↓"

  41. 독립기념일 연휴 불법운전 단속 오늘부터.. 경찰인력 총동원

  42. 시카고 도심서 1년새 익사체 16구 인양.. 연쇄살인 공포

  43. 미국 대학입시에서 인종기반 소수계 우대 못한다 ‘연방대법원 판결’

  44. 미국경제 1분기 2% 성장 ‘불경기 우려 불식시킨다’

  45. "불륜경험 있나".. 빌 게이츠 사무실, 면접서 부적절 질문 논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67 Next
/ 67